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6:07:50

테너 색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현실의 태너 색소폰}}}에 대한 내용은 [[테너 색소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테너 색소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테너 색소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현실의 태너 색소폰: }}}[[테너 색소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테너 색소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테너 색소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151488>
파일:제3부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 로고.png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max-width:10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죠스타 일행
<rowcolor=#525151,#000000>
타로 카드스탠드 유저
<rowcolor=#525151,#000000>


이집트 9영신
<rowcolor=#525151,#000000>


DIO의 저택
<rowcolor=#525151,#000000>
기타
<rowcolor=#525151,#000000>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TenoreSax.png
{{{#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파일:테에엥마망.png
<colbgcolor=#303030,#000000> 애니메이션
}}}}}}}}}}}} ||
테너 색스
ティナー・サックス|Tenore Sa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상세 프로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름 테너 색스
스탠드 유저 케니 G
명칭 유래 악기 테너 색소폰[1]
타입 현상형[2]
정신공격형
{{{#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스탯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파일:테너 색스1121.png
<colbgcolor=#303030,#000000> 테너 색스
파괴력 - E 스피드 - E 사정거리 - D
지속력 - A 정밀동작성 - E 성장성 - E
}}}}}}}}}}}} ||
}}}}}}}}} ||

1. 개요2. 외형 및 특징3. 능력
3.1. 스탯3.2. 환각
4. 단점5. 미디어 믹스에서의 출현

야, 압둘... 어쩔 거야? 끝없이 이어진 것 같은데...
장 피에르 폴나레프

1. 개요

<nopad>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TenoreSax.png <nopad> 파일:TVA 색스.png
원작[3] TVA[4]

만화 죠죠의 기묘한 모험 3부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의 등장인물 케니 G스탠드.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외형 및 특징

작중 최초로 등장한 타로 카드와 무관한 스탠드. 본편에서는 명칭이 공개되지 않았으며, 본체인 케니 G가 순식간에 퇴장하는 바람에 가장 존재감이 떨어진 스탠드로 보일 수 있으나 아툼신戰이 치러진 바닷가를 만들어낸 것이 이 스탠드이기에, 사실 출연 자체는 많았던 스탠드이다. 케니 G가 퇴장한 뒤, 곧바로 등장한 크림 또한 타로카드와 무관한 이름의 스탠드.

크림을 시작으로 후속작부터 유명 밴드 / 곡 / 인물 등의 이름을 모티브로 한 스탠드가 등장하는데, 테너 색스는 유일하게 일반 악기에서 따왔다는 점에서도 특이한 스탠드. 명칭 유래가 된 테너 색소폰은 본체인 케니 G의 모티브인 케니 지가 주로 사용하는 악기이기도 하다.

저작권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어 명칭과 영어 명칭이 기존과 교묘하게 다르다. 가나 표기는 원래대로라면 '테나 삿쿠스(ナーサックス)'이지만, 픽시브 사전 및 인터넷에서는 '티나 삿쿠스(ティナー・サックス)'로 표기하고 있으며, 로마자 표기는 원래대로라면 'Tenor Sax'이지만, 팬덤 위키 및 인터넷에서는 'Tenore Sax'로 표기하고 있다.

여러모로 기념비적인 스탠드이지만, 본체가 순식간에 퇴장했다 하는 점 때문에 오히려 존재감이 낮은 아이러니한 스탠드.

3. 능력

3.1. 스탯

3.2. 환각

환각을 만드는 능력. 만들어진 환각은 매우 정교해 저택 안에 바다 위의 섬을 재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바닷 바람이 불어오고 바닷물의 촉촉한 느낌을 느낄수 있는 등 현실감은 한없이 높은 수준.

생물도 구현된다. 또한 환각을 이용해 끝이 없는 통로를 만들거나, 환각으로 함정을 만들 수도 있다. 환각일 뿐이기에 예를 들어 원래 벽이 있는 장소는 부술 수 있다. 다만 환각의 재현도가 매우 높아서 원래 거기에 벽이 있다는 사실을 간파하기는 힘들다.

4. 단점

5. 미디어 믹스에서의 출현

5.1. 미래를 위한 유산 PS판

미니게임으로 등장. 구불구불한 미로 사진 안에서 불꽃 탐지기의 도움을 받아 테너 색스를 찾아서 박살내야 한다.

여담으로 상술했듯 이 스탠드를 시작으로 더 이상 스탠드의 이름의 유래가 타로카드이집트 신이 아니게 되었기에 크림과 함께 본작에선 따로 고유한 카드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미래를 위한 유산 한정으로 타로카드가 구현되었었다. 깨알같이 넣어둔 Lucky Land는 덤.
[1] 처음으로 타로 카드이집트 9영신을 모티브로 한 이름이 아닌 악기의 이름을 모티브로 했다. 이후 죠죠 시리즈에 나오는 스탠드들의 이름은 모두 음악과 관련된 것으로 지어진다.[2] JOJO A-GO!GO!에서 공인됨.[3] 좌측의 개는 이기, 우측의 인물은 장 피에르 폴나레프무함마드 압둘. 테너 색스의 본체는 케니 G로, 이들은 테너 색스와 별개의 인물이다.[4] 마찬가지로 좌측의 개는 이기, 우측의 인물은 장 피에르 폴나레프. 원작과 달리 무함마드 압둘은 해당 장면에서 미등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