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21:23:14

해군항공사령부

6전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육군의 항공사령부에 대한 내용은 육군항공사령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해군작전사령부 예하 함대급 부대파일:gwt.png
파일:제1함대 부대마크.svg 파일:제2함대 부대마크.svg 파일:제3함대 부대마크.svg 파일:잠수함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해군항공사령부 부대마크.svg
제1함대 제2함대 제3함대 잠수함사령부 해군항공사령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해군의 편제
해군항공사령부
海軍航空司令部
Naval Air Command
파일:해군항공사령부 부대마크.svg
'''필승항공 (必勝航空)'''
<colbgcolor=#001b69><colcolor=#fff> 창설일 1957년 7월 15일 (함대항공대)
1973년 5월 1일 (함대항공대, 재창설)
1977년 1월 24일 (함대항공단)
1986년 2월 1일 (제6항공전단)
2022년 7월 15일 (해군항공사령부)
상징명칭 충무대
약칭 항공사
소속 대한민국 해군
상급부대 해군작전사령부
규모 함대
병종 해군 항공대
사령관 준장(진) 조영상(해사 50기)
위치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포항 해군기지
포항경주공항
1. 개요2. 상징
2.1. 라운델2.2. 부대 휘장2.3. 부대가
3. 역사
3.1. 해군 항공역사관
4. 역대 지휘관5. 조직
5.1. 편성
6. 항공작전기지7. 운용 항공기8. 조종복
8.1. 흉장
9. 사건·사고10. 기타11. 관련 영상

[clearfix]

1. 개요

해군항공사령부령
제1조(설치 및 임무) ① 해군의 항공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해군에 해군항공사령부(이하 “항공사령부”라 한다)를 둔다.
② 항공사령부는 예속(隸屬)부대 또는 배속(配屬)부대의 작전ㆍ훈련과 군 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해군항공사령부대한민국 해군의 항공작전을 총괄하는 함대항공부대로, 사령관은 해군 소장이 맡는다.

2020~2024 국방중기계획에 따라 2022년 7월 15일부로 제6항공전단(Air Wing Six)[1]에서 '해군항공사령부'로 확대·개편됐고, 부대 창설과 동시에 해군작전사령부로부터 해상 항공 작전 통제권을 위임받았다.#

해군항공사령부는 해상초계기P-3CP-8A, 해상작전헬기인 슈퍼 링스(Super Lynx)와 AW159, 해상기동헬기인 UH-60, 대공표적예인기인 CARV-II 등을 운용하고 있으며 MH-60R 해상작전헬기도 운용할 예정이다.

2. 상징

2.1. 라운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50px-Roundel_of_South_Korea_-_Naval_Aviation.svg.png
구형 라운델 (1951~2018)
파일:ROK-Navy-roundel-18.png
현용 라운델 (2018~)
구형 라운델(위)과 신형 라운델(아래). 신형 라운델은 기존 라운델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2.2. 부대 휘장

제6항공전단 시절 부대 휘장
파일:제6항공전단 부대마크.svg
백색 공간 무궁화
거북선 용맹성과 도전성
황금날개 해군항공
활주로 해군항공
푸른 바탕 파도
리본 평화의 깃발
6개의 노 6대주
5개의 화포 5대양
프로펠러/메인 로터 항공기
해군

2.3. 부대가

항공사령부가
(1절)
저 넓은 창공 향해 힘껏 나르는
은빛 날개 그 모습은 해군의 선봉
조국 바다 수호 위해 이 생명 바쳐
오늘도 필승의 길 다져나가니
아아 힘찬 기백 해군 항공사령부
아아 승리의 길 해군 항공사령부
(2절)
저 넓은 바다 위해 맹세하나니
떠오르는 태양처럼 피 끓는 젊음
거친 파도 움켜 차는 독수리 되어
내일은 조국통일 완수하리라
아아 힘찬 기백 해군 항공사령부
아아 승리의 길 해군 항공사령부

3. 역사


항공사령부의 역사는 대한민국 해군 항공의 역사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 1951년 1월에 해군 소속의 조경연 중위가 방치된 미군기를 개조해 8월에 첫 취역하였다. 1957년에 함대항공대가 창설되었으나 미군 고문단이 시기상조라 여겨 1963년 3월에 부대가 해편되었다. 이때문에, 한동안 해군 내 항공 전력은 해병대에만 존재했다.

