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자로만 표기되는 일본어 단어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을 때 의미가 통하지만, 정작 일본어에서는 훈독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문서이다.[1] 음독이 존재하는지와는 별개로, 문맥에 따라 훈독해야만 하는 경우에 깜빡 음독으로 잘못 읽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는 여전하기 때문에 人気처럼 훈독(ひとけ)과 음독(にんき)이 모두 가능한 경우도 설명한다. 더구나 훈독해야 하는지 음독해야 하는지, 훈독과 음독이 섞여 있는지 판별하는 일반적 법칙이 없기 때문에 헷갈릴 수밖에 없으니 어쩔 수 없이 암기해야 한다. 奥(おく), 灰(はい) 등 음독같이 보이는 개별 한자의 훈독도 기재한다.이런 단어들 중에서는 '기라성(綺羅星)', '입장(立場)', '청부(請負)'처럼 한국에 소위 '일본식 한자어'로 전래된 말이 여럿 있다.
建物(たてもの)처럼 한자 전부를 훈독하는 경우도 있고, 役割(やくわり)처럼 일부만을 훈독하는 경우도 있다.
두 글자에서 앞부분이 훈독이고 뒷부분이 음독인 것을 湯桶読み(유토요미)[2]라 하고, 반대로 앞부분이 음독이고 뒷부분이 훈독인 것을 重箱読み(주바코요미)[3]라고 한다.
[1] 한국 한자음으로 읽을 때 아예 다른 뜻이 되는 단어를 다루는 문서가 따로 있다.[2] 湯가 훈인 ゆ, 桶가 음인 とう로 읽혀서이다.[3] 重가 음인 じゅう, 箱가 훈인 ばこ(본래 はこ이지만 연탁으로 ばこ가 된 것)로 읽혀서이다.
2. 목록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각 한자 전부를 훈독하는 경우이다. 湯桶読み(유토요미)는 '◀'로, 重箱読み(주바코요미)는 '▶'로, 숙자훈은 '■'로 나타낸다. 의미가 같은 다른 독음이 있는 경우 동철이음을, 한자를 공유하지만 전혀 다른 의미가 있는 경우 동철이음이의를 표기한다.2.1. あ행
- 嗚呼(ああ): 오호(嗚呼), 아아(감탄·탄식하는 소리). 바보 같은 짓을 하거나 웃음을 활기차게 사는 모양새 등의 뜻이면 음독인 おこ로 읽는다.
- 菖蒲(あやめ)■동철이음이의: 붓꽃.[4]
- 天津(あまつ)동철이음이의: 하늘의 ~, 천황과 관련된 ~.[5]
- 現人神(あらひとがみ): 현인신(現人神).
- 主人(あるじ)■: 주인.
- 家出(いえで): 가출(家出). 한문식인 出家는 '출가'에 해당하는 음독인 しゅっけ로 읽는다.
- 無花果(いちじく)■: 무화과.
- 市場(いちば)동철이음: 여러 가지 상품을 사고파는 일정한 장소. 음독인 しじょう는 주식시장이나 자유경제시장 등 상품으로서의 재화와 서비스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추상적인 영역을 뜻한다.
- 羅漢松(いぬまき)■: 나한송.
- 海参(いりこ)■: 해삼. 주로 말린 해삼을 뜻한다.
- 文身(いれずみ)■: 문신.
- 色紙(いろがみ)동철이음: 색지(色紙), 색종이. 단, しきし로 음독할 수도 있다.
- 請負(うけおい): 청부(請負), 도급(都給).
- 内訳(うちわけ): 내역(內譯).
- 乳母車(うばぐるま)■: 유모차. 乳母 부분은 숙자훈인데, 원래 대응 한자는 그냥 車이다. 연탁으로 ぐるま가 된 것. 단 요즘 유모차를 지칭할 땐 ベビーカー(베비-카-)가 더 흔히 쓰이는 편이다.
- 似而非(えせ)■: 사이비.
- 干支(えと)■: 간지.
- 葡萄(えび)■동철이음: 포도. ぶどう로 음독할 수 있다.
- 疫病(えやみ)■: 역병.
- 追越(おいこし): 추월(追越), 앞지르기.
- 大概(おおむね)■동철이음: 대개(大槪), 대체로. たいがい로 음독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おおむね는 보통 大를 생략하고 概ね로 표기한다.
- 大文字(おおもじ)◀동철이음이의: 대문자. 大만 훈독이다.[6]
- 奥(おく): 음독 オウ와 한 글자 차이이다.
- 白朮(おけら)■: 백출.
- 鴛鴦(おしどり)■동철이음: 원앙. えんおう로 음독할 수 있다.
- 大人(おとな)■동철이음이의: 어른.[7] うし로도 읽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영주를 뜻한다.
- 少女(おとめ)■: 소녀.
- 玩具(おもちゃ)■동철이음: 완구(玩具). 어려운 한자투로는 がんぐ로 음독할 수도 있으나 잘 쓰이지 않는다.
- 重傷(おもで)■: 중상.
[4] 음독인 しょうぶ은 창포를 뜻한다.[5] 음독인 てんしん은 톈진시를 뜻한다.[6] 음독인 だいもんじ는 大자 모양으로 쓴 글씨를 뜻한다.[7] 음독인 たいじん은 거구, 거인 등의 뜻이다.
2.2. か행
- 仮名(かな)▶동철이음이의: 가나(일본어의 음절문자). 모두 음독으로 읽은 かめい는 가명이라는 뜻이다.
- 株価(かぶか)◀: 주가(株價).
- 株券(かぶけん)◀: 주권(株券).
- 株式(かぶしき)◀: 주식(株式).
