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14 17:19:21

포항 야구장/1호 기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포항 야구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074ca1,#074ca1><tablebgcolor=#074ca1,#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74ca1,#074ca1> 기본 정보 삼성그룹 | 제일기획 | 삼성스포츠 | 삼성 라이온즈 | 삼성 라이온즈 2군
주요 인물 구단주·대표이사 유정근단장 이종열감독 박진만2군 감독 정대현주장 구자욱
경기장 1군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1호 기록) · 포항 야구장(1호 기록)2군 경산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
스프링캠프 온나손 아카마 볼파크재활 삼성 트레이닝 센터이전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주요 정보 선수단등번호유니폼마스코트 블레오사건 · 사고프랜차이즈 스타삼성 왕조암흑기(2차)통산 기록 일지상대 전적
관련 정보 삼적화여름성이마양채최박조원수박차JOKKA 라인윤안임오곤규엽굴비즈최원태인삼나쌩 · 삼상바 클럽기롯삼한라떼동맹임김오
라이벌리 vs KIA 달빛 시리즈vs 롯데 클래식 씨리즈vs 두산 싸대기 매치vs 현대 재계 라이벌 시리즈
영구 결번 10 양준혁21 오승환22 이만수36 이승엽
최종 우승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1985년 통합 우승(V1)2002년 한국시리즈(V2)2005년 한국시리즈(V3)2006년 한국시리즈(V4)2011년 한국시리즈(V5)
2012년 한국시리즈(V6)2013년 한국시리즈(V7)2014년 한국시리즈(V8)
현재 시즌 삼성 라이온즈/2025년
팬덤 정보 응원가(구단 · 선수)|디시인사이드 삼성 라이온즈 갤러리유튜브 LionsTV네이버 카페 사자 사랑방팬 게시판 사자후(폐쇄)응원단장 김상헌 이범형허니크루치어리더대구아재
지역 연고 경북고대구고상원고포철고경주고의성고강릉고설악고도개고예일메디텍고
기타 이승엽 와도 자리 없다나믿가믿삼팬이지만 인정한다돈 내놔라 먹튀야왕조 부활 선언김헌곤 유니버스 | 세이브 조작단 | 오승환/밈 | 상대 전적
틀 문서
역대 시즌역대 감독역대 주장역대 1차지명응원단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

1. 개요2. 원정팀별 첫 정규 경기3. 1호 기록4. 시즌별 기록

1. 개요

포항 야구장 개장 이후 1호 기록들을 정리한 문서.

2. 원정팀별 첫 정규 경기

정규시즌 기준이며, 시범경기 다음해 2013년 3월 14일 NC 다이노스두산 베어스의 경기로 처음 열렸다. 포항에서 삼성 홈으로 열린 최초의 시범경기는 2015년 3월 7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다.

3. 1호 기록

다음은 포항 야구장에서 기록한 1호의 기록들.
한화 이글스 삼성 라이온즈
타순 선수명 포지션 타순 선수명 포지션
1 오선진 3B 1 배영섭 LF
2 이여상 2B 2 박한이 RF
3 최진행 LF 3 이승엽 1B
4 김태균 1B 4 박한이 3B
5 이대수 SS 5 최형우 DH
6 장성호 DH 6 진갑용 C
7 오재필 CF 7 정형식 CF
8 신경현 C 8 조동찬 2B
9 고동진 RF 9 김상수 SS
SP 박찬호 SP 장원삼

개장 하루만에 각종 사건사고가 터졌다. 조명탑 불이 나가기도 했으며,[7] 최형우의 1루쪽 폴 뒤로 넘어간 홈런성 타구의 파울/홈런 판정 문제가 발생하기도.[8] 결국 홈런으로 인정되었으며 또 장성호의 2,000안타, 이승엽의 KBO 통산 400홈런 등 의미있는 기록들이 많이 나왔다.

4. 시즌별 기록

삼성 라이온즈 포항 야구장 전적
시즌 승무패 승률
2012년 2승 0무 1패 0.667
2013년 7승 0무 3패 0.700
2014년 8승 0무 1패 0.889
2015년 9승 0무 1패 0.900
2016년 3승 0무 3패 0.500
2017년 4승 0무 2패 0.667
2018년 4승 0무 2패 0.667
2019년 2승 0무 4패 0.333
2022년 1승 1무 1패 0.500
2023년 1승 0무 5패 0.167
2024년 1승 0무 1패 0.500
최종성적 42승 1무 24패 0.641

개장 이후 2015년 8월 16일 경기 종료 기준, 삼성의 포항 야구장 통산 성적은 32전 26승 6패, 승률 0.812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시범경기를 제외하고 2012년 2승 1패, 2013년 7승 3패, 2014년 8승 1패, 2015년 9승 1패) 오죽하면 삼성팬들의 약속의 땅이라고 부를 정도였으나 이승엽 마저 2017년에 은퇴한 이후엔 포항에서 힘을 못쓰고 있다.

포항 야구장 개장 이후 2023 시즌 두산 베어스와의 포항 야구장에서 피스윕을 당하며 포항 야구장에서 처음으로 피스윕이라는 불명예 기록이 추가되었다.

2025년 5월 13일 이승현이 선발로 나온 경기에서는 kt wiz 상대로 8연패를 끊어내면서 역시나 약속의 땅이라는 기사가 나왔다.


[1] 그 당시에는 SK 와이번스였다. SSG 랜더스로 명칭이 바뀐 이후에는 삼성 원정을 줄곧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에서만 했다.[2] 타이거즈는 어떻게 다시 강팀이 되었나의 본격 시발점이 된 3연전이었다.[3] 그 당시에는 넥센 히어로즈였다. 키움 히어로즈라는 이름의 첫 방문은 2019년 4월 16일이다.[4] 이 장외홈런으로 주차장에 있던 차가 파손되었다고 한다.[5] 이날 10회말까지 경기.[6] 공교롭게도 다음해 2014 시즌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의 1호 스윕도 이 두팀간에 그것도 포항 야구장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나왔다. 이때도 삼성이 스윕을 달성했지만 그때는 삼성이 원정팀이었다.[7] 장내 아나운서 왈, "그래도 여기는 하나만 나가세요, 대구는 다 나가는데."라고 얘기했다.[8] 애초 기둥이 상당히 짧은 관계로 경기수가 늘어나면 비슷한 상황이 더 발생할 수도 있다. 그래서 9월 18일 한화와의 경기전까지 폴대를 연장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