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7:36:20

자폭 유닛

1. 개요2. 정의3. 특징
3.1. 묘사3.2. 운용
4. 목록5. 관련 문서
5.1. 자폭 스킬5.2. 유사 개념

1. 개요

자폭으로 적을 공격하는 유닛을 뜻한다. 이름대로 적을 공격하면 스스로 죽는 유닛이다.

2. 정의

자폭 문서에서도 설명하듯 한국어에서의 "자폭"과 영어의 유의어 간에 의미 차이가 있다보니 "자폭 병기"에도 그러한 점이 반영되어 있다. 한국어 "자폭"은 스스로 폭발한다는 원래 의미에서 확장되어 "(굳이 그럴 필요가 없는데) 목숨을 희생하여 폭파한다."라는 뜻이 담기지만, 영어에서는 "Suicide attack"(자살 공격), "Suicide Bombing"(자살 폭탄), "Suicide Weapon"(자살 병기) 등 그것이 '자살 행위'임을 따로 명시한다. 그래서 한국어에서는 "자폭형 무인기"라고 부르는 물건이 영어에서는 "Loitering munition"(배회형 탄약)이나 "Suicide drone"(자살 드론), "Kamikaze drone" 등으로 불린다. 반면, 영어 Suicide attack를 직역하면 한국어 "자살공격"이지만 이는 죽을 각오로 공격한다는 의미가 강해서 차라리 영어 "Mortal Combat"(서로 죽을 때까지 싸움)에 더 가까운 말이다. 가령 지뢰 같은 것은 한국어로는 어떤 의미에서 '자폭'이라고 할 수 있지만, 영어에서는 이런 것을 'suicide'라고 표현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문서에서는 이와는 별개로 개체가 소멸하면서 데미지를 주는 유닛을 모두 포괄하여 자폭 유닛으로 다룬다. 즉, 인간이냐 비인간이냐가 아니라 조종 가능한 오브젝트로 간주되느냐, 그렇지 않느냐를 기준으로 한다. 가령 포탄, 총알 같이 현실에서 한국어로든 영어로든 '자폭'(suicide attack)이라고 표현하지 않는 장비들도 게임 내 오브젝트로 간주되고 스스로 소멸하여 데미지를 주는 방식이라면 자폭 유닛으로 포괄하여 다루었다.[1]

3. 특징

3.1. 묘사

현실의 자폭 병기에 비해서 꽤 흔한 편이다. 그도 그럴 게 게임상의 유닛은 실제 사람이 아니므로 인권 문제가 덜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비교적 현실적인 게임들은 현실의 자폭 병기를 묘사하고 있기에 조금 마음에 걸릴 수 있다.[2] 단, 위에서 보듯 현실에서는 무인 장비여서 자폭 병기로 간주하지 않는 것들도 유닛으로서 자폭 유닛으로 분류되는 예들이 있는데, 이러한 것은 그냥 평범한 폭탄이므로 딱히 윤리적인 문제가 없다.

간혹 이런 자폭 유닛을 의인화한 매체에서는 자폭을 구현하는 것이 껄끄러울 때가 있다. 슈퍼마리오 시리즈폭탄병폭탄을 의인화한 캐릭터인데 실제 폭탄처럼 자폭하면 좀 그렇기 때문에 실제 폭탄과는 달리 죽지는 않는 설정이었다.[3]

현실을 반영한 게임에서는 현실에 따라 주로 인명을 경시하거나 종교적 광신에 빠진 세력이 자폭 유닛을 운용한다. SF 같이 비현실적인 매체에서도 자폭 유닛은 저그와 같은 비인간체이거나 로봇일 때가 많다. 현대나 이와 가까운 과거 혹은 미래를 배경으로 하여도, 현실에서 무인 무기가 아직 제한적인 것과는 달리 게임에서는 설정상 무인 개체를 원격 명령으로 터뜨리는 경우가 꽤 등장한다.

3.2. 운용

자폭 유닛은 공격과 동시에 유닛이 사라지므로 다른 유닛과는 차별화된 운용이 필요하다. 일단 기본적으로 일회용이니 본진에 박아두고 있어봤자 소용이 없고 강력한 회전력으로 밀어붙이거나 한 방에 강한 피해를 주는 비대칭 전력으로 활용하는 전술이 강제된다. 전자의 예시는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후자의 예시는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에서 볼 수 있다. 스타크래프트의 저그는 1에서 스커지, 2에서는 맹독충이 자폭 유닛이면서 기본 병력 유닛인데, 안 그래도 회전력이 중요한 저그의 특성과 잘 부합하는 편이다. C&C에서는 레드얼럿 사가의 데몰리션 트럭과 제너럴 사가의 폭탄 트럭이 있는데, 본진 등에 대한 변칙적 테러 전술에 쓰이고는 한다.

