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1 20:48:02

죠죠의 기묘한 모험(SFC)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70556,#010101> 파일:죠죠의 기묘한 모험 로고.svg죠죠의 기묘한 모험 시리즈
게임 일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리즈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CLc-t6ivL._SL500_AA300_.jpg 파일:external/neoapo.com/099b9731eabfba41a45c09d3d559019a.png 파일:JOJOPB-game_logo.png 파일:JOJOHFF-game_logo.png
죠죠의 기묘한 모험(SFC) 황금의 선풍 팬텀 블러드 미래를 위한 유산
스타일리시 죠죠 액션 시리즈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b4c0480f.png 파일:attachment/죠죠의 기묘한 모험 Eyes of Heaven/죠죠_아이즈오브헤븐_로고.png 파일:1372110_logo_koreana.png
All Star Battle Eyes of Heaven 올 스타 배틀 R
죠죠의 기묘한 모험 The Animation 게임 시리즈
파일:JOJO SS_logo.png 파일:JOJO Diamond Records_logo.png 파일:죠죠 라스사바 logo.png
스타더스트 슈터즈 다이아몬드 레코즈 라스트 서바이버
파일:JOJO ORADORA_Logo.png 파일:JOJO GoldenHymn_Chinese Logo.png
오라오라 오버드라이브 황금찬가
죠죠 SD 프로젝트
파일:ジョジョのピタパタポップロゴ .png
죠죠의 PITTER-PATTER 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크로스 오버 게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패미컴 점프 -영웅열전- 패미컴 점프 2 최강의 7인 점프 슈퍼 스타즈 점프 얼티밋 스타즈
J 스타즈 빅토리 버서스 점프 포스 }}}
}}}}}}

파일:attachment/jojo_sfc.jpg

1. 개요2. 상세3. 왜곡의 향연
3.1. 시스템 및 연출3.2. 스토리
4. 여담

1. 개요

윳쿠리 실황 유튜버 タッカルビのレトロゲームゆっくり実況의 리뷰 영상 전편과 후편
죠죠의 기묘한 모험 Part 3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를 원작으로 한 RPG 게임으로, 코브라 팀[1]에서 제작되어 통칭 코브라 죠죠라 불린다. 1993년 3월 5일 슈퍼패미컴으로 발매.[2]

2. 상세

시리즈 최초로 단독 IP로만 제작된 죠죠 게임이자 미디어 믹스 작품이다. 죠죠가 게임에서 처음 등장한 건 패미컴 점프영웅열전이 먼저지만, 콜라보를 제외하면 본작이 최초.

그러나, 엉성한 시스템과 조잡한 원작 파괴, 이상한 오리지널 전개 등의 완성도를 깎아먹는 여러 어설픈 문제점들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는 이미 괴작으로 낙인찍혀 웃음벨 취급받는 중이다. 이후에 나온 똥겜팬텀 블러드는 그나마 원작 고증만은 충실한 것에 비해, 본작은 거의 캐릭터만 빌려온 수준으로 스토리가 완전히 동떨어져 있어서 그냥 다른 작품이라고 봐도 될 수준이다.하는 게임

다만 OST만큼은 좋다. BGM은 정말 대단한 수준. 어레인지 앨범이 나온 것만 봐도...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3. 왜곡의 향연

3.1. 시스템 및 연출

3.2. 스토리

시간순으로 서술함. 일단은 카쿄인과 만나는 점까지는 대체로 맞는다.물론 뜬금없이 육신의 싹에 지배당하는 학생들이 덤빈다거나 하이어로팬트 그린대놓고 덤벼든다던가 하기는 한다 하지만 그 이후로는 앞에서 언급했듯 원작파괴가 너무나도 심하다.

4. 여담

…쭉 읽어보면 알겠지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고 만든건지 알 수 없다. 물론 원작과는 100% 다르다. 일순 후의 세계 아예 한 죠죠러 '클레이맨'은 이 작품에 굉장히 실망하는 한편 흥미를 가지고 '만약 이 작품이 제대로 만들어졌다면 어떻게 됐을까?'하는 의구심에 직접 게임을 만들었고, 그 게임이 바로 세간에 죠죠 RPG로 알려진 7번째의 스탠드유저이다. 비록 7번째의 스탠드유저를 만들게 된 결정적인 계기이긴 하나, 7번째의 스탠드유저는 원작을 충실히 반영하면서도 자신만의 엔딩을 만들어나갈 수 있어서 죠죠러들의 시간을 불태우게 만들었기에 코브라 팀의 죠죠 SFC와 비교한다면 매우 실례라고 할 수 있다.

죠죠의 기묘한 모험 All Star Battle을 제작하게 된 CyberConnect2의 마츠야마 사장이 이 불세출의 괴작에 대하여 질문을 받았는데, 대답은 "저희는 이런 죠죠가 있었단 것을 잊으면 안됩니다."였다. 정작 발매 이후 ASB도 연출 및 원작 재현만 호평이고 게임성은 도긴개긴 수준으로 막장이라는 게 밝혀지면서 이 발언은 조롱거리가 되었다.

디아볼로의 대모험에서는 죠타로가 시간의 학모를 드랍한다. 사용 효과는 5턴 정지. 또한 최신 버전의 특수 상점에 본작에서 서점 주인으로 나온 폴나레프가 등장한다. 상점 입장시 BGM도 본작의 전투 BGM을 그대로 따왔다.


[1] 윙키 소프트의 전신이다. 과연 윙키 전신때부터 가차없지[2] OVA보다 먼저 나왔다.[3] CM에서 이 '무다무다'를 시오자와 카네토가 직접 냈다.[4] 체력이 0이 되면 '○○○는 쓰러졌다!'가 나오지만 정신력이 0이 되면 '○○○는 전의를 상실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온다.[5] 육신의 싹으로 디오의 부하가 됐다.(...)뭐가 쓸모 있어서?[6] 인공지능의 한계로 그것도 여러모로 엉망이며 죠타로를 제외하면 무조건 패배하도록 설정되어있다.[7] 재미있게도 TVA에서는 죠스타 일행이 아라비아 팟초를 쓰러뜨린 뒤 식료품들을 아라비아 팟초가 기절한 틈을 타 뜯어간다.[8] 이기를 동료로 받아들인 뒤 피라미드를 나오면 아누비스신을 구매하겠다는 요구를 거절했을 때만 훔쳐가며 판매했다 쳐도 얼마 지나지 않아서 공격해온다.[9] 죠셉의 경우 말레나처럼 세트신의 능력에 오랫동안 노출되었는지 죠셉 또한 어려진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약점을 공략할 때 "놈은 그림자의 스탠드! 전기를 끄면 막을 수 있겠어!"라는 대사가 나온다. 그런데 알레시가 맨 처음에 싸우게 되는 불량배 수준으로 약해서 약점을 공략할 필요가 없다.[10] 7번째의 스탠드유저에서도 테렌스 T. 다비를 레이싱 게임에서 이기지 못하면 직접 전투로 해치워야 하나, 원작 재현은 충실히 되어 있다.[11] 이 점은 디아볼로의 대모험에서 그대로 패러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