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秦) 군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부용국 시기 진 군주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비자 | 진후 | 공백 | 진중 | 장공 | ||||
진 국군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양공 | 문공 | 헌공 | 출자 | 무공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덕공 | 선공 | 성공 | 목공 | 강공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공공 | 환공 | 경공 | 애공 | 혜공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도공 | 여공공 | 조공 | 회공 | 영공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간공 | 후혜공 | 출공 | 헌공 | 효공 | ||||
진 국왕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혜문왕 | 무왕 | 소양왕 | 효문왕 | 장양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000> 진 황제 | 초한쟁패기 | |
초대 | 제2대 | 진왕 | ||||||
시황제 | 이세황제 | 자영 | ||||||
추존 국군 | ||||||||
정공 · 이공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수 · 당 오대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진(秦)나라 4대 국군 출자 出子 | |||
성 | 영(嬴) | ||
씨 | 조(趙) | ||
휘 | 만(曼) | ||
아버지 | 진헌공(秦憲公) | ||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698년 | |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703년 ~ 기원전 698년 |
1. 개요
1. 개요
춘추시대 진(秦)나라의 4대 군주. 진헌공의 막내 아들. 진 무공, 진 덕공의 동생.진 헌공 12년(기원전 704년), 헌공이 죽자, 대서장(大庶長) 불기(弗忌)와 위루(威壘), 삼보(三父)가 태자[1]를 폐위시키고 동생인 영만을 진나라의 군주로 추대했다.
진 출자 6년(기원전 698년), 삼보의 무리들이 다른 마음을 품고, 사람을 시켜 출자를 시해했다. 그리하여 그의 형이자 원래 태자였던 진 무공이 뒤를 이었다. 무공은 진나라의 군주가 된 뒤에 국정을 어지럽히고 군주를 시해한 간신 삼보의 무리를 제거했다.
[1] 훗날 진무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