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7:01:59

중부내륙선 KTX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KTX
, 중부내륙선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고속철도
경부고속선
계통
경부고속철도[a] | 서대구 경유 KTX, SRT | 구포 경유 KTX | 김천, 구미 경유 KTX
호남고속선
계통
호남고속철도[b] | 서대전 경유 KTX | 광주 착발 KTX
경인지방
경유
행신발 KTX | 수원 경유 KTX | 인천국제공항선 KTX
준고속철도
중앙선
계통
강릉선 KTX[c] | 중앙선 KTX[d] | 부전발 KTX[e]
경인지방
경유
행신발 KTX | 중부내륙선 KTX
신설 예정
수서발 KTX | 수원발 KTX | 인천발 KTX | 춘천속초선 KTX
동해선 KTX | 서해선 KTX | 경전선 KTX | 남부내륙선 KTX, SRT | 충북선 KTX
추진 중
인천국제공항발 KTX(제2)
일러두기
취소선은 폐지된 운행계통. 단독 문서가 있는 운행계통만 표기함.
참고
[a] 진주행(경전선)·포항행(동해선) 포함 | [b] 전주행(서대전 경유)·여수행(전라선) 포함 | [c] 경강선, 영동선 이용. 경강선의 열차는 맞지만, 중앙선의 성격이 더 강한 열차. (경강선은 노선 구간에 한해서 쓰이지만, 영동선은 따로 쓰이지 않는 용어임.) | [d]: 복합열차 | [e]: 단편성
}}}}}}}}} ||
<colbgcolor=#003da5><colcolor=#ffffff> 중부내륙선 KTX
中部內陸線 KTX
Jungbunaeryuk Line KTX
파일:Jungbunaeryuk KTX Ko Routemap(Normal Theme)(2025).svg파일:Jungbunaeryuk KTX Ko Routemap(Dark Theme)(2025).svg
정보
운행 국가 대한민국
종별 한국고속열차
현황 운행중
운행 지역 성남, 이천, 여주, 음성, 충주, 괴산, 문경
운행개시일 부발~충주: 2021년 12월 31일
판교~부발: 2023년 12월 28일
충주~문경: 2024년 11월 30일
운영자 코레일
노선
기점 판교역
종점 문경역
운행거리 판교~문경 135.0km
경유노선 경강선, 중부내륙선
기술
차량 KTX-이음
궤간 1,435mm
전력 공급 교류 25000V 50/60Hz 가공전차선
최고 속도 경강선: 120km/h
중부내륙선 230km/h[1]

1. 개요2. 연혁
2.1. 개통 이전2.2. 부발~충주 개통2.3. 판교~충주 연장2.4. 판교~문경 연장
3. 운행계통
3.1. 현행3.2. 추후 운행계통 논의 (본선)3.3. 추후 운행계통 논의 (지선)

[clearfix]

1. 개요

최신 전국 KTX 노선도 보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판교역에서 경강선 판교~부발 구간중부내륙선을 거쳐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문경역까지 KTX-이음이 운행하는 ()고속철도 계통이다.[2]

향후 수서광주선이 개통할 예정인데, 경기광주역에서 직결하여 성남시 중원구(수인·분당선 모란역)와 수정구(8호선 모란역)를 거쳐 서울시 강남구(GTX-A, 3호선, 수인·분당선, SRT 수서역)까지 이 계통의 고속열차가 연장운행할 예정이다.

또한, 월곶판교선이 완공 된다면 충주에서 부발, 판교를 거쳐 인천 송도역까지 연장되고, 남부내륙선 또한 완공된다면 경남 거제시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2. 연혁

2.1. 개통 이전

2.2. 부발~충주 개통

2.3. 판교~충주 연장

2.4. 판교~문경 연장

3. 운행계통

3.1. 현행

중부내륙선 정차역 구분
판교
부발
가남
감곡장호원
앙성온천
충주
살미
수안보온천
연풍
문경

3.2. 추후 운행계통 논의 (본선)

파일:중부내륙선 문경김천 열차운행1.jpg 파일:중부내륙선 문경김천 열차운행2.jpg
2024년 5월 21일, 문경-김천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의 중부내륙선 장래 열차운행계획
파일:2024년 8월 수서광주선 2,3공구 환경영향평가 초안 열차운행계획.jpg
2024년 8월 6일, 수서광주선 2,3공구 환경영향평가 초안의 장래 열차운행계획

3.3. 추후 운행계통 논의 (지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9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9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현재 중부내륙선 구간에서는 시속 205km/h로 운행하고 있다.[2] 최고시속 260km/h의 KTX 150000호대 차량이 투입되는 다른 (준)고속선중앙선(청량리~도담), 경강선(서원주~강릉), 서해선, 동해선 등이 있다.[3] 안내문은 다음과 같다.
파일:경강선 판교역 psd 공사안내.jpg
[4] 이 다중 슬라이드 스크린도어는 서해선 김포공항역에도 설치되어 있다. 서해선 전철 공용 구간도 대곡역까지 서해선 경유 KTX-이음이 운행할 예정이기 때문.[5] 시공사: 현대무벡스[6] 판교(경기)로 기재.[7]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일반열차의 해당 구간 소요시간은 37분으로 무정차에 대한 이득 및 환승저항 최소화 정도의 효과가 확인된다.[8] 강남역은 신분당선, 서울역/명동은 광역버스로 판교역으로 이동하기 좋지만, 수서역이나 잠실역은 여전히 부발역 하차가 더 낫다.[9] 현재는 판교역까지 연장했고, 연장 후에는 매진이 종종 나오기도 하고 좌석 점유율도 어느 정도 되는지라 영업계수는 대폭 줄어들었을 것이다.[10] 잠시 정식 안내방송에 연장이 반영되지 않았지만 # 곧 반영됐다. #[11] 모든 열차가 각역정차하는 유일한 KTX 운행계통이다. 일본코다마 신칸센이 이러하다.[12] 반대로 서해선과 동해선에서는 KTX 차량부족 문제로 ITX-마음이 먼저 개통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