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戰隊長.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공군의 부대 단위인 전대의 지휘관을 말한다. 대령들이 맡는다. 보통 육군이 많은 대한민국 국군의 상황상 '연대장과 동급이다' 정도로 생각하면 편하다.2. 특징
2.1. 해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1b69><colcolor=#fff> 계급 | 대위 | 소령 | 중령 | 대령 | 준장 | 소장 | 중장 | 대장 |
육상 부대 | 중대 | 편대 | 대대 | 전대 | 전단, 기지(방어)사령부 | 함대, 잠수함사령부, 항공사령부 | 작전사령부 | 해군참모총장 | |
지휘관 | 중대장 | 편대장 | 대대장 | 전대장 | 전단장, 사령관 | 함대사령관, 잠수함사령관, 항공사령관 | 해군작전사령관 | ||
함정 | 4급함 | 3급함 | 2급함 | 1급함 | - | ||||
지휘관 | 정장 | 함장 | - | ||||||
해병 부대 | 중대 | 대 | 대대 | 연대, 여단 | 여단 | 사단 | 해병대사령부 | - | |
지휘관 | 중대장 | 대장 | 대대장 | 연대장, 여단장 | 여단장 | 사단장 | 해병대사령관 | ||
※둘러보기: 군사학교 | }}}}}}}}} |
해군의 경우 전단 이상 부대 밑에 속하는 단위이며, 둘 이상의 함정이나 편대, 항공기들로 구성된 부대의 장이 된다. 대한민국 해군의 제1함대사령부, 제2함대사령부, 제3함대사령부 산하에 전단급 부대인 해상전투단[1](구 전투전단)을 두고 있으며 해군작전사령부 직속 전단[2]도 있다. 이 중 제7기동전단은 사실상 함대보다 강력한 전력을 자랑하는 대한민국 해군 최강의 단위부대이다.
규모와 구성에 따라 대령 또는 중령이 전대장으로 보임한다. 대령급 전대의 경우 전대장이 함장들보다 임관 기수로는 선배이다.
2.2. 공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39f><colcolor=#fff> 편제 [[지휘관| 지휘관 ]] | 대대급 이하 | ||||||
중대급 이하 | 대대급 | |||||||
반 [[반장(동음이의어)#s-5| 반장 ]] | 중대 [[중대장| 중대장 ]] | 대 / 포대 [[대장#s-2.1| 대장 ]] / [[포대장|포대장 ]] | 대대 [[대대장| 대대장 ]] | |||||
소대 [[소대장| 소대장 ]] | ||||||||
분대 [[분대장#s-6.5| 분대장 (2L) ]] | 편대 [[편대장| 편대장 (4L) ]] | |||||||
전투·전투지원부대 | 전투근무지원부대 | |||||||
전대급 | 단급 | 전대급 | 단급 | |||||
전대 [[전대장| 전대장 ]] | 비행단 / 미사일방어여단 [[비행단장| 비행단장 ]] / [[여단장|여단장 ]] | 단 [[단장#s-1.1| 단장 ]] | ||||||
사령부급 | ||||||||
기능사령부급 | 작전사령부급 | |||||||
기능사령부 [[공군기능사령관| 기능사령관 ]] | 작전사령부 [[작전사령관| 작전사령관 ]] | |||||||
※둘러보기: 군사학교 | }}}}}}}}} |
戰隊長 | Group Leader 등
공군의 경우에 통상 전대장들은 대령 계급으로 비행단장 밑이며(방공관제사령부의 경우, 사령관 밑으로 바로 전대장이다.) 비행단 내에서 단본부에 있는 참모들을 감안해도 지휘관들 중엔 제일 높다. 어차피 비행단 부단장도 대령이라서 육군으로 치면 사단장 밑에 있는 연대장들 수준이다. 밑에는 대대장들을 두게 된다.
비행단 소속 전대는 보통 작전지원전대, 항공작전전대, 기지방호전대, 항공정비전대 등으로 나뉘며, 비행부대가 아닌 곳은 각 사령부 별로 방공통제전대나, 항공통제비행전대, 수송전대 등의 부대를 두는 곳이 있고, 제38전투비행전대 같은 공군공중전투사령부 직할의 독립전대도 있다. 여러 전대장 중 제일 끗발이 좋은 건 역시 조종 특기인 비행전대장이다. 근데 조종과 하등 관계없는 직책인 기지지원전대장 같은 경우도 조종특기들이 하는 경우가 많아서... 제73전대 같은 경우엔 공군기상단으로 바뀌었다.
항공작전전대장은 상관없지만 나머지 전대장 자리마저 조종특기 출신이 가져가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항공작전전대가 아닌 타 전대에서 근무해 본 경험이 없거나 적기 때문에 예하부대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부대의 전문성을 높히려면 기지방호전대장은 방공포병이나[3] 군사경찰 및 공병 특기 대령이 맡고, 작전지원전대장은 보급수송 같은 군수 특기 대령이 맡아야 하지만 조종 특기 장교들을 잡아두기 위해 대령T/O를 조종 특기에게 몰아주면서[4] 지휘관 자리를 조종사 출신에게 양보하게 되었다. 간혹, 공병이나 군사경찰 출신이 기지방호전대장에 보임되는 경우가 있지만 극히 드문 일이다. 그나마 항공정비전대장은 전문성이 특히 중요하기 때문인지 항공무기정비 같은 군수 특기 출신이 주로 보임되고 있다.
[1] 제1해상전투단, 제2해상전투단, 제3해상전투단[2] 제5기뢰/상륙전단, 제7기동전단, 제8전투훈련단, 해군 특수전전단, 해양정보단[3] 사실 방공포병은 비행단 내 대대급으로 편제된 군사경찰과 공병과는 달리 대공방어대 정도로 편제되고, 주로 존재하는 곳은 미사일방어사령부이다.[4] 조종사들에게 대령 진급을 보장해 주지 않고 타 특기와 경쟁해서 대령 진급을 하고, 나머지는 중령까지 하고 나가야 한다면 아마 대부분 조종사가 의무복무 기간 이상 군에 남아있는 선택을 하기 쉽지 않을 것이다. 보통 군 출신 조종사의 재취업이 가장 잘 되는 시기는 갓 의무복무를 마친 소령 때이고, 대령 못 달았으니 나가라고 쫓겨날 시기인 만 53세에 군문을 나서면 그냥 집에서 쉬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