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e2e2e>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기도 | 평안남도 | ||||
| 파일:인천부 휘장.svg | | | | | |
경성부 | 인천부 | 개성부 | 평양부 | |||
함경북도 | 함경남도 | |||||
| | | | | | |
청진부 | 나진부 | 성진부 | 원산부 | 함흥부 | 흥남부 | |
황해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
| | | | | | |
해주부 | 대전부 | 군산부 | 전주부 | 목포부 | 광주부 | |
경상남도 | ||||||
| | | | |||
대구부 | 부산부 | 마산부 | 진주부 | }}}}}}}}} |
전라남도의 부{{{#!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1f2023> | 목포부 木浦府 Moppo City | }}} | |||
<colbgcolor=#2e2e2e><colcolor=#fff> 부청 소재지 | 전라남도 목포부 대화정2정목 1[1] (全羅南道木浦府大和町二丁目1木浦府廳, 現 전라남도 목포시 대의동2가 1-5 목포근대역사관) | |||||
상위 행정구역 | 전라남도 | |||||
하위 행정구역 | 56정(1945년) | |||||
면적 | 약 8.3km² (1932년) | |||||
인구 | 72,981명(1943년) | |||||
존속기간 | 1910년 10월 1일 ~ 1949년 8월 14일 | |||||
전신 | 무안부, 목포부 (1910~1914) 부내면 | |||||
후신 | 목포시 |
|
목포부청 해방 이후에도 해당 건물은 1974년까지 목포시청으로 쓰였으며 현재는 목포근대역사관으로 쓰이고 있다. |
1. 개요
일제강점기 시절 전라남도의 행정구역으로, 현재의 목포시 중·남부에 위치했다. 1897년 설치당시에 무안부(務安府)였으나, 1910년 10월 1일에 목포부로 개칭되었고 1949년 8월 15일에 목포시로 개칭될 때까지 명칭이 유지되었다. 일본식 독음은 못포후([ruby(木浦府, ruby=モッポフ)])이다.전라남도에서 가장 먼저 부(府)로 승격된 곳이다.
조선시대에 무안현 목포진 관할지이었고, 구한말에 목포면이 되었다.
무안부 관아(현 무안군청사)가 목포로 이전한 후에 목개면(木浦面; 목포면)에서 부내면(府內面)으로 개칭되었다.[PDF]
2. 인구
전라남도 목포부 인구 추이 (1897년~1944년) |
1898년 924명(0+907+14+3) |
1899년 920명(0+872+42+6) |
1900년 939명(0+894+39+6) |
1901년 1,002명(0+940+53+9) |
1902년 1,100명(0+1,045+45+10) |
1903년 1,478명(0+1,417+50+11) |
1904년 1,499명(0+1,442+47+10) |
1905년 2,099명(0+2,020+67+12) |
1906년 2,466명(0+2,364+92+10) |
1907년 6,466명(3,532+2,851+77+6) |
1908년 8,193명(5,252+2,863+69+9) |
1909년 8,853명(5,675+3,097+71+10) |
1910년 10월 1일 무안부에서 목포부로 개명[6] |
1910년 10,655명(7,076+3,494+75+10) |
1911년 12,222명(7,370+4,726+111+15) |
1912년 13,052명(7,569+5,323+150+10) |
1913년 13,558명(7,552+5,859+130+17) |
1914년 3월 1일 삼향면, 일로면, 이로면, 박곡면, 일서면, 이서면, 석진면, 외읍면, 현화면, 다경면, 망운면, 해제면, 진하산면 및 부내면 일부가 무안군으로 분리[7][8] |
1914년 12,015명(6,991+4,908+102+14) |
1915년 11,817명(7,118+4,611+74+14) |
1916년 13,122명(8,368+4,665+70+19) |
