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지질학에 대한 정보를 서술한 문서.2. 지사학
지질시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선캄브리아 시대 Precambrian | 명왕누대 Hadean Eon | |||
은생누대 Cryptozoic Eon | 시생누대 Archean Eon | 초시생대 | |||
고시생대 | |||||
중시생대 | |||||
신시생대 | |||||
원생누대 Proterozoic Eon | 고원생대 | 시데로스기 | |||
라이악스기 | |||||
오로세이라기 | |||||
스타테로스기 | |||||
중원생대 | 칼리마기 | ||||
엑타시스기 | |||||
스테노스기 | |||||
신원생대 | 토노스기 | ||||
크리오스진기 | |||||
에디아카라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현생누대 Phanerozoic Eon | 고생대 | 캄브리아기 | |
오르도비스기 | |||||
실루리아기 | |||||
데본기 | |||||
석탄기 | |||||
페름기 | |||||
중생대 | 트라이아스기 | ||||
쥐라기 | |||||
백악기 | |||||
신생대 | 고진기 | ||||
신진기 | |||||
제4기 | }}}}}}}}} |
지질 시대를 나타내는 단위로 eon’, ‘era’, ‘period’, ‘epoch’가 있다. 각각 누대, 대(代), 기(紀), 세(世)로 번역된다. 누대보다도 큰 단위로 초누대라는 것이 존재한다. 20세기까지는 대중들에게 있어 대와 세의 개념만이 익숙하여 시원생대,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로 적게 구분할 뿐이었으나 연구의 진행으로 단위가 세분화되었다.
3. 광물학
모스 굳기계 | |||||||||
<rowcolor=#373a3c,#dddddd>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활석 | 석고 | 방해석 | 형석 | 인회석 | 정장석 | 석영 | 황옥 | 강옥 | 금강석 |
💎 탄생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석류석 | 자수정 | 아쿠아마린 혈석 산호 | 다이아몬드 수정 | 에메랄드 크리소프레이즈 비취 | 진주 문스톤 알렉산드라이트 |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루비 카닐리언 | 감람석 마노 스피넬 | 사파이어 청금석 근청석 | 오팔 전기석 | 토파즈 황수정 호박 | 터키석 탄자나이트 지르콘 |
조암광물 | ||||||||||
규산염 광물 | 비규산염 광물 | |||||||||
사장석 | 석영 | 정장석 | 휘석 | 감람석 | 각섬석 | 흑운모 | 백운모 | 점토광물 | 기타광물 |
보웬의 반응계열 | |
불연속 반응 계열 | 연속 반응 계열 |
감람석 | <colbgcolor=#d6f0ff,#002033> Ca 사장석 |
휘석 | ↓ |
각섬석 | |
흑운모 | Na 사장석 |
<colbgcolor=#f8ffff,#003233> 정장석 | |
백운모 | |
석영 |
4. 암석학
화성암 | |||
구분 | 고철질 ↔ 규장질 (어두움 ↔ 밝음) | ||
화산암 (세립질) ↕ 심성암 (조립질) | 현무암 | 안산암 | 유문암 |
반려암 | 섬록암 | 화강암 |
흙의 종류 | ||||
자갈 | 마사토 | 모래 | 실트 | 점토 |
2mm 이상 | - | 2mm~62.5μm | 62.5μm~3.9μm | 2μm 미만 |
오른쪽으로 갈수록 입자가 작음 | ||||
틀:토양 |
- 지구 내부의 구조
- 층상 구조
지구의 내부 구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명칭 | 위치 (km) |
↑ 대기권 | 지표 위 | |
지각 | 지표 {{{#!wiki style="width:2px; height:11px; margin:0 auto; background:#fff" | |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 | ||
맨틀 | ||
구텐베르크-비헤르트 불연속면 | ||
외핵 | ||
레만 불연속면 | ||
내핵 | ||
심핵 | }}}}}}}}} |
5. 지구물리학
지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신기 습곡산맥) · 단층(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 ||||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 ||||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 ||||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 ||||
전체 지진 목록 목록 | ||||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 ||||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 ||||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 ||||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 |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 ||||
발생 국가: 대만 | ||||
<rowcolor=#000,#e4e4e4> 발생 시각 (UTC+8) | 규모 | 진원 | 최대 진도 | |
