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4 08:32:42

채택

1. 2.
2.1. 생애2.2. 대중매체에서
2.2.1. 킹덤에서의 묘사

1.

Adopt

작품, 의견, 제도 따위를 골라서 다루거나 뽑아 씀.

2.

사기(史記)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D0D2D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1권 「오제본기(五帝本紀)」 2권 「하본기(夏本紀)」 3권 「은본기(殷本紀)」
공손헌원 · 전욱 · 제곡 · 방훈 · 중화
[ 펼치기 · 접기 ]
^^
하나라
^^
우왕 · 익왕 · 계왕 · 태강
중강 · 상왕 · 후예 · 한착
소강 · 저왕 · 괴왕 · 망왕
설왕 · 불강 · 경왕 · 근왕
공갑 · 고왕 · 발왕 · 걸왕
[ 펼치기 · 접기 ]
^^
선은 先殷
^^
· 소명 · 상토 · 창약 · 조어
· 왕해 · 왕항 · 상갑미 · 보을
보병 · 보정 · 주임 · 시계
^^
조은 早殷
^^
성탕 · 외병 · 중임 · 태갑 · 이윤
옥정 · 태경 · 소갑 · 옹기 · 태무
중정 · 외임 · 하단갑 · 조을 · 조신
옥갑 · 조정 · 남경 · 양갑
^^
만은 晩殷
^^
반경 · 소신 · 소을 · 무정 · 조경
조갑 · 늠신 · 경정 · 무을 · 태정
제을 · 제신
4권 「주본기(周本紀)」 5권 「진본기(秦本紀)」 6권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 펼치기 · 접기 ]
^^
서백 西白
^^
후직 · 부줄 · · 공류· 경절
황복 · 차불 · 훼유 · 공비 · 고어
아어 · 주공 · 태왕 · 왕계 · 문왕
^^
서주 西周
^^
무왕 · 성왕 · 강왕 · 소왕 · 목왕
공왕 · 의왕 · 효왕 · 이왕 · 여왕
주정공 · 소목공 · 공백화
선왕 · 유왕 · 휴왕
^^
동주 東周
^^
평왕 · 환왕 · 장왕 · 희왕 · 혜왕
폐왕 · 양왕 · 후폐왕 · 경왕(頃王) · 광왕
정왕 · 간왕 · 영왕 · 경왕(景王) · 도왕
서왕 · 경왕(敬王) · 원왕 · 정정왕 · 애왕
사왕 · 고왕 · 위열왕 · 안왕 · 열왕
현왕 · 신정왕 · 난왕
[ 펼치기 · 접기 ]
^^
진(秦)나라
^^
비자 · 진후 · 공백 · 진중
장공 · 양공 · 문공 · 헌공(憲公)
출자 · 무공 · 덕공 · 선공
성공 · 목공 · 강공 · 공공
환공 · 경공 · 애공 · 혜공
도공 · 여공공 · 조공 · 회공
영공 · 간공 · 후혜공 · 출공
헌공(獻公) · 효공 · 혜문왕 · 무왕
소양왕 · 효문왕 · 장양왕
시황제 · 이세황제 · 진왕 자영
7권 「항우본기(項羽本紀)」 8권 「고조본기(高祖本紀)」 9권 「여태후본기(呂太后本紀)」
항우 유방 여치
10권 「효문본기(孝文本紀)」 11권 「효경본기(孝景本紀)」 12권 「효무본기(孝武本紀)」
유항 유계 유철
보사기(補史記) 「삼황본기(三皇本紀)」
복희 · 여와 · 신농
※ 13권 ~ 22권은 표에 해당, 23권 ~ 30권은 서에 해당. 사기 문서 참고
}}}}}}}}}}}}
⠀[ 세가(世家)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 31권 「오태백세가(吳太伯世家)」 ||<-2><width=33%> 32권 「제태공세가(齊太公世家)」 ||<-2><width=33%> 33권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 ||
⠀[ 열전(列傳)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 61권 「백이열전(伯夷列傳)」 ||<-2><width=33%> 62권 「관안열전(管晏列傳)」 ||<-2><width=33%> 63권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 ||
}}} ||

채택
蔡澤
최종직위 <colbgcolor=#FFFFFF,#191919> 상방(相邦)
고향 연나라(燕國)
생몰 기간 기원전 ? ~ 기원전 ?

전국시대 진(秦)나라상방(相邦).[1]

2.1. 생애

연나라 사람으로 각 나라에 유세하고 다녔지만 조나라에서는 쫒겨났으며, 한나라, 위나라 등지를 떠돌다가 진나라에서 정안평, 왕계 등이 큰 죄를 짓고 이들을 천거한 범수가 곤란하다는 것을 듣고 진나라에 찾아가서 자신은 진나라 왕의 총애를 받고 재상직을 빼앗을 것이라는 소문을 퍼뜨렸다.

이 소문을 듣고 범수가 초대하자 백기, 상앙, 대부 종, 오기의 예를 들면서 "님보다 뛰어나고 공도 훨씬 많이 세웠던 그들이 한번 의심을 받으니깐 천명을 누리질 못했는데 님은 어떻겠습니까?"라고 말해서 범수가 자신을 천거하게 하면서 그를 물러나게 하여 진나라의 재상으로 상방(相邦)이 된다.[2]

상방이 되면서 주나라를 멸망시킬 계획을 세웠는데, 당시 주나라의 상황은 동주서주로 나뉘어져 있었고, 주나라의 천자인 난왕이 도읍을 서주로 옮겼는데, 실권은 서주 문공이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서주 문공이 진나라와의 동맹을 깨고 여러 제후들과 합종하여 난왕을 필두로 한 제후 연합군을 결성하여 진나라를 쳤다. 소양왕은 장군 를 시켜서 주나라를 공격했다. 결국에는 난왕과 서주 문공을 사로잡아 주나라와 서주를 멸망시켰다. 그러나 재상이 된 지 1년도 안돼서 모함을 당하자 재상에서 물러나 강성군(綱成君)에 봉해졌다. 그 후 10년간 살면서 소양왕, 효문왕, 장양왕, 진시황 등 4대에 걸쳐 섬겼으며, 연나라로 가서 연나라의 태자인 단을 인질로 진나라에 보내게 하였다.

2.2. 대중매체에서

2.2.1. 킹덤에서의 묘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채택(킹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재상[2] 하지만 진시황 대의 기록인 수호지진간에는 범수가 왕계의 죄에 연좌되어 죽은 것처럼 기록되어 있어 사기의 기술과는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