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로 힐다는 동맹멸망 직전 우주에 7개의 세력이 있다고 가정했다. A:은하제국 로엔그람 왕조 B:자유행성동맹 C:양 웬리 함대 D:페잔 잔당 E:골덴바움 왕조 잔당 F: 엘 파실 독립정부, G: 지구교 잔당 이렇게 일곱이었는데 힐다는 이 중 D, G는 본거지를 잃고 무력을 보유하지 못했으며 A와 C는 통솔자의 역량이 모든 것을 좌우한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B,C,D,F가 연합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보았다.
히말라야 산맥 - 지구 최대의 조산지대,造山地帶,이자 과거 지구통일정부 시기 수력발전소, 태양광발전소, 지열발전소 등이 대거 설치되어 100억 인구가 쓸 에너지를 공급하였고, 지하 깊숙이에는 통일정부 수뇌부의 피난처가 있었다. 그러나 통일정부 말기 흑기군의 대규모 폭격을 맞아 정상부 1000m가 날아가버렸다.
트라바흐 성역 - 먼 옛날 아우구스트 2세의 폭정에 반기를 든 반란군이 승리한 전투가 일어난 곳이다. 에리히가 일으킨 반란에 가담한 반란군과 황제가 이끄는 정부군의 마지막 격전지였는데 말만 들으면 대단한 전투가 벌어진거 같지만 실상은 황제의 폭정에 반발한 정부군이 제대로 싸우지도 않고 백기를 들어서 전사자보다 항복한 자가 20배나 되었다.
라이가르 성역 라이가르 성역 회전이 벌어진 장소 트리푸라 성역 이웃에 있으며 중간지대에는 블랙홀이 있다.
트리푸라 성역
블랙홀 - 라이가르-트리푸라 성역 중간 지점에 있는 블랙홀. 슈바르츠실트 반경,Schwarzschild radius,은 9km, 질량은 6경 톤의 100억 배, 위험공역의 반경은 3200광초(9억 6000만 km)이다. 양 웬리가 이 블랙홀을 이용해서 라이가르 성역 회전 당시 칼 로베르트 슈타인메츠의 함대를 물리쳤다.
네프티스&카파&팔메렌드 - 구국군사회의 당시 반란이 일어났던 행성들이지만 비중이 없다(…). 삼풀은 그나마 나오기라도 했는데... 게다가 네프티스의 경우 그래도 지도에서라도 나온 카파와 팔메렌드와는 달리 전혀 등장하지 않았다. 잘해봐야 쿠데타 벌어진 모습 정도며 이건 다른 행성들 모두 나왔다.
카프체란카 - 라인하르트 폰 뮈젤과 지크프리트 키르히아이스가 최초의 전투인 B-III 공방전을 경험했던 행성이다. 이제르론 회랑의 동맹측 출구에 위치, 이제르론 요새에서 자유행성동맹령 방향으로 8.6광년 들어간 공점에 위치해 있으며 하루는 28시간, 1년은 668일이다. 항성의 빛이 지표에 도달하기까지 1000초 이상이나 필요하고 668일 중 600일 이상이 겨울인 한랭의 행성이기에 혹한의 기후를 가지고 있다. 이렇듯 인간이 살기에는 부족한 혹한의 불모지이지만 행상의 위치와 더불어 적도에서도 두께 13.5km에 이르는 얼음 밑에 니오브, 바나듐, 산화티타늄, 금속 라듐, 루테튬, 로듐, 히토류, 순수 실리콘 등 귀종한 광물자원의 존재가 확인됨에 따라 은하제국군과 자유행성동맹군의 치열한 격전지가 되었다. 하지만 상공에서는 행성의 기후로 인해 전투환경이 형성되기 매우 어려웠고 이에 따라 이곳의 전투는 주로 지상전으로 진행되었다. 제국군은 이 행성의 평야에 B-III 기지를 건설하였고 이에 대응하여 자유행성동맹군은 B-III 기지에서 북서쪽으로 600~700km 지점에 위치한 산악지역에 기지를 건설하였다.
아르토뮤르 - OVA 오리지널 외전 <반란자> 편의 하메룬 2호 조난사건에 등장하는 항성이다. 결국 하르트만 베르트람과 자이데룬의 목숨을 건 수리작업으로 베르트람은 자이데룬을 구하고 아르토뮤르의 열기에 사망했지만 항성풍을 역이용하여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아스타테 성역 - 이제르론 회랑의 제국령 성계. 티아마트 성역처럼 은하영웅전설 4에서 확인 가능하다. 아스타테 회전이 벌어진 장소.
레그니처 - 레그니처 상공 조우전의 배경이 된 가스행성. 적도 반지름 7만 3300km, 질량 2X1027t, 평균 밀도는 m3당 1.29g. 행성의 중심에는 중금속과 암석으로 이루어진 6,400km 직경의 핵이 있으며 그 위에는 압축된 물과 얼음으로 된 지표면과 헬륨 및 수소로 이루어진 대기가 있다. 고체 암모니아의 구름이 흐르고 있으며 대기중 온도는 -140.6℃, 시속 2천km의 바람이 부는 곳이었다.
[1] 애니판 <오명>에서 나온 건물.[2] 제1행성 외에는 언급된 것이 없다.[3] OVA에 이름이 나와 있다.[4] 다른 곳은 4번이나 전투가 일어난 티아마트 성역과 무려 11번이나 전투가 벌어진 이제르론 요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