- 株主(かぶぬし): 주주(株主).
- 唐津市(からつし)◀: 카라츠시. 한국에서는 당진시가 되지만 일본에서는 훈독한다. 두 지역은 어원까지도 '당나라로 가는 길'이라는 뜻으로 동일하다.
- 木耳(きくらげ): 목이버섯.
- 北朝鮮(きたちょうせん)◀: 북한. 北 부분이 훈독이다.
- 今日(きょう)■동철이음: 금일, 오늘. 음독으로 こんにち가 있긴 하지만 인사말([ruby(今日, ruby=こんにち)]は) 외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 綺羅星(きらぼし)▶: 기라성(綺羅星). 星 부분이 훈독이다. 본래 훈독 ほし가 탁음화되어 ぼし가 되었다.
- 百済(くだら)동철이음: 백제. 음독인 ひゃくさい로도 읽기는 한다. 일본 밖의 국가 이름을 훈독으로 읽는 특이한 예이다.
- 訓読(くんよみ)▶동철이음이의: 훈독(訓讀). 読 부분이 훈독이다. 모두 음독으로 읽은 くんどく는 한문을 일본어 어순으로 재배치하는 것을 뜻한다.
- 小包(こづつみ): 소포(小包).
- 辛夷(こぶし)■: 신이(辛夷, 목련과의 교목).
- 高麗(こま)동철이음이의: 고구려. 모두 음독으로 읽은 こうらい는 고려라는 뜻이다.
- 小文字(こもじ)◀: 소문자. 小 부분만 훈독이다.
2.3. さ행
- 白湯(さゆ)■동철이음이의: 아무것도 안 넣고 끓인 물.[8]
- 秋刀魚(さんま)■: 꽁치. 잘 쓰이지 않지만 꽁치의 다른 말로 '추도어(秋刀魚)'가 있는데, 일본어에서는 아예 숙자훈으로 읽는다.
- 試合(しあい)▶: 시합(試合), 경기.
- 肉醬(ししびしお): 육장(肉醬).
- 老舗(しにせ): 노포. 자손 대대로 이어 경영하는 가게.
- 台詞(せりふ)■동철이음이의: 대사. 'だいし'로 음독할 수도 있다.
[8] はくとう로 음독하면 '보통 목욕물'이라는 뜻이며, 또 다른 발음인 パイタン은 고기까지 넣어 우린 육수를 뜻한다.
2.4. た행
- 黄昏(たそがれ)■동철이음: 황혼(黄昏). こうこん으로 음독할 수도 있다.
- 只今(ただいま): 지금(只今).
- 立場(たちば): 입장(立場).
- 建物(たてもの): 건물(建物). 뜻이 비슷한 建築物는 '건축물'에 해당하는 음독인 けんちくぶつ로 읽는다.
- 父親(ちちおや): 부친(父親), 아버지.
- 坪(つぼ): 평(坪, 넓이의 단위).
- 妻子(つまこ)동철이음: 처자(妻子). さいし로 음독할 수도 있다.
- 積立(つみたて): 적립(積立).
- 手足(てあし)동철이음: 손발, 수족(手足). しゅそく로 음독할 수도 있다.
- 手入(ていれ): 손질.[9]
- 覆盆子(とっくりいちご)■: 복분자.
- 時計(とけい)■: 시계.
- 取消(とりけし): 취소. 보통은 取り消し로 적는다.
2.5. な행
- 年生(ねんうまれ)▶동철이음이의: ~년생(태어난 연도). ねんせい로 음독하면 학년이라는 뜻이다.
2.6. は행
- 灰(はい): 灰(재 회)는 재를 뜻하는 한자로, 음독은 カイ이다. 일본어 훈독과 한국어 한자음 모두 /h/로 시작해서 음독으로 헷갈릴 수 있다.[10]
- 場所(ばしょ)◀: 장소(場所).
- 場面(ばめん)◀: 장면(場面)
- 母親(ははおや): 모친(母親), 어머니.
- 端役(はやく)◀: 단역(端役).
- 葉蘭(はらん)◀: 엽란.
- 薔薇(ばら)■: 장미.
- ひとけ/ひとげ(人気)◀동철이음이의: ひとけ로 읽으면 人の気配의 줄임, 인기척, ひとげ로 인간다움이라는 뜻이다.[11]
- 船着場(ふなつきば): 선착장(船着場), 배 닿는 곳.
- 本音(ほんね): 본심. '혼네와 다테마에'라고 쓸 때 쓰인다. 본음(本音)이라는 뜻이 아니다. 音 부분만 훈독한다.
[10] はい의 역사적 가나 표기법은 はひ이며, 옛 발음은 /papi/였다. 그러다 순음퇴화로 어두의 は행이 /p/에서 /h/로 바뀌고 어중의 は행이 あ행으로 바뀌면서 지금의 /hai/ 발음이 된 것이다. 한편, 한국 한자어의 ㅎ은 일본 한자어의 か~が행에 해당된다.[11] にんき로 음독할 수도 있는데, 이러면 '인기(人氣)' 또는 '인심(人心)'이라는 뜻이 된다.
2.7. ま행
[12] 음독인 こうよう는 단풍이 물들어가는 과정을 뜻한다.
2.8. や행
- 八百万(やおよろず)■동철이음이의: 신토에서 모시는 신. 음독인 はっぴゃくまん은 수 [math(8,000,000)]을 뜻한다.
- 役割(やくわり)▶: 역할(役割).
- 行方(ゆくえ)■: 행방(行方).
- 百合(ゆり)■: 백합.
2.9. ら행
- 海獺(らっこ)■: 해달.
2.10. わ행
- 割引(わりびき): 할인(割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