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8 02:39:34

죠죠의 기묘한 모험 황금의 선풍


<nopad>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자세히 보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2px;word-break:keep-all"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Volume_49.jpg
파일:attachment/20070516201734.jpg
파일:jojo5part1visual.jpg
외전
소설: 죠죠의 기묘한 모험 II 골든 하트/골든 링 · 수치심 없는 퍼플 헤이즈 · 진홍빛 유언
크로스오버 게임
콘솔: 죠죠의 기묘한 모험 All Star Battle · 죠죠의 기묘한 모험 Eyes of Heaven · 점프 포스 · 죠죠의 기묘한 모험 올 스타 배틀 R
모바일: 죠죠의 기묘한 모험 스타더스트 슈터즈 · 죠죠의 기묘한 모험 다이아몬드 레코즈 · 죠죠의 PITTER-PATTER 팝!
아케이드: 죠죠의 기묘한 모험 라스트 서바이버
}}}}}}}}}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70556,#010101> 파일:죠죠의 기묘한 모험 로고.svg죠죠의 기묘한 모험 시리즈
게임 일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리즈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CLc-t6ivL._SL500_AA300_.jpg 파일:external/neoapo.com/099b9731eabfba41a45c09d3d559019a.png 파일:JOJOPB-game_logo.png 파일:JOJOHFF-game_logo.png
죠죠의 기묘한 모험(SFC) 황금의 선풍 팬텀 블러드 미래를 위한 유산
스타일리시 죠죠 액션 시리즈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b4c0480f.png 파일:attachment/죠죠의 기묘한 모험 Eyes of Heaven/죠죠_아이즈오브헤븐_로고.png 파일:1372110_logo_koreana.png
All Star Battle Eyes of Heaven 올 스타 배틀 R
죠죠의 기묘한 모험 The Animation 게임 시리즈
파일:JOJO SS_logo.png 파일:JOJO Diamond Records_logo.png 파일:죠죠 라스사바 logo.png
스타더스트 슈터즈 다이아몬드 레코즈 라스트 서바이버
파일:JOJO ORADORA_Logo.png 파일:JOJO GoldenHymn_Chinese Logo.png
오라오라 오버드라이브 황금찬가
죠죠 SD 프로젝트
파일:ジョジョのピタパタポップロゴ .png
죠죠의 PITTER-PATTER 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크로스 오버 게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패미컴 점프 -영웅열전- 패미컴 점프 2 최강의 7인 점프 슈퍼 스타즈 점프 얼티밋 스타즈
J 스타즈 빅토리 버서스 점프 포스 }}}
}}}}}}
죠죠의 기묘한 모험 황금의 선풍
ジョジョの奇妙な冒険 黄金の旋風
<nopad> 파일:ggba_cover_jap.png
<colbgcolor=#000><colcolor=#fff> 장르 액션, 어드벤처
개발 캡콤
발매
플랫폼 PlayStation 2
출시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7월 25일
파일:공백.png 2007년 9월 20일 (Best판)
한국어 지원 미지원
심의 등급 심의 없음
해외 등급 파일:CERO C.svg CERO C (15세 이상)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원작과의 차이점3. 성우진4. 그 외

1. 개요

플레이 영상

죠죠의 기묘한 모험 제5부 황금의 바람을 원작으로 하는 캡콤의 PS2용 액션 게임. 제목은 제5부의 원래 부제였던 "황금의 선풍(黄金の旋風)"인데, 문고판에서는 "황금의 바람(黄金の風)"으로 수정돼서 "황금의 선풍"은 게임판의 전용 명칭이 되었다. 일본어 독음은 둘 다 "おうごんのかぜ".

대전 격투 게임이었던 3부와는 달리 데빌 메이 크라이와 같은 3D 액션 게임이지만, 카툰 렌더링을 사용해 원작의 만화스러움을 잘 구현해 내었다.


