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7:37:53

이윤(상)

파일:상 갑골문.png
상(商) 국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선상 先商
초대 국군

2대 국군

소명
3대 국군

상토
4대 국군

창약
5대 국군

조어
6대 국군

7대 국군

왕해
8대 국군

왕항
9대 국군

상갑미
10대 국군

보을
11대 국군

보병
12대 국군

보정
13대 국군

주임
14대 국군

시계
조상 早商
초대 왕

대을
2대 왕

태정
3대 왕

태갑
비정통

이윤
복위

태갑
??대 왕

중임
4대 왕

복병
??대 왕

옥정
5대 왕

태경
6대 왕

소갑
7대 왕

옹기
8대 왕

태무
9대 왕

중정
10대 왕

복임
11대 왕

전갑
12대 왕

조을
13대 왕

조신
14대 왕

옥갑
15대 왕

조정
16대 왕

남경
17대 왕

양갑
만상 晩商
18대 왕

반경
19대 왕

소신
20대 왕

소을
21대 왕

무정
22대 왕

조경
23대 왕

조갑
24대 왕

늠신
25대 왕

경정
26대 왕

무을
27대 왕

문정
28대 왕

제을
29대 왕

제신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상(商) 왕
이윤
伊尹
파일:이윤.jpg
최종직위 (相)
(姒)
(伊)
(摯)
고향 공상(空桑)
생몰 기간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섭정(재위) 기간 사기:기원전 ?년 ~ 기원전 ?년(3년)
죽서기년:기원전 ?년 ~ 기원전 ?년(7년)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상나라 초기 재상. 본명은 윤지(尹摯).[1] 유신씨(有莘氏) 씨족의 일파라고 알려져 있으나, 일설에 따르면 유신씨의 노복으로 있었다는 설도 있다. 하나라걸왕을 무너뜨리고 상나라탕왕천하의 패자로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2. 생애

유신국(有莘國) 출신의 선비이자 요리사였다. 어릴 적 부모를 잃고 포인이라는 요리사에게 길러지며 요리와 공부를 배웠다고 한다. 이미 관직에 들어서기 전부터 이름난 선비였으며, 탕왕의 초빙을 세 번이나 받았다고 한다.[2] 하지만 유신국의 왕이 이윤을 내어주기를 거부했고 탕왕은 번번히 그를 등용하는 데 실패했다.

이에 이윤을 꾀어내기 위해 탕왕은 상나라에 비하면 매우 작은 나라인 유신국에게 혼인동맹을 제안했다. 유신국의 왕은 탕왕의 제안에 감복하여 자신의 딸을 내어주며 이윤을 시종, 즉 전속 요리사로 딸려가게 했다. 이렇게 이윤은 탕왕과 본인이 원하는 대로 상나라에 입조하였고, 탕왕은 이에 파격적으로 곧바로 상(相)에 임명하게 된다.

이후 이윤은 하나라를 무너뜨리기 위한 전략을 세우기 시작했다. 수차례 하나라에 파견되어 직접 정탐하였고 내부 혼란을 부추기기도 했다. 또한 상나라뿐 아니라 하나라의 다른 속국들까지 상나라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외교 활동을 하기도 했으며, 최종적으로는 군대의 지휘관으로서 결전지의 지리를 미리 탐사하여 이를 전투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걸왕을 무찌르고 상나라가 패권을 쥐게 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당시 사방 70리에 불과했다고 하는 상나라로서는 놀라운 일로 이윤의 역할이 컸다.

탕왕 사후 재상으로서 후임 군주들을 잘 모셨으나, 탕왕의 손자인 태갑 때에 이르러 태갑이 부덕한 행동을 보이자 궁궐 내에 별궁을 만들어 태갑을 가두고 3년간 국정을 섭정했다.[3] 이때 태갑을 비판하여 한 말이 '습여성성'(習與性成)이라는 사자성어로, 습관이 쌓이면 성품이 된다는 뜻이다. 이후 태갑이 자신의 부덕을 사과하자 이윤이 권력을 돌려주었다고 한다. 그리고 태갑왕이 덕행을 닦으니 이를 좋아하며 <태갑훈(太甲訓)>[4] 3편을 지어 태갑을 칭송했다고 한다.

사기에 따르면 태갑의 아들인 옥정[5] 때 이윤은 사망하는데, 이윤을 박(亳)에 장사 지낸 후 고단(咎單)은 이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옥정(沃丁)>을 지었다고 한다.

다만 여기엔 이설도 있다. 《죽서기년》에서는 태갑이 어려 왕권이 약화되자 이윤이 찬탈하여 어린 왕을 폐위시킨 후 별궁에 가두고 자신이 7년 동안 왕 노릇을 했는데, 태갑이 성장한 뒤 궁을 탈출하여 군사를 일으켜 이윤을 죽이고 왕권을 되찾았다고 서술되어있다. 진실이 어땠을지는 수천년 지난 오늘날엔 아무도 모를 일.

3. 여담

이윤은 일단 명재상으로 알려진만큼, 후대엔 권신들이 군주를 쫓아낼 때 대는 단골 핑계 인물 두 사람 중 한명이 된다. 나머지 한명은 한나라곽광.[6] 그나마 폭군이면 어느 정도 명분이라도 있으나, 현실은 걍 군주 맘대로 쫓아낼 때 써먹은 사례도 상당했다. 당장 수양대군단종을 쫓아낼 때도 이윤의 고사를 핑계로 대었다. 이윤은 태갑을 죽이진 않은게 함정이지만.

메이플스토리의 NPC 탕윤이름의 유래 중 하나로 보인다. 탕윤의 탕은 그가 모셨던 탕왕에서 따온듯.

후기 상나라에는 달력상의 특정한 날짜에 상 왕조의 특정한 조상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 당시의 갑골문 중에서 제사 대상으로 이윤이 언급되는 것들이 출토된 바 있다. 이윤은 상 왕조의 역대 제왕이 아니라 섭정에 불과한데도 제사 대상으로 기재된 것은 특기할만한 일이다.


[1] 尹은 관명인 윤정(尹正)의 윤(尹)이고 이름은 지(摯)라고 보기도 한다. 아형(阿衡)의 관직을 맡았다.[2] 여기에는 다른 설도 있다. 이윤이 직접 탕왕을 초대하여 직접 요리한 음식을 대접하며 자신을 기용할 것을 부탁했다고 한다. 그래서 중국 사상 최초로 이름이 남은 요리사라고 불린다.[3] "태갑왕이 즉위한지 3년 후에 사리에 어둡고 포악해져 탕왕의 법도를 지키지 않고 도덕을 어지럽히자 이윤이 그를 동궁(桐宮)으로 내쫓았다. 3년 동안 이윤이 정무를 대행하고 국사를 맡으면서 제후들의 조회를 받았다." - 사기 은본기 태갑.[4] <상서(尙書)>의 상, 중, 하 3편으로 태갑이 처음 즉위할 때부터 추방되었다 다시 돌아올 때까지 이윤이 매번 말을 올려 경계하였는데, 사관이 그 일을 서술하여 〈태갑(太甲)〉 3편을 지었다고 한다.[5] 다만 항목에 있듯 갑골문엔 언급되지 않아 실체 논란이 있다.[6] 여기도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권신은 권신인데, 충신인지 간신인지는 평이 갈린다. 일단 여긴 시대가 훨씬 훗날인 한나라 때니만큼 내막도 비교적 상세히 남아 논할 거리가 더 많은 편이긴 하다. 태갑은 전해지는 내용이 적다보니 진짜 폭군 기질이 있었는지 아닌지도 애매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