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31 01:58:51

전주부(일제강점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e2e2e>
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일제강점기
{{{+1'''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b0313f;margin: -6px -1px -11px"
경기도
20군
경성부 인천부 개성부
고양군 부천군 개풍군 시흥군 수원군 평택군 안성군 용인군 이천군 금포군 강화군 파주군 포천군 연천군 광주군 양평군 양주군 가평군 여주군 장단군
충청북도
10군
영동군 옥천군 보은군 청주군 괴산군 제천군 단양군 음성군 진천군 충주군
충청남도
1부 14군
대전부
대덕군 공주군 연기군 논산군 부여군 서천군 보령군 홍성군 청양군 서산군 당진군 예산군 아산군 천안군
전라북도
2부 14군
군산부 전주부
옥구군 완주군 익산군 김제군 고창군 정읍군 금산군 진안군 남원군 부안군 임실군 순창군 무주군 장수군
전라남도
2부 21군 1도
광주부 목포부
광산군 무안군 나주군 화순군 곡성군 담양군 여수군 함평군 영광군 광양군 고흥군 보성군 강진군 해남군 장성군 구례군 장흥군 완도군 진도군 순천군 영암군 제주도
경상북도
1부 22군 1도
대구부
달성군 경산군 영천군 경주군 영일군 영덕군 영양군 청송군 안동군 의성군 군위군 칠곡군 김천군 상주군 예천군 영주군 봉화군 문경군 성주군 고령군 청도군 선산군 울릉도
경상남도
3부 19군
부산부 마산부 진주부
동래군 창원군 진양군 울산군 창녕군 사천군 하동군 거창군 고성군 통영군 함양군 합천군 의령군 함안군 산청군 김해군 밀양군 양산군 남해군
강원도
21군
이천군 고성군 김화군 철원군 울진군 춘천군 홍천군 횡성군 원주군 평창군 영월군 정선군 삼척군 강릉군 양양군 통천군 회양군 평강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황해도
1부 17군
해주부
연백군 금천군 신계군 해주군 평산군 곡산군 옹진군 장연군 송화군 재령군 서흥군 봉산군 수안군 신천군 안악군 황주군 은률군
평안남도
2부 14군
평양부 진남포부
대동군 용강군 중화군 강동군 성천군 순천군 평원군 강서군 안주군 개천군 덕천군 영원군 맹산군 양덕군
평안북도
1부 19군
신의주부
의주군 박천군 정주군 선천군 영변군 희천군 운산군 태천군 구성군 철산군 용천군 삭주군 창성군 벽동군 초산군 위원군 강계군 자성군 후창군
함경남도
3부 16군
원산부 함흥부 흥남부
문천군 함주군 신흥군 고원군 홍원군 북청군 혜산군 풍산군 안변군 영흥군 정평군 이원군 단천군 갑산군 삼수군 장진군
함경북도
3부 11군
청진부 나진부 성진부
부령군 경흥군 학성군 명천군 회령군 종성군 경성군 길주군 경원군 온성군 무산군
※ 1945년 8월 기준.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e2e2e>
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일제강점기
{{{+1'''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기도 평안남도
파일:경성부 휘장(1925-1945).svg파일:제2기 경성부 휘장_White.png 파일:인천부 휘장.svg파일:인천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개성부 휘장.png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파일:신의주부 마크(1929~?).png파일:신의주부 화이트.svg 파일:평양부 마크(1922~?).png파일:평양부 로고_White.png 파일:진남포부 휘장.svg파일:진남포부 휘장 화이트.svg
경성부 인천부 개성부 평양부
함경북도 함경남도
파일:청진부 휘장.svg파일:청진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나진부 휘장.svg파일:나진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성진읍(1938~?)의 마크.png 파일:원산부 휘장.svg파일:원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함흥부 휘장.svg파일:함흥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흥남읍(일제강점기)의 마크.png
청진부 나진부 성진부 원산부 함흥부 흥남부
황해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파일:해주부 마크(1939~?).png 파일:대전부 휘장 2기.svg파일:대전부 휘장 2기 화이트.svg 파일:군산부 마크(1928~?).png 파일:전주읍 마크(1930~?).png 파일:목포부 마크(1926~?).png 파일:광주부 휘장.svg파일:광주부 휘장 화이트.svg
해주부 대전부 군산부 전주부 목포부 광주부
경상남도
파일:대구부 마크(1927~?).png파일:대구광역시 휘장(일제강점기~1996)_White.svg 파일:부산부 휘장.svg파일:부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마산부 휘장.svg파일:마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진주부 마크(1940~?).png
대구부 부산부 마산부 진주부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 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전라북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1c1d1f> 파일:전주읍 마크(1930~?).png전주부
[ruby(全, ruby=ゼン)][ruby(州, ruby=シュウ)][ruby(府, ruby=フ)]
Zenshū City
}}}
<colbgcolor=#2e2e2e><colcolor=#fff> 부청 소재지 전라북도 전주부 전동 (現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상위 행정구역 전라북도
하위 행정구역 25정
면적 약 ?km²(1945년 기준)
인구 67,095명(1944년 기준)
폐지 1949년 8월 14일
후신 전주시
파일:Taisho-Cho_in_Zenshu.jpg
다이쇼정 (現 중앙동)
파일:NISI20140811_0010009557_web.jpg
전주 신사

