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지진학 규모 · 진도 · 지진대 · 조산운동 · 습곡산맥(신기 습곡산맥) · 단층(단층산맥 · 대한민국의 단층)슬로우 슬립 · 쓰나미 · 지진파 · 판 구조론 · 내진설계 · 이상진역 · 지반 액상화 | ||||
발생 양상과 분류 단층지진 · 수도직하지진 · 고유지진 · 군발지진 · 발생 깊이에 따른 분류(천발지진 · 중발지진 · 심발지진) | ||||
지진경보 지진속보 및 지진조기경보(재난문자 기준 · 재난방송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긴급지진속보(일본) · 쓰나미 경보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 ||||
국가별 주요 지진 목록 틀:대한민국 주요 지진 · 틀:일본 주요 지진 | ||||
전체 지진 목록 목록 | ||||
국가별 지진 문서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튀르키예 · 칠레 · 대만 | ||||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 ||||
해외 관련 사이트 일본 기상청 · 중국 지진국 · USGS(지진 목록) · EMSC(지진 목록) | ||||
관련 프로젝트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 |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 ||||
발생 국가: 바누아투 | ||||
<rowcolor=#000,#e4e4e4> 발생 시각 (UTC+11) | 규모 | 진원 | 최대 진도[1] | |
2024년 12월 17일 12시 47분 26초 | Mw 7.3 | 바누아투 포트빌라 서쪽 30km 해역 | Ⅸ | |
쓰나미 여부 해일경보 해제 # 예상 최고높이: 1m 실측 최고높이: 25cm# | ||||
[1] USGS Shakemap 기준 |
1. 개요
군발지진(群発地震, Earthquake swarm)이란, 말 그대로 지진의 일종으로 비교적 좁은 지역에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지진군을 뜻한다.[1]흔히 여진(餘震)과 혼동하기 쉬우나, 여진은 큰 지진이 한번 터지고 나서 그 여파로 인해 발생하는 지각변동의 부산물이지만 군발지진은 큰 지진 없이 꾸준히 일정 규모를 유지하면서 발생하는 지진의 총칭이다.
2. 원인
지층의 파괴 밀도(Fracture density)가 높은 상황에서 발생한다. 즉, 커다란 응력이 쌓이기 전에 지층의 파괴가 자주 일어나는 상황이다. 파괴 밀도가 높아지는 원인은 일반적으로 액체의 유입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마그마 또는 해수, 지하수 및 고온 고압의 기체 유입 등이 존재한다.3. 측정
특정 지역에 일어나는 지진의 빈도로 군발 지진을 추측할 수 있다. 사진의 다이어그램을 참조하자. 군발지진은 지진의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지 않고, 원만하게 증가하는 형태를 보인다. 그러나 지진의 빈도만이 유일한 측정법은 아니다. 단층의 파괴밀도가 높을 때 발생하므로 같이 액체나 기체의 유입을 상정하고 전기비저항 또는 자기지전류 탐사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이렇듯 지진이 발생하는 지층 환경에 따라 고려해야 할 요소또한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논문에 제시된 여러 알고리즘, 지층 데이터를 참조하여 지진의 분류를 정의해야한다.
4. 관련 문서
- 마츠시로 군발지진
-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2]
- 2021년 대만 동부 군발지진
- 2021년 야마나시현 군발지진
- 토카라 열도 해역 군발지진
- 이즈 제도 군발지진
- 2022년 중국 쓰촨성 군발지진
- 2023년 동해 해역 군발지진
- 황해도 북부 군발지진
[1] 물론 얼마나 좁은 지역인지, 어느 정도의 텀을 두고 발생하는지에 대한 기준은 상당히 애매하다.[2] 군집성 지진 중에서도 매우 강한 지진이 연달아 발생하는 위험성이 높은 지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