1973년 5월 1일대한민국 공군으로부터 O-1A 3대를 인수받아 서울공항(성남비행장)에서 김해국제공항에서 함대 항공대를 재창설했고, 같은 해 10월 10일해병대 항공대를 흡수하였다.[2]

1976년 1월 15일에 대한민국 공군의 제59해상초계비행대대가 해군 제59해상초계비행대대로 전군되어서 S-2 초계기를 비롯한 조종사·승무원·정비사가 해군으로 이전되었고, 뒤이어 제611대대로 전환창설되었다. 1977년에는 부대 규모가 전단급으로 성장하여 함대항공단으로 개편됐고, 해군의 첫 함정 탑재 헬기인 알루에트 III를 도입했다. 1978년 함대항공단을 포항경주공항으로 옮겼다. 1986년 2월 1일 한국함대가 해군작전사령부로 개편되면서 함대항공단은 해군작전사령부 직할 제6항공전단으로 개편됐다. 1995년에는 P-3C가, 2010년에 P-3CK가, 2016년 AW159가 도입되었다.

2011년에는 첫 여성 초계기 조종사를 배출했다.#[3] 2014년 8월 첫 여성 슈퍼링스헬기 정조종사가 배출됐으며,# 남편도 해군 조종사라 첫 부부 링스헬기 정조종사가 되기도 했다.# 2015년 2월 첨단시설을 갖춘 항공 비상탈출 훈련장을 신축했다.#

3.1. 해군 항공역사관

2013년 7월 30일 해군6전단 항공역사관이란 이름으로 개관, 사령부 승격 후 개칭했다.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림동 해군항공사령부 정문 옆에 위치하며, '해군항공사령부 항공역사관'과 '몰개월 비행기공원'이 운영되고 있다. 잠수함사령부의 잠수함 역사관과는 다르게 부대 밖에 있어서 민간인들이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다.[4] 비행기 공원엔 퇴역한 해군 및 공군(F-4 팬텀 II 1대) 군용기 실 기체들이 기종당 1대씩 전시되어 있는데, 항공사가 직접 관리하고 있어 보존 수준이 매우 양호한 편이다.

역사관은 규모는 작지만, 창군기에 해취호를 직접 조립해 취역 시키던 열악한 시절부터 공군과 해병항공단, 해경항공대 등으로 임무를 넘기고 해체된 암흑기, 부활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역사를 보여주는 알찬 전시물이 많다. 전시된 항공기 모형들과 디오라마의 수준도 꽤 높고 종류도 다양하다. 입장도 무료다.

4. 역대 지휘관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1B69><tablebgcolor=#001B69>
파일:해군항공사령부 부대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1B69><tablebgcolor=#001B69>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해군 소장.svg
초대
이상식 준장
2대
김성학
3대
하성욱 준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함대항공단장, 제6항공전단장의 계급은 준장이었으나 사령부로 격상되면서 지휘관의 계급도 해역 함대사령관과 같은 소장으로 격상시킬 예정이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함정병과 출신은 소장, 항공병과 출신은 준장 계급자가 사령관직을 맡고 있다. 항공 출신 사령관의 경우, 항공병과장을 겸한다.