데미지는 대체로 일반 공격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강력하다. 현실에서도 자폭 공격이 좀 더 파괴적일 때가 많으니 그럭저럭 현실 반영이 되는 셈이다. 다만 현실에서는 생존과 귀환을 위해 폭발물의 양을 조절할 필요가 없기에 그런 것이지만 게임에서는 유닛 상실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그렇게 설정하는 것이다.[4] 자폭으로 공격하면서 일반 유닛과 데미지가 같다면 아무도 자폭 유닛을 쓰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또 비싸고 매우 강력한 자폭 데미지를 주는 유닛은 또 생각보다 적다. 너무 강력하면 밸런스상 가끔만 쓸 수 있는 슈퍼무기에 가깝게 조정을 할 수밖에 없고 그러면 자연히 활용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5]

대개 현실의 폭탄과 같이 스플래시 데미지를 주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 데미지가 (이 역시도 현실과 유사하게) 피아식별을 하지 못할 때가 많아 이웃 유닛의 자폭 데미지에 다른 유닛까지 우수수 죽는 현상이 벌어지곤 해서 하나씩 들이받는 세세한 컨트롤이 필수적이며 어택땅은 금물이다. 특히나 위에서 다룬 대로 자폭 유닛의 데미지는 제법 강력하게 설정되므로 더욱 그렇다. 일례로 스타크래프트감염된 테란의 데미지는 피아식별이 안 되기 때문에 컨트롤이 매우 번거롭다. 한편 스타크래프트 2맹독충은 피아식별이 되는 스플래시 데미지이기에 공격이 훨씬 간편하다.

피아식별이 되는 공격 기능을 갖추고 있더라도 데미지가 큰 특성상 여러 유닛이 한 유닛에게 들이받으면 딜로스가 날 때가 많기 때문에 적절히 나눠주는 컨트롤이 필요하다.

반면 HP는 낮게 설정되어 있는 편이다. 강력한 한 방을 노리는 유닛이 다가오는데 튼튼하기까지 하면 밸런스가 안 맞기 때문이다. 대신 은폐 기능을 넣어 지뢰처럼 몰래 들이받을 수 있게 한 게임들이 종종 있다.

보통은 자폭 유닛이 아닌데 특수 기능으로 자폭 기능이 있는 유닛들도 있다. 평범하게 운용하다가 HP가 다 떨어졌거나 고립되어 살릴 수가 없을 때 자폭 기능을 사용하곤 한다.[6]

현실에서 자폭 공격의 폭탄은 사용자의 안전을 굳이 보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이 아닌 적에게 공격을 받더라도 터질 수 있게 해둘 때가 많지만[7] 게임의 자폭 유닛은 적에게 죽을 때에는 폭발하지 않을 때가 많다. 이 역시 적이 자폭 유닛에 대응할 수 있게 하는 밸런스 차원의 시스템이다.

4. 목록

5. 관련 문서

5.1. 자폭 스킬

5.2. 유사 개념



[1] 사실 게임에서도 포탄, 총알 같이 발사 후 궤도 조정이 불가능한 소모성 장비는 게임 내 오브젝트로 구현하지 않는 편이다. 게임 내 오브젝트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위치와 시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정한 경우에 한한다. 몇 가지 요소가 불필요하여 생략된다면 유닛 취급이 아닐 수 있다. 예컨대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에서 골리아트 지뢰는 유닛 취급이지만 공병이나 몇몇 보병 분대, 일부 장갑차 등이 설치하는 지뢰나 폭약 따위는 이동할 이유가 없으므로 시스템상 건물의 일종으로 취급된다.[2] 예를 들어 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테러리스트는 현실의 중동에서 자폭 테러를 하는 이들을 묘사한 것이다.[3] 한편 이 게임의 폭탄병처럼 실제로 자폭하는 경우도 있다(스포일러).[4] 비슷한 원리로 저그 건물은 일벌레가 희생되는 것을 감안해서 테란, 프로토스보다 약간 더 싸게 책정되어있다.[5] 일례로 자폭 유닛은 아니지만 스타크래프트의 은 현실 핵무기의 위력을 반영하여 매우 강하고 쓰기 어렵게 되어있는데 그 때문에 게임 출현 빈도가 매우 낮다.[6] 비슷하게 마나가 다 떨어진 하이 템플러아콘으로 합체시켜 소멸시키곤 한다.[7] 이는 적이 자길 공격해서 쉽사리 자폭을 저지하지 못하게 하는 미치광이 전략의 일환이기도 하다.[8] 캠페인 등장 중립유닛.[9] 엄밀히 말하면 이동식 지뢰로 분류되는 유닛이다.[10] 무기가 근접전용 고주파 진동 낫과 유도미사일 뿐이고 적과의 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전환된다.[11] 본진 건물이지만 최후의 수단으로 자폭시킬 수 있다.[12] 에스코모이드에서 봄거를 부착한 경우 자폭유닛으로 활용 가능.[13] 오르도스 가문 전용 유닛으로 이전작인 듄 2, 듄 2000에도 등장했다.[14] 적에게 다가가서 체내의 가스로 몸을 부풀려 자폭한뒤, 2차적으로 배양 주머니에 있던 감염체들을 퍼뜨리는 특성이 있다.[15] 궁극기로 로켓 자폭을 찍었을 때 한정.[16] 그래서 공연 한 번 하고 은퇴하는 원 히트 원더 가수도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1
, 4.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3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