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0:04:10

중부내륙선 KTX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KTX
,
,
,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중부내륙선
,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고속철도
경부고속선 이용 경부고속철도[a] | 서대구 경유 KTX, SRT | 구포 경유 KTX
호남고속선 이용 호남고속철도[b] | 서대전 경유 KTX | 광주 착발 KTX
서울 외 수도권 지역 관련 수원 경유 KTX | 인천국제공항선 KTX | 동탄→수서 출근 SRT
준고속철도
중앙선 이용 강릉선 KTX[c] | 중앙선 KTX
단일 노선 중부내륙선 KTX
신설 예정
수원발 KTX | 인천발 KTX(고속선) | 경강선 KTX(송도/수서~원주/강릉/동해) | 동해선 KTX[d] | 서해선 KTX | 경전선 KTX
추진중
인천국제공항발 KTX(제2) | 부전역 착발 KTX
규칙
취소선은 폐지된 운행계통. 단독 문서가 있는 운행계통만 표기함.
참고
  • [a] 진주행(경전선)·포항행(동해선) 포함
  • [b] 전주행(서대전 경유)·여수행(전라선) 포함
  • [c] 경강선, 영동선 이용. 경강선의 열차는 맞지만, 중앙선의 성격이 더 강한 열차. (영동선 KTX는 쓰이지 않는 용어임)
  • [d] 동대구행(대구선) 포함
}}}}}}


1. 개요2. 연혁
2.1. 개통 이전2.2. 부발-충주 운행시기2.3. 판교-충주 운행시기
3. 운행계통
3.1. 현존 운행계통3.2. 추후 운행계통 논의

1. 개요

중부내륙선 KTX는 성남시 분당구판교역에서 경강선 판교~부발 구간중부내륙선을 이용해 충주시 봉방동충주역까지 KTX-이음이 투입되는 ()고속철도 계통이다.[1]
향후 수서광주선이 개통할 예정인데, 경기광주역에서 직결하여 성남시 중원구[2]수정구[3]서울시 강남구[4]까지 이 계통의 고속열차가 연장운행할 예정이다.

2. 연혁

2.1. 개통 이전

2.2. 부발-충주 운행시기

2.3. 판교-충주 운행시기

3. 운행계통

3.1. 현존 운행계통

중부내륙선 파일:KTX BI.svg 운행계통 노선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word-break: keep-all;min-height:27px
{{{#!wiki style=display: inline blo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fff><colcolor=#000>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Jungbunaeryuk KTX Ko Routemap(Normal Theme)(2024).svg|width=100%&theme=normal]]
}}}}}}}}}}}} ||

3.2. 추후 운행계통 논의

파일:중부내륙선 문경김천 열차운행1.jpg 파일:중부내륙선 문경김천 열차운행2.jpg
2024년 5월 21일, 문경-김천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의 중부내륙선 장래 열차운행계획


[1] 최고시속 260km/h의 KTX 150000호대 차량이 투입되는 다른 (준)고속선중앙선(청량리~도담), 경강선(서원주~강릉), 서해선, 동해선 등이 있다.[2] 분당선 모란역[3] 8호선 모란역[4] 3호선, 분당선, SRT 수서역[5] 안내문은 다음과 같다.
파일:경강선 판교역 psd 공사안내.jpg
[6] 이 다중 슬라이드 스크린도어는 서해선 김포공항역에도 설치되어 있다. 서해선 전철 공용 구간도 대곡역까지 서해선 경유 KTX-이음이 운행할 예정이기 때문.[7] 시공사: 현대무벡스[8] 판교(경기)로 기재.[9]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일반열차의 해당 구간 소요시간은 37분으로 무정차에 대한 이득 및 환승저항 최소화 정도의 효과가 확인된다.[10] 강남역은 신분당선, 서울역/명동은 광역버스로 판교역으로 이동하기 좋지만, 수서역이나 잠실역은 여전히 부발역 하차가 더 낫다.[11] 잠시 정식 안내방송에 연장이 반영되지 않았지만 # 곧 반영됐다. #[12] 전 열차가 전역정차하는 유일한 KTX 운행계통이다. 일본코다마 신칸센이 이러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9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9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