항공병과 출신 중 소장 진급자는 있으나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은 아직 없다.
역대 함대항공대장
역대 이름 당시 계급 임관 재임기간 비고
초대 조경연 중령 특교대 9차 1957.7~1962.11 해군의 첫 항공기 ‘해취(海鷲)호’를 제작
2대 이도현 중령 - 1973.4~1974.1 -
3대 김철인 대령 - 1974.1~1977.1 -
역대 제6항공전단장[5]
역대 이름 계급 임관 재임기간 비고
초대 하윤진 - - 1977.1~1979.2 함대항공단장, 항해병과
2대 정현경 - - 1979.2~1980.1 함대항공단장, 항해병과
3대 김종호 예) 대장 해사 10기 1980.1~1981.1 함대항공단장, 항해병과, 16대 해군참모총장, 초대 해군작전사령관
4대 정경래 - - 1981.1~1981.8 함대항공단장, 항해병과
5대 김형진 예) 중장 해사 12기 1981.8~1982.6 함대항공단장, 항해병과, 前 해군참모차장
6대 김용조 - - 1982.6~1982.12 함대항공단장, 항해병과
7대 채인수 예) 준장 - 1982.12~1987.1 첫 항공출신 함대항공단장/6전단장, 3대 항공병과장
8대 김성득 예) 중장 해사 16기 1987.1~1988.1 항해병과, 前 합참 제2차장, 5대 해군작전사령관
9대 안병태 예) 대장 해사 17기 1988.1~1989.1 항해병과, 20대 해군참모총장
10대 김성용 - - 1989.1~1990.4 항해병과
11대 김철웅 예) 소장 해사 19기 1990.4~1991.12 항해병과, 5대 3함대사령관
12대 김일영 예) 준장 - 1991.12~1994.7 9대 항공병과장
13대 정인귀 예) 소장 - 1994.7~1997.1 10대 항공병과장
14대 백기봉 예) 준장 - 1997.1~1999.1 11대 항공병과장
15대 김현규 예) 준장 - 1999.1~2001.1 항해병과
16대 서정순 예) 준장 - 2001.1~2004.1 12대 항공병과장
17대 윤경묵 예) 준장 해사 30기 2004.1~2005.1 13대 항공병과장
18대 임철순 예) 소장 해사 31기 2005.1~2006.12 14대 항공병과장, 해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
19대 임화순 예) 준장 해사 32기 2006.12~2007.11 15대 항공병과장
20대 문병옥 예) 소장 해사 35기 2007.11~2009.5 항해병과, 19대 해군교육사령관
21대 김상석 예) 준장 해사 36기 2009.5~2011.11 16대 항공병과장
22대 심재옥 예) 준장 해사 38기 2011.11.29~2014.5.2 前 6전단 참모장, 61해상초계기전대장, 613비행대대장
23대 유성훈 예) 준장 해사 39기 2014.5.2~2016.8.11 휴가 중 교통사고로 사망
24대 윤기희 예) 준장 해사 41기 2016.8.16~2018.1 -
25대 김기재 예) 준장 해사 43기 2018.1~2020.1 -
26대 김영신 예) 준장 해사 44기 2020.1~2021.12.28 -
27대 이상식 준장 학군 37기 2021.12.28~2022.07.15 초대 해군항공사령관 [a]
역대 해군항공사령관[7]
역대 이름 계급 임관 재임기간 비고
초대 이상식 준장 학군 37기 2022.07.15~2022.12.08 초대 해군항공사령관 [a]
2대 김성학 소장 해사 45기 2022.12.08~2023. 12. 04 항해병과, 前 제1함대사령관
3대 하성욱 준장 해사 47기 2023. 12. 04~ 前 해군항공사령부 부사령관
4대 조영상 준장(진) 해사 50기

5. 조직

대한민국 해군은 독자적인 항공기 보유를 위해 1951년 4월 1일 진해 해군기지 해군공창에 ‘항공반’을 조직하고, 동년 8월 우리나라 최초의 수상항공기 ‘해취(海鷲)호’를 취역시켰다. 1957년 3월 쌍발 수상정찰기인 ‘제해(制海)호’를 제작하고, 동년 7월 15일 한국함대 예하 함대항공대로 창설됐으나 1963년 해체됐다. 함대항공대는 1973년 5월 1일 재창설됐고, 동년 10월 10일 해군과 해병대 항공대(U-6 6대, OH-23 7대, O-1 12대)가 통합됐다. 함대항공대는 1977년 1월 24일 함대항공단으로 승격돼, 예하에 비행전대가 신편됐다.1978 7월 16일 함대항공단이 김해국제공항에서 포항 해군기지로 이전하고, 비행전대는 제1비행전대로 개편됐다. 1980년 12월 15일 제2비행전대가 창설됐다.

함대항공단은 1986년 2월 1일 해군작전사령부 예하 제6항공전단으로 개편됐다. 예하 부대는 제61비행전대(구 제1비행전대), 제62비행전대(구 제2비행전대), 제63정비전대(구 정비전대), 제65기지전대(구 기지전대)로 개칭됐고, 2001년 5월 1일 제609교육훈련전대(구 교육대대)가 창설됐다. 2007년 12월 1일에는 제61해상초계기전대(개칭), 제62해상작전헬기전대(개칭), 제63상륙기동헬기전대(창설), 제65군수전대(개칭), 제66기지전대(개칭)로 조직을 개편하고, 함대 항공대대(함대 직할부대)들을 창설했다.

5.1. 편성

6. 항공작전기지

7. 운용 항공기

파일:roknp-3ck.jpg
대한민국 해군의 P-3CK와 P-3C 해상초계기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696969><rowbgcolor=#696969> 구분 || 기종 || 제조국 || 보유 || 계획 || 비고 ||
고정익
해상초계기 P-3C 미국 8대 - 도입 1년후 업데이트 Ⅲ 개량
P-3CK 8대 - 중고 P-3B 도입 후 KAI에서 업데이트 Ⅲ 개량
P-8A 6대 - 2024년 6월19일 3대 도입, 6월 30일 3대 도입
대공표적예인기 F406 캐러반 Ⅱ 프랑스 5대 - 표적예인기
회전익
해상작전헬기 슈퍼링스 영국 23대 - MK.99, MK.99A 25기 도입, 3기가 추락했지만 1기는 재생
와일드캣 8대 - 1차 해상작전헬기 사업 선정(도입 및 전력화 完)
MH-60R 미국 - 12대 2차 해상작전헬기 사업 선정#
해상기동헬기 UH-60P 미국 8대 - 10대 도입 후 2기 손실
훈련기 UH-1H 미국 8대 - 알루엣 퇴역 후 기동헬기에서 전환
Bell 505 - 8대 육군 회전익 훈련기 사업과 동시진행

8. 조종복

파일:attachment/nvoga.jpg
▲ 80년대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착용했던 주황색 조종복. 바다에 빠졌을 때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이런 색을 썼다. 50~60년대에는 회색 조종복을, 70년대에는 남색 조종복을 입었다.

