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ff8832> 상징 | 국호 · 국기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아일랜드 자유국 | |
정치 |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의회(하원 · 상원) | |
외교 | 외교 전반 · 아일랜드 여권 · 유럽연합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
경제 | 경제 전반 · | |
국방 | 아일랜드군 | |
사회 | Leaving Cert · 대학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세인트 패트릭 데이 · 게일릭 풋볼 ·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아일랜드 크리켓 대표팀 · 아일랜드 영어 · 아일랜드어 · 아일랜드의 포크 음악 · 켈트족의 축제 · 아일랜드 신화 · 아일랜드/관광 | |
치안·사법 | 평화수호대 | |
지리 | 아일랜드섬 · 토리섬 · 렌스터 · 얼스터 · 먼스터 · 코노트 | |
기타 | 아일랜드인 · 아일랜드/인구 · 아일랜드계 미국인 · 아일랜드계 영국인 · 아일랜드계 러시아인 · 아일랜드계 칠레인 · 아일랜드계 캐나다인 · 아일랜드계 아르헨티나인 · 아일랜드계 멕시코인 · 아일랜드계 호주인 · 아일랜드계 독일인 · 아일랜드계 프랑스인 |
1. 개요
아일랜드섬[1]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즐겨 온 포크 음악. 흔히 '아일랜드 민요' 라 하고 음악 교과서에서도 그렇게 다루는데, '민요' 라는 명칭이 지나치게 현재와 동떨어진 듯한 느낌을 주므로 포크 음악이라는 명칭을 쓰는 것이다. 두 단어의 차이점은 '민요' 가 현재는 대중들에게 인기를 얻지 못하는, 다시 말해 전통문화로 취급되는 느낌을 주는 반면, '포크 음악' 이란 현대에 들어와서도 현대적인 느낌을 보태어 현대 대중문화의 한 장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는 것. 만약 한국 '민요' 를 공식적인 대중음악 장르로 연주하는 한국 음악가가 나온다면 그것을 '한국 포크 음악' 이라고 하면 된다.간단히 말하자면 아일랜드 '민요' 는 아일랜드 대중음악계에서 엄연히 하나의 장르로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아일랜드 포크 음악' 이라 하는 것이다. 아일랜드의 포크 음악이 이렇듯 대중음악계에서 지분을 차지하고 있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는데 대충 다음과 같다.
1. 아일랜드 포크 음악 자체가 엄청나게 풍부한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고, 그 예술성 또한 다른 유럽 국가들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다.
2. 현대 대중음악이 등장하기 이전부터 많은 성악가들이 아일랜드 포크 음악을 레퍼토리에 포함시켰다. 예를 들어 <The Last Rose of Summer>의 경우 수많은 성악가들로부터 사랑받았다.
3. 이것이 가장 결정적인 이유인데 1950년대 후반부터 아일랜드 대중음악계에서 포크 리바이벌, 곧 아일랜드 포크 음악을 현대 대중음악의 일부로 편입시키려는 운동이 벌어졌다. 이 운동은 바다 건너 미국에서 아일랜드 출신 영화배우 3형제와 막내의 친구 토미 메이컴(Tommy Makem)으로 구성된 4인조 그룹 클랜시 브라더스(The Clancy Brother)가 최초로 터트렸고 아일랜드 본토에서는 더블린에 있는 한 술집을 드나들던 동년배 청년들 넷이서 결성한 더블리너스(The Dubliners)가 배턴을 넘겨받아 이후 정말 아일랜드 본토에서든, 아니면 미국이나 캐나다에 건너간 이민자들 사이에서든, 1960년대와 1970년대 들어 우후죽순으로 엄청나게 많은 포크음악 그룹들이 탄생하게 된다. 그로 인해 아일랜드 포크음악은 아일랜드의 대중 음악계에서 명실상부한 한 장르로 자리잡았고, '현대 포크송' 이라 하여 포크의 느낌을 살린 대중가요들도 쏟아져 나오게 된다.
2. 특징
5음음계를 사용한다. 실제로 연주해 보면 7음음계이고 F코드나 B코드도 버젓이 등장하는 것 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이는 중세말~근대에 악보 없이 민간에 떠도는 선율을 영국인이 악보로 기록할 때 잘못 옮겨 발생한 것이다.[2] 이렇게 만들어진 악보를 사용하다보니 7음음계로 연주하면서도 5음음계 느낌이 강한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5음음계를 사용하는 대한민국 민요와 비슷한 느낌의 곡도 제법 많다. 여기에 더해 아일랜드와 한국의 역사가 놀랍도록 닮아 있고, 영국과 일본이라는 외세로부터 핍박받고 착취당한 눈물의 역사까지 고려한다면, 아일랜드 포크 음악이 대한민국 전통 음악과 유사한 것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아래에 설명했지만 레벨 송(rebel song)은 완전 독립군가 느낌.3. 악기
전통 아일랜드 음악에 사용된 4대 악기는 아이리시 하프, 일리언 파이프, 보란(바우란), 피들이다. 아이리시 하프는 오케스트라에서 사용되는 하프보다 약간 작고 휴대하기 편한 구조. 아일랜드의 국장 자체가 하프이다. 클래식 하프 자체가 아이리시 하프를 계승하였다. 일리언 파이프는 스코틀랜드의 백파이프와 유사하지만 크기가 더 작고, 바람도 입이 아닌 손(정확히 말하면 팔)으로 넣는다는 것이 다르다. 보란(미국식 발음) 또는 바우란(아일랜드식 발음)[3]은 프레임 드럼의 일종인데, 한쪽에만 막을 씌우고 다른 쪽에는 막이 없이 손잡이만 붙여서 한 손으로 들고 두드리는 타악기. 아일랜드어로 bodhran이라고 쓰기 때문에 악기 사이트에서 '보드란' 으로 잘못 표기하는 경우도 많고, 이원복 교수의 '세상만사 유럽만사' 라는 책에서도 '보드란' 으로 표기했는데, 정확한 발음은 보란 또는 바우란이다. 아일랜드 포크 음악의 리듬을 잡아 주는 가장 중요한 타악기. 피들은 바이올린과 거의 같은 악기인데, 포크 음악에 쓰이는 바이올린은 주법도 약간 다르고아일랜드 포크음악을 논할 때 절대로 빼놓을 수 없는 악기가 있는데, 바로 틴 휘슬이다.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만든 마우스피스에 금속판으로 만든 관을 끼우고, 여섯 개의 구멍을 뚫은, 리코더보다 더 단순한
물론 현대의 아일랜드 포크 음악이 이러한 악기들을 다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여기에서 열거된 악기들도 자주 사용되긴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아일랜드 포크음악에서 (틴 휘슬은 빼고) 가장 중요한 악기는 당연히 기타. 하기야 기타 안 쓰이는 대중음악 장르가 있기는 한가? 클래식 기타도 정말 이따금씩 쓰이긴 하지만 당연히 이 기타는 통기타, 어쿠스틱 기타이다. 일렉기타가 쓰이는 것은 포크라 하지 않고, 포크 록 음악이라고 한다. 이는 미국이나 영국 포크음악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기타 자체가 워낙 민중적인 악기다 보니 아이리시 포크 음악에서도 기타가 쓰이는 것은 당연한 일.