캡콤에서 이전에 만들었던 미래를 위한 유산스탠드 시스템도 여전하다. 그러나 격투게임 특성상 모든 캐릭터가 자신만의 시나리오가 있던 미래를 위한 유산과는 달리 이 작품은 원작 그대로 흘러가는 스토리 모드가 있다. 물론 PS1판 죠죠에서는 게임에도 만화 스토리 그대로 가는 슈퍼 스토리 모드가 추가되기는 했지만. 스토리 모드는 플레이 가능한 부분을 제외하면 만화 형식으로 컷이 지나가며 성우들이 대사를 말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이 게임을 제작한 스태프는 죠죠 제5부를 본 사람으로만 뽑았다고 하니 대단한 장인정신이다.[1]

2. 원작과의 차이점

스토리는 5부 그대로고 원작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으나, 분량 압축이나 게임의 기믹 때문에 이곳저곳 짤리거나 변경된 부분이 많다. 스토리의 중요한 부분만 남기고 쳐낸 부분이 상당하기 때문에 불만스러운 죠죠러들도 있는 듯. 어떤 스탠드가 잘라냈다카더라 다만 본편에서 사용되지 않은 음성 더미 데이터가 몇 개[2] 있는 걸 보면 원래는 넣으려 했다가 사정상 넣지 못한 분량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소프트 머신 편이나 크라프트 워크 편 같이 본편에서 빠진 부분은 클리어 특전으로 사운드 드라마 비슷하게 볼 수 있다.

