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강의 교량들을 이 문서에 기재하였다.2. 목록
한강의 교량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하류 | 하성미개통 - 일산 - 김포 - 행주 - 방화 - 마곡(철) - 가양 - 월드컵 - 성산 - 양화 - 당산(철) - 서강 - 마포 - 원효 - 한강(철) - 노량 - 한강 - 동작 - 반포(잠수) - 한남 - 동호 - 성수 - 영동 - 청담 - 잠실 - 잠실(철) - 올림픽 - 천호 - 광진 - 구리암사 - 고덕토평 - 강동 - 수석미개통 - 미사 - 팔당 - 제2팔당미개통 - 팔당댐 관리교 | ← 상류 | 북한강 |
남한강 | ||||
북한강 | 남한강 | 중랑천 | 청계천 | 경안천 | 탄천 | 양재천 | 안양천 | 도림천 | }}}}}}}}} |
[1] 자전거나 개인형 이동장치를 타고 한강을 건널 경우 밑의 문장을 참고하는게 좋다.
자전거, 개인형 이동장치 통행 가능 표기가 없는 모든 교량은 자전거와 개인형 이동장치의 통행이 불가능하여 보도가 있는 경우 보도에서 끌고 가거나 인근 교량으로 우회해야 한다.[2] 강동구는 고덕대교를, 구리시는 구리대교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그래서 이름이 고덕토평대교(가칭)로 됐다.2023년 4월 25일 크랩 유튜브에 올라온 영상.[3] 퇴계원 방향은 1991년, 판교 방향은 2002년 개통[4] 2014년 11월 21일 개통, 단, 강변북로 및 올림픽대로 접속 램프는 2015년 개통[5] 과거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다리로, 노후가 계속되어 1994년 철거 후, 1997년 다시 건설에 들어가서 2003년 임시 개통 후, 2005년에 완공되었다.[6] 원래 하저터널로 통과하나 하저터널 통과 지점이 천호대교 바로 한가운데 밑이라 하저터널로 천호대교를 건너는 것에 해당한다.[7] 대한민국 최초의 사장교이다.[8] 수위 조절용 보인 잠실보가 있다.[9] 붕괴로 인한 재건축[10] 2001년에 새 다리를 개통 후, 기존의 도로는 보수공사를 하여, 2004년에 재개통하였다.[11] 일제강점기에 한강 위에 최초의 인도교로 건설되었으나, 여러차례 파괴된 후, 1954년 완전 복구되었다. 이후, 확장공사에 들어가서 1981년에 신교를 만들어 왕복 8차로로 개통되었다.[남단] 한강 남쪽 둔치를 따라 건설된 다리.[13] 1900년 단선으로 개통 이후, 1912년, 1944년 선로를 늘렸으나, 한국전쟁 이후 1951년 단선, 1957년 복선을 거쳐 1969년 복복선으로 운행하였고, 이후 1992년 3복선화되었다.[14] 대한민국 최초의 근대식 교량이다.[15] 1970년 개통된 이후, 2000년 하류 쪽으로 새로운 교량을 개통한 이후, 기존의 교량을 철거하고 2005년 다시 개통되었다.[16] 1983년 개통된 이후, 성수대교 붕괴 사고에 따라 실시한 한강 교량 정밀 점검에서 붕괴 가능성이 높게 제기되어, 1997년 전면 재시공에 착수한 뒤 1999년에 재개통되었다.[17] 1965년에 처음 개통하였고, 1982년 상류 쪽에 하나 더 교량을 개통하였다. 이후 보강에 들어가, 2000년에 구교를 재개통하고 2002년 신교를 재개통하였다.[18] 1978년 구교가 개통된 이후, 1995년 하류쪽 신교, 2000년 상류쪽 신교가 개통되었다.[19] 수위 조절용 보인 신곡보가 있다.
자전거, 개인형 이동장치 통행 가능 표기가 없는 모든 교량은 자전거와 개인형 이동장치의 통행이 불가능하여 보도가 있는 경우 보도에서 끌고 가거나 인근 교량으로 우회해야 한다.[2] 강동구는 고덕대교를, 구리시는 구리대교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그래서 이름이 고덕토평대교(가칭)로 됐다.2023년 4월 25일 크랩 유튜브에 올라온 영상.[3] 퇴계원 방향은 1991년, 판교 방향은 2002년 개통[4] 2014년 11월 21일 개통, 단, 강변북로 및 올림픽대로 접속 램프는 2015년 개통[5] 과거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다리로, 노후가 계속되어 1994년 철거 후, 1997년 다시 건설에 들어가서 2003년 임시 개통 후, 2005년에 완공되었다.[6] 원래 하저터널로 통과하나 하저터널 통과 지점이 천호대교 바로 한가운데 밑이라 하저터널로 천호대교를 건너는 것에 해당한다.[7] 대한민국 최초의 사장교이다.[8] 수위 조절용 보인 잠실보가 있다.[9] 붕괴로 인한 재건축[10] 2001년에 새 다리를 개통 후, 기존의 도로는 보수공사를 하여, 2004년에 재개통하였다.[11] 일제강점기에 한강 위에 최초의 인도교로 건설되었으나, 여러차례 파괴된 후, 1954년 완전 복구되었다. 이후, 확장공사에 들어가서 1981년에 신교를 만들어 왕복 8차로로 개통되었다.[남단] 한강 남쪽 둔치를 따라 건설된 다리.[13] 1900년 단선으로 개통 이후, 1912년, 1944년 선로를 늘렸으나, 한국전쟁 이후 1951년 단선, 1957년 복선을 거쳐 1969년 복복선으로 운행하였고, 이후 1992년 3복선화되었다.[14] 대한민국 최초의 근대식 교량이다.[15] 1970년 개통된 이후, 2000년 하류 쪽으로 새로운 교량을 개통한 이후, 기존의 교량을 철거하고 2005년 다시 개통되었다.[16] 1983년 개통된 이후, 성수대교 붕괴 사고에 따라 실시한 한강 교량 정밀 점검에서 붕괴 가능성이 높게 제기되어, 1997년 전면 재시공에 착수한 뒤 1999년에 재개통되었다.[17] 1965년에 처음 개통하였고, 1982년 상류 쪽에 하나 더 교량을 개통하였다. 이후 보강에 들어가, 2000년에 구교를 재개통하고 2002년 신교를 재개통하였다.[18] 1978년 구교가 개통된 이후, 1995년 하류쪽 신교, 2000년 상류쪽 신교가 개통되었다.[19] 수위 조절용 보인 신곡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