1. 개요

[ruby(全,ruby=ぜん)][ruby(州,ruby=しゅう)][ruby(府,ruby=ふ)](젠슈후)

일제강점기 당시 전주 구도심 중앙동, 풍남동, 노송동 일대 지역에 위치했던 이다.

1899년 군산이 개항장으로 지정된 이후 일본인이 많이 유입되어 전라북도 최대도시였던 전주보다 이른 시기에 부로 승격했고 이후에 전주가 두번째로 부(府)로 승격되었다.

2. 사건 사고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ext-align: left"
1945년 남북분단 이후 현재까지 폐지된 대한민국행정구역
행정구역 단계별로 구분 및 폐지 날짜 순서대로 나열
북: 폐지 후 이북 5도에 명목상 존속 (단, 옹진군은 인천광역시 소속으로, 황해도 소속과 별개 취급) / 95: 1995년 도농통합으로 인한 폐지 / 승: 광역자치단체 승격으로 인한 폐지
볼드체: 광역자치단체 / 이탤릭체 : 기초자치단체 하위 행정구역
경기 황해도
벽성군 · 장연군 · 서울시 · 개성시 · 개풍군 · 연백군 · 북포천군 · 장단군 · 부천군 · 인천시 · 시흥군 · 고양군 · 미금시95 · 남양주군95 · 송탄시95 · 평택군95
반월면 · 일산구 · 태안읍 · 동탄면 · 오포읍
강원 강원도
평강군 · 김화군 · 명주군95 · 삼척군95 · 원주군95 · 춘천군95
충북 제천군95 · 중원군95 · 청원군 · 구 청주시
충남 대전시 · 대덕군 · 대천시95 · 공주군95 · 보령군95 · 서산군95 · 아산군95 · 온양시95 · 천안군95 · 천안시(통합 이전)95 · 연기군
전북 전라북도
김제군95 · 옥구군95 · 정읍군95 · 정주시95 · 이리시95 · 익산군95
전남 광주시 · 광산군 · 송정시 · 광양군95 · 나주군95 · 동광양시95 · 승주군95 · 구 여수시 · 여천군 · 여천시
경북 울릉도 · 대구시 · 경산군95 · 경주군95 · 금릉군95 · 문경군95 · 선산군95 · 안동군95 · 영일군95 · 영천군95 · 영풍군95 · 점촌시95
내동면 · 월곡면 · 풍서면
경남 부산시 · 동래군 · 거제군95 · 김해군95 · 밀양군95 · 울산군95 · 장승포시95 · 진양군95 · 충무시95 · 창원군95 · 통영군95 · 사천군95 · 삼천포시95 · 울산시 · 마산시 · 진해시 · 구 창원시
원량면 · 웅상읍 · 울주구 · 장유면
제주 제주도(濟州道)
제주도(濟州島) · 남제주군 · 북제주군
대한제국~일제강점기에 폐지된 행정구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