3. 성우진

각오란! 어두운 황야에 나아갈 길을 비추는 것!
스탠드는 골드 익스피리언스. 필살기(X버튼)는 생명을 만들어내는 능력으로 나무를 만들어 적을 들어올리는 것(일반 모드)과 담쟁이덩쿨로 상대를 속박하는 것.(스탠드 모드) 특수행동(△버튼)시에는 무당벌레를 만들어 상대를 추적할 수 있으며, 스탠드 모드에서는 개구리를 몸에 붙여 공격을 반사하는게 가능하다.
스토리 후반에는 골드 익스피리언스 레퀴엠으로 강화되는데, 이때는 킹 크림슨의 시간을 느리게 만드는 능력에서 자유로워진다. 다만 능력이 안 통하는건 스탠드 한정이고, 본체는 여전히 느려지는데다 디아볼로가 능력을 쓰기 전에 스탠드를 꺼내두지 않으면, 꺼내는 시간도 느려지므로 주의.
* 브루노 부차라티 CV. 사쿠라이 타카히로
각오는 되었나? 난 되었다!
스탠드는 스티키 핑거즈. 필살기(X버튼)는 팔을 지퍼로 늘려서 날리는 줌 펀치(일반 모드)와 땅에 지퍼를 뻗어서 상대의 발을 묶는 '닫혀라 지퍼'.(스탠드 모드) 특수행동(△버튼)시에는 땅에 만들어낸 지퍼에 매달려 잠금으로서 고속이동을 할 수 있으며, 스탠드 모드에서는 지퍼로 땅을 열어 땅속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벽에 접근해서 특수행동을 할 시 벽에 지퍼를 만들고 벽을 타는 것도 가능.
* 레오네 아바키오 CV. 이나다 테츠
내 스탠드로 수수께끼를 풀어보겠다.
스탠드는 무디 블루스. 필살기(X버튼)는 타격 후 발차기로 추가타를 날리는 것과(일반 모드)과 상대를 붙잡은 후 버튼을 누른만큼 연타공격을 날리는 것.(스탠드 모드) 전투보다는 능력쪽에 특화된 원작을 반영한건지 아바키오의 진가는 특수행동에 있다. 특수행동(△버튼)시에는 본체의 행동을 기록하다가 스탠드를 꺼낸 상태로 △버튼을 누를 시, 기록된 행동을 스탠드가 재현함으로서 리플레이 된다.[13]
* 귀도 미스타 CV. 이토 켄타로
이번엔 제대로 노려주마! 움직이지 마라!
스탠드는 섹스 피스톨즈. 여러명의 스탠드를 연동하는 원작을 반영한건지 컨트롤이 까다롭다. 평타(□버튼)은 총을 쏘는 것으로 스탠드 모드에서는 탄환에 피스톨즈를 태워 적을 추격하며, 스탠드 모드에서 스탠드 슛(R1)을 쓰면 적 주위에 피스톨즈가 배치되어 이 상태로 총을 쏘면 배치된 피스톨즈가 총알을 이동시킨다. 필살기(X버튼)는 적을 날려버리는 강한 한방을 쏘는 것(일반 모드)과 발사한 탄환을 피스톨즈가 차서 적한테 날리는 것.(스탠드 모드) 특수행동(△버튼)시에는 권총을 재장전하고, 스탠드 모드 상태에서는 재장전과 동시에 피스톨즈 1기를 회수한다. 소모전 위주의 전투방식 때문에 특수행동은 필수다.
* 나란차 길가 CV. 타키모토 후지코
볼라레비아!
스탠드는 에어로스미스. 원격조종형 스탠드라 스탠드를 보내는동안에 본체는 무방비 상태가 되므로 주의. 패시브 스킬로 이산화탄소를 추적하는 레이더가 있다. 평타는 3연속 나이프 공격. 스탠드 모드에서는 에어로스미스의 기관총을 난사하며, 필살기는 스탠드가 돌진하며 기총을 난사하거나(일반 모드) 폭탄을 투하한다.(스탠드 모드) 단, 폭탄은 세갈래로 퍼지는지라 정확도가 떨어지니 근접전에서는 추천할 공격이 아니다. 스탠드슛은 에어로스미스를 적에게 돌진시키는 것.(스탠드 모드에서는 그냥 기관총 난사) 특수행동은 버튼을 연타한만큼 발길질을 하는 것이며, 스탠드 모드 상태에서는 일시적으로 에어로스미스를 가속시킨다.
* 판나코타 푸고 CV. 미우라 히로아키
아니, 죽는 건 내 능력을 본 네놈 쪽이다!
스탠드는 퍼플 헤이즈. 양 주먹에 각각 3개의 살인 바이러스가 든 캡슐이 들어있어 스탠드 모드에서 스탠드 슛을 날려 직접 캡슐을 때려박거나 필살기로 캡슐을 쏘는 공격을 한다. 소모된 캡슐은 △버튼으로 리로드한다. 일반 모드에서 필살기를 사용할시 전방에 바이러스를 살포할 수도 있다. 스탠드 자체는 공격력이 높지만 본체에서 너무 멀리 떨어지면 통제가 안되므로 이때는 빨리 스탠드를 회수해야 한다.
* 트리시 우나 CV. 나츠키 리오
조금... 달라..?
스탠드는 스파이스 걸. 필살기(X버튼)는 땅을 부드럽게 만든 뒤, 그 반동으로 날리는 점프 킥(일반 모드)과 땅에 내동댕이 친 뒤, 적을 바운드시키는 펀치.(스탠드 모드) 특수행동(△버튼)시에는 다운된 상태를 하이힐로 짓밟거나(일반 모드), 쇠파이프로 찢는다.(스탠드 모드) 부드럽게 만드는 능력을 응용해 가드 중에 회피버튼을 누르면 상대를 튕겨내는 것도 가능.
* 콜로세움의 남자 CV. 네기시 아키라
디아볼로와의 2차전에서 나오는 히든 캐릭터. 휠체어를 통해 이동하기 때문에 유연한 방향 전환이 힘들다. 공격시 러시를 날릴뿐 아니라, 검신을 쏘는 원거리 공격도 가능.
