|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공통 | 국수주의 · 민족주의 · 황색 사회주의 · 혼합 정치 · 혁명적 내셔널리즘 · 협동조합주의 |
이념 | 국민생디칼리슴 · 나치-마오주의 · 민족 아나키즘 · 봄바치주의 · 슈트라서주의 · 순정사회주의 · 신사회주의 · 아랍 사회주의(바트주의) · 제4의 정치이론 · 좌익 파시즘 · 정통 페론주의 · 통합주의 · 팔랑헤주의 · MAGA 공산주의 | |
정당/조직 | 독일 노동당 · 레히 · 민족 볼셰비키당 · 사회대중당 · 시리아 사회민족당 · 소련 자유민주당 · 아메리카 공산당 ·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 유라시아당 · 전통주의노동자당 · 팔랑헤 · 흑색 전선 | |
인물 | 그레고어 슈트라서 · 기타 잇키 · 니콜라 봄바치 · 베니토 무솔리니 · 알렉산드르 두긴(초기)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니키쉬 · 에른스트 윙어 · 조르주 소렐 · 찬드라 보스 · 후안 페론 | |
기타 | 대안 우파 · 보수혁명 · 파시즘 · 인종국민주의 · 적색 파시즘 · 조선민족제일주의 · 좌익 내셔널리즘일부 · 좌익 보수주의일부 · 카다피주의 · 편자이론 |
혁신파 / [ruby(革新派, ruby=かくしんは)] | |
<colcolor=white><colbgcolor=#9e9e9e,#2d2f34> 활동기간 | 1930년대 ~ 1940년대 |
이념 | 전체주의 제3의 위치 국가사회주의 통제경제 유사 파시즘 혁신관료 쇼와 유신 신체제운동 |
스펙트럼 | 극우 |
반대 세력 | 관념우익 |
1. 개요
혁신파란 만주사변 이후 만주국이 설립되면서 일본 관, 군 내에 등장한 새로운 조류로, 혁신관료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경제적으로는 국가를 정점으로 하는 사회주의적 집산체제를, 정치적으로는 대정익찬회와 같은 국민적 유일 정당/정치체를 정점으로 하는 전체주의 체제를 추구했으며, 전 사회의 과학화, 효율화를 추구하는 테크노 파시즘적 측면도 존재했다.
통제파와도 다소 겹치지만 완전히 같은 개념은 아니다. 제3의 위치라는 점에서 황도파와 유사해보이지만, 황도파는 천황의 친정을 주장하고 강경한 반공, 반소노선을 견지한 반면 혁신파는 소련에 우호적이거나 최소한 적대적이지는 않았고 천황 대권에도 관심이 없었으며, 경제적으로 사회주의적 집산체제를 추구했다. 그리고 황도파들은 기타 잇키의 사상을 추종했지만 혁신파의 경우 혁신파의 정치적 우두머리나 마찬가지였던 고노에 후미마로와 가장 대표적인 혁신관료인 기시 노부스케는 오카와 슈메이의 사상을 추종한 것으로 유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