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31 22:32:39

연대장

대한민국 육군/해병대국방부 직할부대의 편제단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6400>대(隊)급 편제
편제분대소대중대지역대대대연대
지휘관분대장반장소대장중대장지역대장대장대대장연대장
부지휘관부분대장 부소대장부중대장  부대대장부연대장
단(團)급 편제군(軍)급 편제
편제여단사단군단작전사령부야전군집단군군관구
지휘관단장여단장사단장군단장작전사령관야전군사령관집단군사령관군관구사령관
부지휘관부단장부여단장부사단장부군단장부사령관
포병의 편제지휘소
편제포반 전포대포대포병단사령부
지휘관포반장전포대장포대장단장사령관
※둘러보기: 군사학교 }}}}}}}}}

파일:attachment/직책표지/직책표지33.jpg
연대장의 직책표지

1. 개요2. 특징3. 기타4. 대중매체에서 연대장

[clearfix]

1. 개요

聯隊長, Regimental Commander

군대의 전술제대인 연대지휘관.

2. 특징

대령이 보임되는 직위이며, 일반적인 전투부대 지휘관으로서는 직속 하급자인 대대장과 한 계급 차이인 최초의 직위라 경우에 따라선 기수 역전이 일어날 수 있는 보직이다. 때문에 2010년까지는 대대장과의 짬 차이를 벌리기 위해 일부러 갓 진급한 대령은 보임시키지 않았다. 연대장이 대대장과 동기이거나 대대장보다 후임일 경우 지휘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령 진급은 확정되었으나, 아직 대령 계급장을 받지는 못한 '대령(진)' 상태에서 사단, 여단참모장이나 군단참모 또는 대한민국 국방부육군본부에서 실무장교의 보직을 거친 후에 연대장에 취임했었다. 그러나 2011년부터는 반대로 연대장 보직을 끝낸 대령을 참모로 보임시킨다. 그동안 이 자리에 대령(진)이 다수 보임된 것이 이들의 개인 인사관리로 6개월 만에 교체되는 현상이 반복되어 지휘관과 부대가 어려움을 겪던 현실을 개선한 것이라고. 국방일보 기사

사단 개념이 생기기 전까지는 연대가 가장 기본적인 전술제대였으나 나중에 사단에 그 자리를 빼앗기고 사단과 대대의 중간에 해당하는 위치가 되었다. 그래서 시대별로 위상이 조금씩 다르다. 한국, 미국 등 현대적인 육군 체제에서는 위상이 낮은 편이다. 반면 과거의 영국 육군은 '연대 중심'의 군대였다.[1]일본군 육군도 연대장의 위상이 높았는데, 천황에게 수여받은 연대기를 갖는 연대장을 육군 보직의 꽃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과거엔 후방 동원사단이 아닌 전방사단의 경우, 이 자리에 들어올 때는 직책 계급장 패용 대상자로 대령(진)이라도 중령이 아닌 대령 계급장을 패용했으며, 현재는 전/후방 구분 없이 연대장 보직자는 전부 직책계급장을 단다.

연대는 독립적인 지휘부와 참모부를 갖춘 최소단위의 부대이다. 대대에도 참모와 참모부는 존재하지만 편제상으로는 본부중대에 소속되어 있고, 특정 과의 경우는 장교 하나에 담당관 하나, 계원 1~2명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부서라고 보기도 뭔가 애매하다. 그러나 연대의 경우는 각 참모부마다 제대로 된 직책들이 존재하며 각 참모부와 본부중대가 분리되어 있다. 연대 참모부는 소령급 참모(과장)와 그 휘하에 중/대위급 참모장교, 그리고 여러 명의 담당관들이 존재한다.

휘하에 대대장들을 거느리면서 이들에게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위치이다. 아울러 보병부대는 연대장부터 휘하 장병들의 인사권을 갖게 된다. 단 포병부대는 각 포대장이 인사권을 갖는다.

연대장이 대대장과 구분되는 중요한 권한 중 하나가 바로 장교를 상대로 '현역 부적합 심의'를 개최할 자격을 가졌다는 것이다. 즉, 장교를 보직해임시킬 수 있는 권한은 연대장 이상이 되어야 가질 수 있다.

연대장부터는 지휘성격 자체가 달라진다. 대대장까지는 병들의 생활에 직접 관여하는 방식의 지휘가 이뤄지지만 연대장부터는 참모와 직할중대를 이용한 지휘방법이 주가 되고 일선 대대에는 지침이나 운영 방침의 윤곽내로 제한하는 방식으로 지휘업무가 진행된다. 대대장 또한 독립된 부대의 지휘관이기 때문에 함부로 지휘권을 휘둘러선 안되기 때문에, 대대장에게 지침과 명령을 통해 휘하 대대를 지휘하는 방식이므로 임무형 지휘로 이해할 수도 있다.

3. 기타

이나 단기복무 간부 입장에서는 연대본부 등 상급제대에서 근무하거나 전입/전역신고[2]하러 가는 경우 등을 제외하면 직접 대면할 일은 거의 없다.[3] 하지만 GOP에서 근무하게 된다면 이틀에 한 번꼴로 철책순찰 나오는 연대장을 맞이해야 하니 긴장해야 한다.

군사정권 시절에는 중·고등학교에도 군대처럼 연대장을 두었다. 학생회를 대신하여 학도호국단이 신설되자 학교별로 있는 이 기구의 수장이었다. 보통 운동장 조회교련 때 구령을 붙이는 인솔자 역할이다.[4] 물론 규모가 작은 학교는 연대장이 아닌 대대장이라고 했다. 사관학교에서 학생회장에 해당하는 사관생도는 여전히 연대장생도라고 불린다. 해군사관학교는 해병대 편제를 바탕으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나 공군사관학교는 전대장생도로 칭한다. 일부 사관학교에서는 생도 제대 규모를 확장하여 여단급으로 개편하면서 연대장생도가 아닌 여단장생도 직책이 생겼다.

4. 대중매체에서 연대장

취사병 전설이 되다 - 배원영, 61연대장, 62연대장, 포병연대장


[1] 영국의 육군이 연대 중심인 이유는 만성적인 인구 부족 때문이다. 18세기 말까지 겨우 본토가 1천만 인구였고, 1830년대에 본토 인구가 1300만명은 넘긴다. 18세기 말 프랑스는 2500만, 독일(신성로마제국)은 3천만, 네덜란드는 400만이었고, 지구 반대편 일본은 3천만, 조선은 1800만이었음을 생각하면 터무니없이 적은 인구다.[2] 간부 한정. 일반병들은 대대장에게 신고한다.[3] 일부 대대의 경우에는 연대본부와 붙어있기도 하다. 이 경우에는 간혹 보게 된다.[4] 황교안경기고등학교 다닐 적에 이 연대장을 맡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