파일:external/dk.breaknews.com/2011031719493861.jpg
▲ 2010년대 들어서는 대한민국 공군과 동일한 색상으로 바뀌었다.[13] 모자 또한 2014년경 사진의 흑색모 대신 개리슨모를 착용하도록 바뀌었다.

8.1. 흉장

파일:external/blogs.c.yimg.jp/img_0?1360975971?.jpg
조종사 흉장
조종사는 공군과 마찬가지로 3단계(지휘, 선임, 기본조종사)의 흉장이 있다. 항공조종이 아닌 전술관 등 비조종 승무원을 위한 단일 등급의 조작사 흉장도 있다.
파일:attachment/해군 항공대/navywing.jpg
항공직별 흉장[14]

9. 사건·사고

10. 기타

11. 관련 영상




[1] 영문 부대명은 제6항공전단의 전신인 함대항공단(Fleet Air Wing)에서 유래했다.[2] 독도함 등을 갖추게 되자 해병대에서는 2014년 항공병과를 창설해 보병의 항공특기였던 각 사단 및 해병대사령부 항공대를 항공병과로 바꾸었고 현재는 해병대 항공단이 창설될 예정이다.[3] 해군사관학교가 1999년부터 여자 생도를 받아들인 것에 비해 공군사관학교는 1997년부터 여자 생도를 받아들여서 아무래도 공군의 여군의 주요 보직 진출 속도가 빠른 편이다. 육군의 육군항공작전사령부항공준사관도 있지만 회전익기라서 인지도가 높지는 않다.[4] 잠수함사령부에 들어가려면 진해기지사령부로 들어와서 잠수함사령부가 있는곳으로 이동해야 한다.[5] 함대항공단 단장 포함(초대~7대), 볼드로 강조된 이름은 대장까지 진급한 사령관[a] 부경대학교를 졸업하고 해군 소위로 임관했다. 한국해양대에서 해양공학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한 뒤, 해군본부 인재개발교육과장, 해군본부 인재획득과장, 부산기지 지원전대장 등을 역임했다. 해군학군 37기는 해군사관학교 46기와 동기급이다.[7] 볼드로 강조된 이름은 대장까지 진급한 사령관[a] 부경대학교를 졸업하고 해군 소위로 임관했다. 한국해양대에서 해양공학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한 뒤, 해군본부 인재개발교육과장, 해군본부 인재획득과장, 부산기지 지원전대장 등을 역임했다. 해군학군 37기는 해군사관학교 46기와 동기급이다.[9] 2021년 10월 1일 제73주년 국군의 날 행사 때 창설, P-8 운영 예정.[10] 2020년 2월부로 제63해상기동헬기전대(구 제63상륙기동헬기전대)에서 해상항공혼성전대로 부대명을 바꾸고 637비행대와 639비행대를 창설했으며, 7월 15일 항공사령부 창설을 기해 61,62전대와 함께 명칭이 해상항공전대로 변경되었다.[11] 구 제66기지전대[12] 대진리라는 마을에 위치해 있어 생환대 대신 대진리라고도 불린다.[13] 주황색 조종복이 미국의 죄수복이나 소방항공대의 복장과 헷갈려보일 수 있어서 바꿨다는 둥의 추측도 있었지만, 공식적으로는 상륙전 등으로 인해 육상에서 작전 중 추락할 경우 위장성을 높이고, 육군 및 공군과 동일한 조종복을 도입해 피복비를 절감해 보자는 취지가 이유라고 한다.[14] 정비사뿐만 아니라 관제사/무장사도 착용하며 조작사/전자사는 전파를 형상화한 문양이 들어가있다. 항공직별 수병의 군복에도 새겨진다.[15] 다만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청해부대)는 수당도 많고 휴가도 주기때문에 지원자가 꼭 1명은 있고 충분히 마음먹고 가는거라 반 강제로 격오지 발령받는 수준은 아니다. 물론 가면 힘들긴 하다 그리고 병은 해당 없다.[16] 육상 부대의 부서장 보직들을 타 병과 장교들과 나눠 맡는다.[17] P-3는 제주공항과 제16전투비행단로 분산 이동했고 CARV-2는 무안국제공항으로 이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