1917년 13,487명(8,804+4,583+82+18) |
1918년 13,681명(8,918+4,645+109+9) |
1919년 15,311명(10,348+4,850+104+9) |
1920년 16,701명(11,270+5,273+146+12) |
1921년 17,945명(12,096+5,685+146+18) |
1922년 20,028명(13,351+6,507+156+14) |
1923년 22,233명(15,036+7,021+157+19) |
1924년 23,854명(16,275+7,368+191+20) |
1925년 25,762명(18,815+6,709+218+20) |
1926년 27,521명(19,993+7,280+226+22) |
1927년 29,242명(21,178+7,809+230+25) |
1928년 29,894명(21,707+7,931+235+21) |
1929년 29,985명(21,758+7,963+243+21) |
1930년 31,817명(23,488+8,003+305+21) |
1931년 33,062명(24,805+8,045+198+14) |
1932년 10월 1일 무안군 이로면 산정리, 죽교리, 용당리 일부를 목포부로 편입[9] |
1932년 52,511명(43,827+8,479+187+18) |
1933년 53,165명(44,535+8,414+197+19) |
1934년 55,667명(46,896+8,534+219+18) |
1935년 59,046명(49,967+8,836+227+16) |
1936년 60,005명(50,859+8,885+239+22) |
1937년 62,457명(53,541+8,821+74+21) |
1938년 65,572명(56,923+8,551+85+13) |
1939년 68,531명(59,832+8,587+94+18) |
1940년 69,183명(61,059+8,018+98+8) |
1942년 72,145명(63,836+8,182+117+10) |
인구는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0만 명 목포상공회의소 통계연보 조선총독부 통계연보 |
3.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2e2e2e><tablewidth=250><tablebgcolor=#2e2e2e>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정 · 동 · 리 (우체국 기준) | |||||
〶 목포남교동 | ||||||
대성동 | 양동 | 남교동 (1~73번지) | 북교동 | |||
죽교리 (1~278번지) | 산정리 | 용당리 | ||||
〶 목포창평정 | ||||||
호남정 | 명치정 | 대정정 | 창평정 | |||
남교동 (이외 번지) | 죽동 | 죽교리 (279~399번지) | ||||
〶 목포 | ||||||
항정 | 부청 대화정1·2·3정목 | 본정1·2·3정목 | 경정1·2정목 | |||
중정1·2정목 | 금정1·2정목 | 하정 | 유정 | |||
무안통 | 해안통1·2·3·4정목 | 상반정1·2정목 | 앵정 | |||
욱정 | 온금동 | 산수정 | 죽교리 (이외 번지) | |||
복산정 | 목포대 | |||||
〶 목포영정 | ||||||
송도정 | 서정1·2·3정목 | 축정1·2·3정목 | 보정1·2·3정목 | |||
행정1·2정목 | 영정1·2정목 | 수정1·2정목 | ||||
[[목포시청| 부청 소재지 : 대화정2정목 ]] | }}}}}}}}} |
당시 지명 | 현재 지명 | |
한국어 | 일본어 | |
축정 | [ruby(祝町, ruby=イハヒチヤウ)] (이와이초) | 축복동 |
금정 | [ruby(錦町, ruby=ニシキチヤウ)] (니시키초) | 금동 |
본정 | [ruby(本町, ruby=ホンチヤウ)] (혼초) | 중앙동 |
북교동 | [ruby(北橋洞, ruby=ホクケウドウ)] (호쿠쿄도) | 북교동 |
상반정 | [ruby(常盤町, ruby=トキハチヤウ)] (도키와초) | 상락동 |