2025년 01월 21일 00시 17분 27초 | ML 6.4 | 대만 자이시 남남동쪽 30km 지역 | 6- | |
쓰나미 여부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m 실측 최고높이: -m | ||||
6. 고생물학
시대별 생물목록 | ||
고생대 생물목록 | 중생대 생물목록 | 신생대 생물목록 |
7. 구조지질학
7.1. 화석연료
분별증류로 얻는 석유 제품 | |
[ruby(LPG,ruby=액화석유가스,color=white)] | ~30℃ |
휘발유 | 30~140℃ |
나프타 | 140~180℃ |
등유 | 180~250℃ |
경유 | 250~350℃ |
중유 | 350℃~ |
윤활유 | 잔여물 |
아스팔트 |
석탄의 분류 | ||||
유연탄 | 무연탄 | |||
이탄 | 아탄 | 갈탄(흑옥) | 역청탄 | 무연탄 |
8. 지구화학
9. 퇴적학
10. 같이 보기
[[대멸종|대멸종{{{#!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 |||||
{{{#!wiki style="margin:0 -12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color=#fff> [[대멸종#5대 멸종|{{{+1 {{{#fff 주요 멸종 사건 · 5대 멸종'''}}} Major Extinction Events }}}]]''' | ||||
<rowcolor=#fff> 명칭 | 발생 시점 | 발생 시점(My) | 멸종 비율(속) | ||
오르도비스기 후기 멸종(케이티절 멸종) Late Ordovician extinction Event(Katian extinction event) | 오르도비스기 후세 케이티절 ~ 허난트절 | 445 ~ 444 | 40% | ||
<bgcolor=#cb8c37> 데본기 후기 멸종(캘웨서 사건) Late Devonian Extinction Event(Kellwasser Event) | 데본기 후기 프라슨절 ~ 파멘절 | 약 372 | 40% | ||
페름기 로핑기아세 창싱절 ~ 트라이아스기 전기 인더스절 | 252 | 83% | |||
트라이아스기-쥐라기 멸종 Trassic-Jurassic Extinction Event | 트라이아스기 후기 래티아절 ~ 쥐라기 전기 애탕주절 | 201 | 73% | ||
백악기 후기 마스트리히트절 ~ 고진기 팔레오세 다니아절 | 66 | 40% | |||
그 외 멸종 사건 | |||||
휴로니아 빙하기(대산화 사건) Huronian Glaciation(Great Oxidation Event) | 고원생대 시데로스기 ~ 라이악스기 | 2,400 ~ 2,060 | - | ||
<bgcolor=#FFCF66> 스투르티아 빙하기(2차 대산화 사건) Sturtian Glaciation(Second Great Oxidation Event) | 고원생대 크리오스진기 | 716 ~ 657 | - | ||
<bgcolor=#FFCF66> 마리노아 빙하기(2차 대산화 사건) Marinoan Glaciation(Second Great Oxidation Event) | 고원생대 크리오스진기 | 654 ~ 632 | - | ||
<bgcolor=#FFCF99> 에디아카라기 말 멸종 End Ediacaran Extinction Event | 신원생대 에디아카라기 | 540 | - | ||
보토미아 말 멸종 End Botomian Extinction Event | 캄브리아기 제2세 제4절 ~ 미아오링세 울리우절 | 513 ~ 509 | 40% | ||
<bgcolor=#AACEA2> 드레스바흐 멸종 Dresbachian Extinction Event | 캄브리아기 미아오링세 드럼절 | 502 | 40% | ||
구장절-파이비절 멸종 Guzhangian-Paibian Extinction Event | 캄브리아기 미아오링세 구장절 ~ 푸룽세 파이비절 | 502 ~ 497 | - | ||
<bgcolor=#B7DCB0> 장산절 멸종 Jiangshanian Extinction Event | 캄브리아기 푸룽세 장산절 | 494 ~ 491 | - | ||
캄브리아기-오르도비스기 멸종 Cambrian–Ordovician extinction event | 캄브리아기 푸롱세 제10절 ~ 오르도비스기 전기 트레마독절 | 485 | - | ||
카라도크 멸종(모히칸-신시내탄 멸종) Caradoc extinction event (Mohawkian-Cincinnatian extinction event) | 오르도비스기 후세 샌드비절 ~ 케이티절 | 454 ~ 452 | - | ||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멸종(허난트절 멸종) Ordovician-Silurian extinction event (Hirnantian extinction event) | 오르도비스기 후세 허난트절 ~ 실루리아기 란도베리세 루단절 | 443 ~ 440 | 31% | ||
이레비켄 멸종 Ireviken extinction event | 실루리아기 란도베리세 텔리치절 ~ 웬록세 셰인우드절 | 433 | - | ||
<bgcolor=#B3DED4> 룬드그레니 멸종 Lundgreni extinction event | 실루리아기 웬록세 호머절 | 429 | - | ||
멀데 멸종 Mulde extinction event | 실루리아기 웬록세 호머절 ~ 러들로세 고스티절 | 427 | - | ||
라우 멸종 Lau extinction event | 실루리아기 러들로세 로드로프절 ~ 프리돌리세 | 424 | 9% | ||
<bgcolor=#E5F2E8> 프리돌리세 멸종(실랄레 멸종) Pridolian extinction event(Silale extinction event) | 실루리아기 프리돌리세 | 422 | - | ||
