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20:23:26

해륙풍 폭동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海陸豊暴動
Hairupo Riot

1. 개요2. 배경3. 전개
3.1. 해륙풍 소비에트 창설3.2. 소비에트의 붕괴3.3. 최후의 저항
4. 이후5. 관련 문서6. 참고문헌

1. 개요

1927년 10월 30일, 펑파이가 1927년 11월 고향인 하이펑에서 무장봉기를 일으켜 해륙풍 소비에트를 설립한 사건.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해륙풍 봉기라고 한다.

2. 배경

난창 봉기의 실패 이후 취추바이는 또다른 폭동을 지시했고 각지의 공산당원들은 추수폭동을 일으키기에 이른다. 펑파이는 해륙풍에서 1922 - 1924년까지의 첫번째, 1924 - 1926년까지의 2번째의 폭동을 기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이후, 4.15 광저우 쿠데타가 일어나자 해륙풍에서 무장봉기가 일어나 해풍성을 점거하고 인민정부를 세웠다. 그러나 국민당군의 공세로 인해 농촌지역으로 후퇴하게 된다.

3. 전개

3.1. 해륙풍 소비에트 창설

1927년 9월 해륙풍의 인민은 무장봉기를 일으켜 해풍, 육풍, 혜양(惠阳), 자금(紫金) 부근에 혁명근거지를 창설하였다. 그 후 난창 봉기에 참가했던 1000여명의 부대가 도착하여 홍군 제2사단을 편성했다. 한편 광저우에서는 장황사변으로 리지선장파쿠이 사이의 광동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다툼이 한창이었는데 이 과정에서 장파쿠이가 약 20000명의 우한 군정학교 사관후보생들을 이끌고 오게 된다. 이들 대부분은 공산당원이었고 이때를 틈탄 예팅과 허룽은 교도단을 적군으로 개칭, 폭동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장파쿠이와 리지선 양측 모두 공산당에 위협을 느끼고 장파쿠이는 휘하 병력을 총동원해 광저우로 향했다. 리지선 역시 반공전선에 군대를 동원했다. 그렇게 장타이레이광저우 폭동을 일으켰다가 3일 천하로 끝나게 되자, 12월 13일, 광저우 폭동 인원의 1,200여명은 광저우를 떠나 해륙풍으로 도주했다. 이들은 화현에 도착하여 중국노농홍군 제4사로 개편되었고, 19일에는 해륙풍 소비에트로 들어갔다.

펑파이는 부농, 중농 가릴 것 없이 닥치는데로 토지를 몰수하여 하이펑의 토지 80%, 루펑의 토지 40%를 몰수하고 자본가와 지주들을 가혹하게 죽였다. 그 과정에서 주변의 큰 원성을 듣게 되어 공산당 내에서도 좌경적 오류라는 말을 들을 정도였다. 정권의 중심은 펑리(彭湃)를 서기로 하는 중국공산당 동강특별위원회로, 정치 강령에도 군사 정책에도 극좌적 편향이 많았다. 재판 없이 펜 놀림 하나로 처형 여부가 결정되는 순간도 있었노라고 김산은 이 시기를 회고했다.

3.2. 소비에트의 붕괴

당시 해륙풍에는 엽용이 거느린 홍군 제4사의 2,000여명, 홍군 제2사의 1,000여명 그리고 노농혁명군과 농민적위대를 비롯해 만여명의 무장 군인이 있었다. 1927년 말, 국민당의 반격이 시작되었다. 2000여명의 국민당군이 적석촌(赤石村)을 공격하였으나 300명 가량의 홍군의 기습으로 500여명의 사상자를 내며 철수하였고 홍군은 3명이 사망했다.

적석촌에서 참패를 본 여한모는 3,000여명 병력을 동원해 낮에는 잠을 자고 밤이면 공격하는 낮밤이 바뀐 생활을 하며 공평촌(公平村)을 습격하였다. 전투가 시작되자 부근의 농민적위대가 모여왔다. 그러나 간단한 장총과 칼을 든 농민군은 적의 기관총 소사에 많은 희생을 냈고. 혁명가 김산은 공평촌 군중대회에 참가하였다가 적의 습격을 받았다. 공평촌 전투에서 수많은 희생을 낸 농민군은 매롱(梅陇)으로 철수하였다. 1928년 2월 28일, 국민군의 총반격에 해륙풍 소비에트는 4개월만에 붕괴되었다.

3.3. 최후의 저항

1928년 3월, 국민당은 잔당 제거를 위해 해륙풍 지역을 전반적으로 포위하고 포위망을 좁혀왔다. 매롱에서 봉기군은 재차 정비를 거친후 빼았긴 해풍과 육풍 현성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고 현과 주요한 마을들이 점령당하자 식량난을 겪게 된다.

5월 3일, 홍군은 해풍현을 공격하는 최후의 결전을 치르기로 하였다. 홍군전사는 400명이였고 기타 수백명의 유격대원들이 조직되었다. 부대는 두 길로 나누어 오복령(五福岭)과 현성을 공격하였다. 오성륜이 80여명 군대를 이끌고 적의 보초를 제거하고 100여명 적을 생포하였다.

많은 무기와 탄약을 노획하고 감옥의 200여명 공산 혁명가들을 구출해 냈다. 그러나 이때까지 오복령 공격부대는 전투를 시작하지 못하고 있었다. 오성륜은 할 수 없이 현성을 나와 적의 주력이 도사리고 있는 오복령으로 갔다. 두 부대가 합쳐 적을 공격하였으나, 적들은 유리한 지세를 이용해 날이 밝을 때까지 사수하였고 날이 밝자 적은 공세부대가 얼마 되지 않는것을 발견하고 반격을 가했다. 우세한 적이 포위 공격해오자 홍군 부대는 수많은 희생자를 내고 흩어졌다. 살아남은 인원들은 200여리를 달려 매양에 모였다가 분산탈출하기로 결정하였다.

펑파이는 상하이로 도주했다. 하지만 1929년 8월 내부의 밀고에 의해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에서 체포되어 국민정부에 인도되었다. 저우언라이는 펑파이 구출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그는 상하이에서 비밀리에 총살되었다.

4. 이후

난창 봉기, 추수폭동, 해륙풍 폭동, 광저우 폭동이 모두 실패로 돌아가자 급진적인 봉기의 실패로 농민조직이 궤멸, 공산당 간부들이 살해당하는 위기를 겪게 되고 취추바이는 실각하고 만다. 이에 마오쩌둥은 장사(長沙) 점령계획을 포기, 산악지대로 철수했고 중국 공산당은 도시의 노동자 혁명보다는 농민을 통한 노동자 혁명을 중요시 하게 된다. 1927년 말에는 광시·후난·장시 등지에서 새로운 소비에트 정권의 수립을 시도했고 주더마오쩌둥정강산 투쟁으로 근거지를 구축하기에 이른다.

국민당 입장에서는, 공산당이 지방에서 소비에트 정권을 수립하려 한다는 점이 명확해지면서, 공산당에 대한 탄압을 본격화했다. 국민당군은 1930년 12월부터 1931년 9월까지 3차에 걸쳐 공산당의 혁명근거지에 대한 초공작전을 전개했으나 3차례에 걸친 초공작전들은 모두 실패로 돌아가고, 1931년에는 강서성 서금(瑞金)을 수도로 하는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이 세워지며 중국 공산당의 홍군 창설과 농촌 혁명의 기초가 되었다.

5. 관련 문서

5.1. 국민혁명

5.2. 제1차 국공내전

5.3. 초공작전

6.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