죽동 | [ruby(竹洞, ruby=チクドウ)] (지쿠도) | 죽동 |
온금동 | [ruby(溫錦洞, ruby=ヲンキムドウ)] (온킨도) | 온금동 |
하정 | [ruby(霞町, ruby=カスミチヤウ)] (가스미초) | 측후동 |
해안통 | [ruby(海岸通, ruby=カイガンドホリ)] (가이간도오리) | 해안동 |
양동 | [ruby(陽洞, ruby=ヤウドウ)] (요도) | 양동 |
보정 | [ruby(寶町, ruby=タカラチヤウ)] (다카라초) | 보광동 |
대정정 | [ruby(大正町, ruby=タイシヤウチヤウ)] (다이쇼초) | 대안동 |
대성동 | [ruby(大成洞, ruby=タイセイドウ)] (다이세이도) | 대성동 |
중정 | [ruby(仲町, ruby=ナカチヤウ)] (나카초) | 중동 |
남교동 | [ruby(南橋洞, ruby=ナムケウドウ)] (난쿄도) | 남교동 |
무안통 | [ruby(務安通, ruby=ムアンドホリ)] (무안도오리) | 무안동 |
산수정 | [ruby(山手町, ruby=ヤマテチヤウ)] (야마테초) | 유달동 |
유정 | [ruby(柳町, ruby=ヤナギチヤウ)] (야나기초) | 유동 |
대화정 | [ruby(大和町, ruby=ヤマトチヤウ)] (야마토초) | 대의동 |
송도정 | [ruby(松島町, ruby=マツシマチヤウ)] (마츠시마초) | 동명동 |
복산정 | [ruby(福山町, ruby=フクヤマチヤウ)] (후쿠야마초) | 복만동 |
수정 | [ruby(壽町, ruby=コトブキチヤウ)] (고토부키초) | 수강동 |
호남정 | [ruby(湖南町, ruby=コナムチヤウ)] (고난초) | 호남동 |
서정 | [ruby(曙町, ruby=アケボノチヤウ)] (아케보노초) | 광동 |
욱정 | [ruby(旭町, ruby=アサヒチヤウ)] (아사히초) | 서산동 |
영정 | [ruby(榮町, ruby=サカエチヤウ)] (사카에초) | 영해동 |
행정 | [ruby(幸町, ruby=サイハヒチヤウ)] (사이와이초) | 행복동 |
앵정 | [ruby(櫻町, ruby=サクラチヤウ)] (사쿠라초) | 금화동 |
경정 | [ruby(京町, ruby=キヤウチヤウ)] (교초) | 경동 |
명치정 | [ruby(明治町, ruby=メイヂチヤウ)] (메이지초) | 명륜동 |
항정 | [ruby(港町, ruby=ミナトチヤウ)] (미나토초) | 항동 |
창평정 | [ruby(昌平町, ruby=シヤウヘイチヤウ)] (쇼헤이초) | 창평동 |
목포대 | [ruby(木浦臺, ruby=モクホダイ)] (못포다이) | 만호동 |
4. 경제
4.1. 금융
목포부에 위치한 금융기관 | ||||
업종 | 기관명 | 주소 | 전화번호 | 설립연월일 |
조선은행 | 수정1정목 2 | 1909년 12월 11일 | ||
일반은행 | 조선식산은행 | 행정2정목 2 | 246, 555, 724 | 1918년 10월 1일 |
보통은행 | 호남은행 | 무안통 6 → 상반정1정목 10 | 465, 345, 734 | 1920년 8월 16일 |
주하치은행 | 본정1정목 8 | 1906년 10월 | ||
저축은행 | 조선저축은행 | 본정1정목 | 118 | 1936년 |
조선신탁주식회사 | 무안통 8 | 111, 939 | 1932년 | |
금융업 | 무안금융조합 | 창평정 5 | ||
목포금융조합 | 복산정 8 | 420, 1032 | 1919년 | |
동양척식주식회사 | 본정2정목 6 | 213, 621 | 1908년 8월 31일[10] |
[1] 일본어 독음에 따른 표기 : 야마토초2초메 1[2] 조선인[3] 일본인[4] 중국인[5] 기타 외국인[6] 조선총독부령 제7호[7] 거류지와 부내면 양동, 신창동 및 부내면 연치동, 남교동, 북교동, 죽동, 온금동 일부만이 목포부로 남게 된다.[8] 조선총독부령 제111호[9] 조선총독부령 제75호[10] 설립 당시에는 영산포출장소였으나 1920년 4월 1일 지점으로 승격되어 동년 6월 1일에 목포로 이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