<bgcolor=#F2D390> 아이펠절 멸종(카차크 멸종) Eifelian extinction event(Kacak extinction event) | 데본기 중기 아이펠절 | 388 | 32% | ||
<bgcolor=#F3E09E> 지베절 멸종(타가닉 멸종) Givetian extinction event(Taghanic extinction event) | 데본기 중기 지베절 | 384 | 36% | ||
데본기-석탄기 멸종(한겐부르크 멸종) Devonian-Carboniferous extinction event (Hangenberg extinction event) | 데본기 후기 파멘절 ~ 석탄기 전기 푸르네절 | 359 | 50% | ||
<bgcolor=#ADBE8A> 비제절 멸종 Visean extinction event | 석탄기 미시피시기 비제절 | 332 | - | ||
<bgcolor=#C4C488> 세르푸호프절 멸종 Serpukhovian extinction event | 석탄기 미시피시기 세르푸호프절 | 325 | 39% | ||
석탄기 열대우림 붕괴 Carboniferous rainforest collapse | 석탄기 펜실베이니아기 모스코바절 ~ 카시모프절 | ~305 | - | ||
<bgcolor=#E19281> 아르틴스크절 온난화 사건 Artinskian Warming Event | 페름기 시스우랄세 아르틴스크절 | 287 | - | ||
올슨 멸종 Olson's Extinction | 페름기 시스우랄세 쿤구르절 ~ 과달루페세 로드절 | 273 ~ 267 | - | ||
캐피탄절 멸종 Capitanian mass extinction event | 페름기 과달루페세 캐피탄절 ~ 러핑세 우지아필절 | 262 ~ 259 | 25% | ||
<bgcolor=#AA67AA> 그리스바흐-디에네르 경계 사건 Griesbachian-Dienerian boundary event | 트라이아스기 전기 인더스절 | 252 | - | ||
<bgcolor=#A05EA5> 스미스-스파티아 경계 사건 Smithian–Spathian boundary event | 트라이아스기 전기 올레네크절 | 249 | - | ||
올레네크절-아니수스절 경계 사건 Griesbachian-Dienerian boundary event | 트라이아스기 전기 올레네크절 ~ 중기 아니수스절 | 247 | - | ||
<bgcolor=#C897C6> 라딘절 멸종 Radian Extinction Event | 트라이아스기 라딘절 | 240 | - | ||
<bgcolor=#C6AAD2> 카닉절 우기 사건 Carnian pluvial episode | 트라이아스기 후기 카닉절 | 234 ~ 232 | - | ||
노릭절-래티아절 멸종 Norian-Rhaetian extinction event | 트라이아스기 후기 노릭절 ~ 래티아절 | 210 | - | ||
플린스바흐절-토아르시움절 경계 사건 Pliensbachian-Toarcian extinction event | 쥐라기 전기 플린스바흐절 ~ 토아르시움절 | 184 | - | ||
<bgcolor=#90CFF2> 토아르시움절 해양 무산소 사건 Toarcian Oceanic Anoxic Event | 쥐라기 전기 토아르시움절 | 183 ~ 182 | - | ||
<bgcolor=#BAE4F0> 칼로비움절 멸종 Callovian extinction Event | 쥐라기 중기 칼로비움절 | 163 | - | ||
쥐라기-백악기 멸종(티토누스절 멸종) Jurassic-Cretaceous(Tithonian) extinction event | 쥐라기 후기 티토누스절 ~ 백악기 전기 베리아절 | 145 | - | ||
<bgcolor=#C3DFA4> 셀리 멸종 Selli extinction event | 백악기 전기 압트절 | 121 ~ 120 | - | ||
<bgcolor=#C3DFA4> 압트절 멸종 Aptian extinction event | 백악기 전기 압트절 | 117 ~ 116 | - | ||
세노마눔절-투로니아절 멸종 Cenomanian-Turonian extinction event | 백악기 후기 세노마눔절 ~ 투로니아절 | 94 | - | ||
고진기 팔레오세 타넷절 ~ 에오세 이퍼르절 | 56 | - | |||
에오세-올리고세 멸종 Eocene–Oligocene extinction event | 고진기 에오세 프리아보나절 ~ 올리고세 루펠절 | 33 | - | ||
<bgcolor=#FFF66D> 마이오세 중기 기후변화 사건 Middle Miocene Climatic Transition event | 신진기 마이오세 랑게절 | 14 | - | ||
플라이오세-플라이스토세 멸종 Pliocene–Pleistocene extinction event | 신진기 플라이오세 피아첸자절 ~ 제4기 플라이스토세 젤라절 | 2 | - | ||
플라이스토세 후기 멸종 Late Pleistocene extinctions Extinction event | 제4기 플라이스토세 후기 | 0.6 ~ 0.03 | - | ||
<bgcolor=#FFE6CB> | 제4기 홀로세 메갈라야절 | 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1. 케이티절 멸종과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멸종을 묶어서 5대 멸종중 하나인 오르도비스기 후기 멸종으로 통합하고 두 멸종 사건을 오르도비스기 후기 멸종의 과정에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두 멸종 사이에 100만년의 공백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틀에서는 별개의 멸종 사건으로 분리하였다.