후반에는 폭주한 스탠드가 적으로 등장하며, 이때의 능력은 상대의 스탠드를 복제해서 대신 싸우게 하는 것.
고문해주마, 나란차!
스탠드는 리틀 피트. 자신의 몸을 작게 만들어 도망치다가 플레이어를 공격해 일시적으로 작게 만든다. 게임 중에는 도 돌아다니는데 이 쥐는 에어로스미스의 레이더에 탐지되기에 조심해야 한다.
* 일루조 CV. 네기시 아키라
흠!
스탠드는 맨 인 더 미러. 거울 속 세계로 플레이어를 끌어들이는데, 거울 속 세계 안에서는 조작키가 반대다. 주 공격 패턴은 바닥에 널부러진 거울조각으로 이동하거나 거울 조각을 던지는 것. 총 3번의 전투를 거치는데 2차전부터는 일루조가 거울 밖으로 나오면서 스탠드 배틀이 가능하다.
* 프로슈토 CV. 우스이 타카야스
스탠드는 더 그레이트풀 데드. 스탠드에 접근하면 노화가스로 체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칸마다 배치된 제빙기를 부숴 얼음을 얻은 다음에 공격해야 한다. 스탠드의 움직임이 느리고 본체는 빨리 움직이기 때문에 얼음을 얻기 번거로우면 본체를 유인해서 본체만 공격하면 된다.
* 페시 CV. 니시무라 토모히로
직선이다!
스탠드는 비치 보이. 공격 패턴은 직선으로 낚시바늘을 날리는 것과 낚시바늘을 땅속에 넣고 원형으로 탐색하는 것. 가까이 접근하면 낚시대를 휘둘러 넘어뜨린 뒤, 발로 찬다.
* 기아초 CV. 니시무라 토모히로
초저온은, 정지된 세계!
스탠드는 화이트 앨범. 1차전에서는 제한시간 동안 차를 쫓아오는 기아초를 미스타가 총을 쏴서 밀어내야 하며, 2차전에서는 스케이팅으로 빠르게 돌진하다가 체력이 어느 정도 깎이면 '젠틀리 위프스'로 총알을 튕겨내며, 접근시 얼음길을 사방에 만들어서 발을 묶기도 한다.
얼음 슈트가 상시 방어 상태이기 때문에 일반 공격이 통하지 않지만, 필살기(X버튼)인 강한 한발을 맞을 경우 미끄러지다가 앞으로 고꾸라지면서 뒤쪽이 노출되므로[14] 그 틈에 연사하면 대미지를 줄 수 있다. 또한 스테이지 기믹으로 곳곳에 배치된 철봉을 공격하면, 철봉이 파손되면서 뾰족하게 튀어나오는데 철봉 쪽으로 기아초를 유도한 뒤 X버튼으로 넘어뜨리면 미끄러지면서 철봉에 꽂혀 한방에 리타이어시킬 수 있다.
방해라고!
스탠드는 오아시스. 1차전에서는 그린 디의 곰팡이로부터 도망치는 플레이어 앞에 튀어나와 공격하며, 2차전에서는 버로우하다가 공격하고 멀리 떨어지면 점프로 접근하는데 이때 원작처럼 세코가 차 옆에 있을때 차의 타이어를 터트리면[15] 세코가 귀가 먹어서 플레이어가 있는 곳과 다른 방향으로 튀어나와 헤매며, 이 틈에 공격하면 된다. 체력이 어느 정도 깎이면 증유석 폭격을 한다.
* 디아볼로, 비네거 도피오 CV. 미야모토 미츠루
잡았다, 에피타프!
스탠드는 킹 크림슨. 다만 게임상에서는 스탠드를 꺼낼때는 킹 크림슨이라 말하고, 능력을 쓸때는 에피타프라고 말한다. 실버 채리엇 레퀴엠 전에서는 부챠라티와 영혼이 바뀌면서 스티키 핑거즈를 쓴다.
총 3번 싸우며, 총 2가지 패턴이 있다.
* 1차전 (vs 부차라티) : 시간 삭제를 이용한 순간이동. 에피타프!를 외치면 순간이동하는 패턴이지만, 무작위가 아니라 '기둥' 근처에 한정하기 때문에 블랙 사바스 戰처럼 주변의 기둥들을 미리 부숴두면 디아볼로의 위치를 알 수 있다.
* 2차전 (vs 폴나레프) : '스탠드체 날리기'(잡았다!)와 '킹 크림슨의 능력 발동'(에피타프!). 여기서는 킹 크림슨의 능력이 시간 감속으로 각색되어서 발동시 화면이 색반전되면서 디아볼로를 제외한 모든 시간이 일정시간 느리게 흐른다. 발동시 '킹 크림슨... 에피타프!'라고 외치는데, '에피타프'에서 능력이 발동되니 타이밍을 맞춰 거리를 두자. 다만, 스탠드체 날리기는 거리를 둘수록 오히려 당하기 쉽기 때문에 능력을 발동하기 전까지는 오히려 근접해서 공격하는 게 좋다. 폴나레프가 휠체어로 이동해서 행동에 어느 정도 제약이 있으므로 주의.
* 3차전 (vs 죠르노) : 공격패턴은 2차전과 같지만, 여기에 '충격파'와 '피로 눈 가리기'가 추가되었다. 2차전과 달리 죠르노의 스탠드가 레퀴엠으로 각성하면서 '스탠드 한정'으로 킹 크림슨의 능력이 발동되어도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단, 본체는 그대로이기 때문에 킹 크림슨의 능력 발동에 대비해 스탠드 게이지를 비축해둬야 한다. 또한 체력을 거의 깎아도 방심하면 안된다. 체력이 0이 될 경우, 충격파를 일으키며 체력을 40% 회복한 뒤 재대결에 들어가며 이때부터는 스탠드 방어가 치밀해지기 때문에 스탠드 게이지의 비축이 힘들어지는데다, 접근 시 피를 뿌려 화면을 가린다.

