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1 20:35:08

한반도 지형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943b5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명승 名勝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명주 청학동 소금강
  1. 거제 해금강
  2. 완도 정도리 구계등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해남대둔산일원}}}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승주송광사선암사일원}}}
  1. 울진 불영사계곡 일원
  2. 여수 상백도·하백도 일원
  3. 옹진 백령도 두무진
  4. 진도의 바닷길
  5. 삼각산
  6. 청송 주왕산 주왕계곡 일원
  7. 진안 마이산
  8.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
  9. 영월 어라연 일원
  10.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
  11. 예천 회룡포
  12. 부산 영도 태종대
  13. 소매물도 등대섬
  14. 예천 선몽대 일원
  15. 제천 의림지와 제림
  16. 공주 고마나루
  17. 영광 법성진 숲쟁이
  18. 봉화 청량산
  19. 부산 오륙도
  20. 순천 초연정 원림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호~124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9%, #fff 9%, #fff 10%, #000 10%, #000 14%, #fff 14%, #fff 15%, #000 15%, #000 19%, #fff 19%, #fff 81%, #cd313a 81%, #cd313a 90%, #0047a0 90%)"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f,#fff>
파일:800px-Ramsar_logo.svg.png
}}}}}}
{{{#!folding [ 펼치기 · 접기 ]경기 강화 매화마름군락지 | 밤섬 | 송도갯벌 | 대부도갯벌 | 장항습지
관동 대암산용늪 | 오대산 국립공원습지 | 한반도습지
호서 두웅습지 | 서천갯벌
호남 장도습지 | 순천만·보성갯벌 | 무안갯벌 | 고창·부안갯벌 | 운곡습지 | 증도갯벌 | 동천하구 | 평두메습지
영남 우포늪 | 무제치늪 | 문경 돌리네 습지
제주 제주 물영아리오름습지 | 제주 물장오리오름습지 | 제주 1100고지습지 | 동백동산습지 | 숨은물벵듸
}}} ||


파일:영월군 CI_White.svg 영월10경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영월읍 장릉 청령포 별마로 천문대 돌돌 어라연
김삿갓면 김삿갓 유적지 고씨동굴
한반도면 한반도 지형 재약산
무릉도원면 법흥사 요선정요선암
}}}}}}}}} ||
대한민국의 명승 제75호
<colbgcolor=#943b58><colcolor=#fff> 영월 한반도 지형
寧越 韓半島 地形
Miniature Shape of the Korean Peninsula, Yeongwol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한반도면 옹정리 180 일원
분류 자연유산 / 명승 / 문화경관
면적 340,627㎡
지정일자 2011년 6월 10일
소유자 영월군
관리자 영월군

1. 개요2. 발견3. 특징4. 유사한 지형

1. 개요

파일:ㅎㄷㄱ ㅈㅎ.jpg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한반도면 옹정리 산 180에 평창강주천강이 만나는 곳이자 서강이 시작되는 곳에 위치해 있는 한반도의 지형을 닮은 절벽.

2. 발견

옛 부터 옹정리에서 신천을 고개 넘어 왕래하던 사람들이 늘 보던 풍경이었으나 그 가치를 깨닫지 못하던 중, 쓰레기 매립장 설치 계획을 계기로 1999년 12월 22일 그 모양을 최초로 인식하게 되어 결국 매립장 계획은 백지화 되었다. 당시 영월 전역에 동강댐 건설 반대 여론이 크게 일어나던 상황과 절묘하게 맞물려 보존의 길로 들어선 셈.

3. 특징

동고 서저의 지형, 서해안의 갯벌, 백두대간압록강의 형상이 절묘하게 배치되어 전국 각지에서 각종 아류 한반도가 속출하는 상황에서도 최고의 경관 자리를 지키고 있다. 볼 사람은 다 본 선돌과 달리 비교적 알려진 지 오래되지 않은 비경이라 전국에서 관광객들이 폭증하는 추세. 선암재 아래의 밭을 메워 주차장을 만들었음에도 도로 한 차선을 줄줄이 차들이 채우는 상황이며 그러다 보니 줄이 길게 이어진 끝 부분의 관광객들은 통제된 옛길 탐방로를 멋대로 열어서 진입하기도 한다.

이러한 유명세로 아예 행정구역 서면을 한반도면으로 바꾸는 계기를 제공했으며, 명승 제75호로 지정된 것에 이어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한반도지형을 포함한 근방의 하천은 한반도습지(韓半島濕地)로 2015년 5월 13일 람사르 습지에 등록되었다.

동쪽 방향 바로 옆에 석회암광산이 있어 도덕산 하나가 통째로 없어지고 암반 대지만 남은 것을 볼 수 있었는데 한반도 지형이 유명세를 치르자 광산 진입로는 폐쇄된 상태이다. 현재의 우회도로가 생기기 전에는 광산을 통과하는 비포장도로가 있었으며 말 그대로 풀 한 포기 없는 회색 대지를 볼 수 있었다. 지역 주민들과 돌가루로 인한 대기 오염, 수질 오염으로 자주 마찰을 빚은 바 있다. 신천에 서울 도심에서나 있을 법한 대기 오염 현황판을 볼 수 있는 것도 그 영향. 이곳에 놀러와서 '공기 좋다'라는 착각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서쪽은 아름다운 경관 보존으로 융성, 동쪽은 식물도 못 자라는 척박지로 극명한 대비.

4. 유사한 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