| }}}}}}}}} | |||
틀:지질시대 · 지질학 관련 정보 | }}}}}}}}} |
10.1. 지질 시대의 어원
지질 시대의 어원 | |||
명왕누대 | Hadean(지하세계의 왕 Hades) | ||
시생누대 | Archean(Arkhē(시작)) | ||
초시생대 | Eo(Ēṓs; 새벽)+archean(시생누대) | ||
고시생대 | Paleo(Palaiós; 오래된)+archean(시생누대) | ||
중시생대 | Meso(Mesos; 중간)+archean(시생누대) | ||
신시생대 | Neo(Neos; 새로운)+archean(시생누대) | ||
원생누대 | Proterozoic(Próteros(이른)+zoikos(생명)) | ||
고원생대 | Paleo(Palaiós; 오래된)+proterzoic(원생누대) | ||
시데리아기 | 호상철광층이 형성된데서 유래(Sídēros(철)) | ||
리아시아기 | 부쉬벨드(Bushveld) 화성암체가 형성된데서 유래(Rhýax(용암의 흐름)) | ||
오로시리아기 | 활발한 조산운동으로 인해 초대륙 및 많은 산맥이 형성되었다는 것에서 유래(Oroseirá(산맥)) | ||
스타테리아기 | 지질학적으로 큰 사건이 많지 않았다는 것에서 유래(Statherós(안정한)) | ||
중원생대 | Meso(Mesos; 중간)+proterzoic(원생누대) | ||
칼리미아기 | 순상지에서 새로운 대지 퇴적물이 생성된 데서 유래(Kálymma(덮힘)) | ||
엑타시아기 | 대지 퇴적물이 확장되어 지구 플랫폼 덮개가 확장된 것에서 유래(Éktasis(확장)) | ||
스테니아기 | 변성암으로 이루어진 좁은 대가 형성된 데서 유래(Stenós(좁은)) | ||
신원생대 | Neo(Neos; 새로운)+proterzoic(원생누대) | ||
토니아기 | 로디니아 대륙이 분리되기 시작한 데서 유래(Tónos(늘어남)) | ||
크라이오제니아기 | 눈덩이 지구가 시작된 데서 유래(Krýos(추운)+génesis(생기다)) | ||
에디아카라기 | 호주의 Ediacara(에디아카라) 언덕에서 유래 | ||
현생누대 | Phanerozoic(Phanerós(보이는)+zoikos(생명)) | ||
고생대 | Paleozoic(Paleo(Palaiós; 오래된)+zoe(zoikos; 생명)) →직역 | ||
캄브리아기 | 웨일즈의 별칭인 Cambria | ||
오르도비스기 | 웨일즈 지방의 고대 부족명 Ordovices | ||
실루리아기 | 남웨일즈 지방의 고대 명칭인 Silures | ||
데본기 | 잉글랜드의 Devon 주 | ||
석탄기 | Carboniferous(대규모의 석탄층(carbō)이 생성된(ferō) 데에서 유래) →직역 | ||
페름기 | 러시아의 도시 페름(Пермь, Perm) | ||
중생대 | Mesozoic(Meso(Mesos; 중간)+zoe(zoikos; 생명)) →직역 | ||
트라이아스기 | 세 종류의 암석이 퇴적된 것(Triás(=Three))에서 유래 | ||
쥐라기 | 쥐라(Jura)산맥 | ||
백악기 | 지층에 석회암(creta(=chalk))이 대부분인 것에서 유래 →직역 | ||
신생대 | Cenozoic(kainós(새로운)+zoe(zoikos; 생명)) →직역 | ||
고진기[1] | Paleo(Palaiós; 오래된)+gene(génesis; 생기다) →직역 | ||
신진기 [2] | Neo(Neos; 새로운)+gene(génesis; 생기다) →직역 | ||
제4기 | Quater(4)+nary →직역 |
- 표의 색채는 세계지질도위원회의 기준을 따랐다.
- 기타 세, 절의 어원은 이곳을 참고하기 바람.
10.2. 시기별 대륙 모습
캄브리아기 | |
오르도비스기 | |
실루리아기 | |
데본기 | |
석탄기 | |
페름기 | |
트라이아스기 | |
쥐라기 | |
백악기 | |
고진기 | |
신진기 | |
제4기 | (빙하기) (간빙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