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20:14:32

오성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1, #a11 20%, #a11 80%, #a11);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단장
김원봉
고문
김대지 황상규
단원
강세우 강인수 고인덕 곽재기
권정필 권준 김광추 김기득
김방우 김병현 김상옥 김상윤
김성숙 김시현 김익상 김지섭
김철호 나석주 남정각 박문희
박자혜 박재혁 박차정 박희광
배동선 배중세 배치문 서상락
송천흠 신악 신영삼 신채호
신철휴 오성륜변절 유자명 윤세주
윤치형 이구연 이병철 이병희
이성우 이수택 이육사 이종암
이태준 정이소 최수봉 황옥불확실
최용덕 한봉근 한봉인 홍가륵
유시태 이원대 이원기 윤병구
유석현 정율성불확실 문시환 이춘암
공약 10조
① 천하의 정의의 사(事)를 맹렬히 실행하기로 함.
② 조선의 독립과 세계의 평등을 위하여 신명을 희생하기로 함.
③ 충의의 기백과 희생의 정신이 확고한 자라 함.
④ 단의(團義)에 선(先)히 하고 단원의 의(義)에 급히 함.
⑤ 의백(義伯) 1인을 선출하여 단체를 대표함.
⑥ 하시(何時) 하지(何地)에서나 매월 1차씩 사정을 보고함.
⑦ 하시 하지에서나 매 초회(招會)에 필응함.
⑧ 피사(被死)치 아니하여 단의에 진(盡)함.
⑨ 1이 9를 위하여 9가 1을 위하여 헌신함.
⑩ 단의에 배반한 자는 처살(處殺)함이다.
5파괴
조선총독부
동양척식회사
매일신보사
④ 각 경찰서
⑤ 기타 왜적 중요기관
7가살
조선총독 이하 고관
② 군부 수뇌
대만총독
④ 매국노
⑤ 친일파 거두
적탐(밀정)
⑦ 반민족적 토호열신(土豪劣紳)
조선혁명선언 황옥 경부 폭탄사건 }}}}}}}}}
오성륜
吳成崙
파일:친일반민족행위자오성륜.jpg
<colbgcolor=#eaeaea,#191919> 출생 1898년 추정[1]
함경북도 온성
사망 1947년
네이멍구 자치구
이칭 오함성(吳咸聲), 오동실(吳東實), 오범철(吳範喆), 오봉환(吳鳳煥), 전광(全光)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의열단에 가입해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을 하다 변절한 친일반민족행위자.

2. 생애

1906년 아버지를 따라 만주로 건너갔다. 뒤늦게 중학교를 다니다가 3·1운동이 일어나자 군자금 모금에 열신하였다. 이 해 가을 상하이로 가서 의열단에 가입하고 압록강대교 폭파를 계획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김익상, 이종암과 함께 1922년 3월 상하이에서 부두에서 일본 육군대장 다나카 기이치를 암살하려 했지만 탄환이 빗나가는 바람에 계획이 실패했고, 차를 타고 도주하다 교통사고가 나버려 결국 검거되었다. 상하이 일본영사관에서 예심을 거쳐 나가사키 재판소로 이송될 예정이었으나, 다무라 부인의 도움으로 유치장에서 탈출하여 광둥을 거쳐 독일로 갔다. 이 사건은 당시 신문에 대서특필되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2]

한편, 독일에서 다시 모스크바로 가서 모스크바공산대학에서 공부하였다. 1923년 1월 블라디보스토크로 돌아와 이동휘와 상의하여 적기단(赤旗團)에 참여하였다. 1926년 광둥으로 가서 중국공산당에 가입하고 김산, 김충창 등과 함께 광저우 폭동(광둥 코뮌)에 참가하였다.

1929년 다시 만주로 건너가서 계속해서 중국공산당 조직에서 활동하였다. 1936년 동만특위 서기 위극민(魏極民) 밑에서 위원을 지냈으며, 동시에 제1로군 제2군 당위원회 정치주임도 역임하였다.

1935년 코민테른 제7회 대회에서 반제국주의통일전선 채택하자, 이에 1936년 6월 10일 엄수명(嚴洙明) · 이상준(李相俊) 등과 함께 조국광복회를 발기하였다. 그리고 남만성위원회 상무위원선전부장으로서 제1로군 비서차장 겸 군수처장을 지냈다.

1941년 1월 항일운동을 하던 중 일본 관동군만주국 경찰의 토벌작전으로 자신이 포위당하자 투항하였고, 이후 만주국 치안부 고문을 지냈다. 그렇게 일본에 협력하며 친일 활동을 하던 중 일본이 패망했다.

그는 네이멍구 자치구에서 앓고 있던 병으로 인해 병사했다.

3. 여담

일본이 패망한 뒤 변절자라고 낙인이 찍혀 팔로군한테 처형당했다는 설이 있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1] 1900년이라는 설도 있다.[2] 위의 사진이 바로 그 신문에 나온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