성우진이 꽤나 화려하다. 성우들의 연기 또한 절륜하다. 물론 제작할 때 5부 읽은 사람들만 뽑은 것도 한몫하지만 5부를 읽은 사람이 듣고 있으면 감탄이 나올 정도로 연기는 보증한다. 다만 단역쪽은 중복 캐스팅이 좀 보인다.

덕분에 죠죠의 기묘한 모험 All Star Battle에서 바뀐 성우들에 대해 팬들이 아쉬워했다. 본작의 터지는 연기력에 비해 약하다는 평이 다수. 산페이 유코가 담당한 나란챠는 예외로 치는데, ASB 나란차의 경우 아예 '본인이 직접 와서 녹음했다'라는 평이 나올정도로 대호평을 받았다.

4. 그 외


[1] 사실 아케이드 판 죠죠와 미래를 위한 유산을 만들 때도 직원들에게 죠죠 3부 만화책을 던져놓고, 다 읽고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만 제작에 참여하라고 한 일화가 있다.[2] 예를 들어서 노토리어스 B.I.G.편에서 죠르노가 피자를 먹고 싶다고 말하는 음성이나 성당에서 죠르노가 보스의 위치를 지시하는 음성이 있다.[3] 다만 대미지 반사는 게임 상에서 죠르노로 플레이할시 쓸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다.[4] 일루조가 거울 안과 밖을 왔다갔다하는데 각각 아바키오와 무디 블루스로 전투를 해야한다. 이때 거울 안에 있는 아바키오의 경우 조작키를 반대로 입력해야한다.[5] 사실 이것도 원작을 반영하긴 한건데, 일루조가 아바키오로 변장한 무디 블루스를 본체로 착각하고 거울 속으로 끌고 왔다가 그대로 무디 블루스한테 두들겨 맞은 바가 있다. 즉, 게임에서 거울 속 세계로 넘어갈때의 아바키오는 무디 블루스가 변신한 모습이라고 보면 된다.[6] 애니판에서도 이쪽과 비슷하게 연출되었다.[7] 이후 나온 애니판과 비교해보면 애니판은 비명이지만, 게임판은 신음(...)에 가깝다. 브금도 무슨 야애니에 나올 법한 느낌의 음악이 흘러나오는 건 덤.[8] 다만 더미 데이터 중에 죠르노가 보스의 위치를 알려주는 음성이 있었던 걸 보면 무당벌레 브로치를 넣을려다가 시간이나 기술상의 문제로 못 넣은 걸로 보인다.[9] 후에 나온 죠죠 ASB, 죠죠 EoH에선 나미카와 다이스케 버전으로, 죠죠 ASBR에선 오노 켄쇼 버전으로 들어볼 수 있긴 하다.[10] 참고로 폴나레프와의 전투에서는 능력을 쓰지 않을때는 스탠드체를 돌진시키며 꺼내서 폴나레프를 날려버린 뒤 거리가 어느 정도 벌어지면 시간을 느리게 만들어 움직이지 못하는 사이에 접근해서 후드려깠다가 능력이 풀리면 다시 날려버려서 거리를 두는 식으로 치졸하게 싸운다.[11] 다만 골드 익스피리언스 레퀴엠이 킹 크림슨의 능력이 통하지 않는다는 점을 반영해서 본체인 죠르노만 느려지고, 스탠드는 보통 속도로 움직이기에 디아볼로가 능력을 사용할 시에는 스탠드를 즉시 움직이면 된다.[12] 그리고 디아볼로의 체력을 거의 깎으면 디아볼로가 최후의 발악으로 시간을 느리게 만듬과 동시에 충격파를 내면서 죠르노를 날려버리고 체력 40%를 회복해버린다. 이때부터는 디아볼로의 스탠드 방어가 치밀해져서 킹 크림슨이 공격을 계속 막아내지만, 러시로 킹 크림슨을 계속 때리면 킹 크림슨이 사라지기 때문에 그틈에 킹 크림슨을 다시 꺼낼새도 없이 러시로 디아볼로를 공격하면 된다.[13] 즉, 공격동작을 적절히 재현시키면 본체와 스탠드가 다구리하는게 가능하다.[14] 화이트 앨범의 약점은 얼음 슈트의 뒤쪽이 숨구멍이라 취약하다는 것.[15] 차를 공격한다고 터지지 않으며, 세코가 정확히 타이어 앞에 있을때 터트리지 않으면 그냥 타이어 하나만 낭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