기타 다음으로 널리 쓰이는 악기는 놀랍게도 미국 악기인 밴조이다. 밴조에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 밴조 종류별로 역할이 다르다. 5현 밴조는 코드 반주에 쓰이고, 4현 밴조 가운데 넥이 짧은 테너 밴조는 멜로디 연주에 쓰인다. 4현 밴조 가운데에서도 5현 밴조에서 짧은 현 하나만 제거한 플렉트럼 밴조는 둘 다 쓰인다. 밴조가 아일랜드 음악에 널리 쓰이게 된 것은 밴조 특유의 쾌활한 분위기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테너 밴조의 경우에는 아예 '아이리시 테너 밴조' 라는 아일랜드식 밴조가 따로 있을 정도.
하모니카도 굉장히 널리 쓰인다. 코드를 잡는 데 쓰기도 하고, 멜로디 연주에 쓰기도 하는데, 대체로 트레몰로나 크로매틱보다는 10홀짜리
이탈리아 악기인 만돌린도 굉장히 널리 쓰인다. 만돌린으로 코드를 잡기도 하고 멜로디를 연주하기도 하는데, 만돌린의 특성상 바이올린과 운지법이 같아서
베이스의 경우 일렉트릭 베이스가 많이 쓰인다. 콘트라베이스는 크기가
4. 레퍼토리
아일랜드 포크 음악은 크게 7가지 장르로 나눠 볼 수 있다.자세히 알고 싶다면 여기로.
4.1. 레벨 송(Rebel song)
아일랜드가 겪었던 800년간의 핍박과 착취의 쓰라린 역사 속에서 태동된 음악. 문자 그대로 독립군가이다. 비단 진짜 아일랜드 독립운동 기간에 불린 노래만 뜻하는 것이 아니라, 북아일랜드에서 벌어진 IRA의 무장 투쟁과 같은 아일랜드 독립 이후의 일련의 양국 간 충돌과도 관련이 있다. 아일랜드 독립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볼 수도 있는데 주제는 동일하다. 그것은 바로 잉글랜드 제국의 핍박과 착취에 저항하며 밝은 미래, 곧 광복에 대한 희망을 품는 것이다. 의외로 20-30대들도 노래를 많이 알고 즐기며, 레벨 송으로만 앨범 내고 공연하며 먹고 사는 밴드와 가수들이 있다. 최근에는 힙합음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으로 치면 민중가요와 동일한 위상의 음악들.오아시스(밴드)도 어릴 때부터 이들의 광팬이었다. 어릴 적 자라난 곳을 돌아보며 음반가게 'Sifters'를 가리키며 "울프톤즈 음반을 사던 곳"이라고 회상하는 오아시스 울프톤즈의 브라이언 워필드는 인터뷰에서 "맨체스터에 공연가면 항상 보러오는 애들 2명이 있었는데 이름이 노엘하고 리암이었다. 나중에 밴드를 결성했다고 말했는데 몇 년 후 TV를 틀어보니 걔네들이 바로 오아시스더라"
대표적인 곡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유명한 울프톤즈의 2021년 Feile 공연 중 On the One Road 영상.. 70대 노인 3명이 20,30대 아일랜드인들을 열광시킨다.
- Celtic Symphony: 아일랜드 이주민을 구제하고 스코틀랜드 사회통합에 기여하기 위해 만들어진 셀틱 FC에게 전설적인 레벨 송 밴드 울프 톤즈가 1987년 클럽 100주년 기념하여 헌정한 곡. 축구 클럽 노래가 저항음악이 되는 것은 굉장히 독특한 이야기이지만, 그만큼 셀틱 FC의 위치가 독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고려대학교 역사 학술저널에도 실린 내용이다. 전 세계를 돌아다니는 한 셀틱 팬 선원이 악마를 만나서 전 세계 정글을 돌아다니면서 셀틱 파크로 악마가 들어오는 것만은 막는다는 이야기로, 굉장히 흥겨운 노래이며 노래의 마지막에 "우! 아! IRA 만세!(Ooh Aah Up the 'RA!)"는 이 노래 덕택에 레벨 송과 아일랜드 저항 문화에서 거의 클리셰적인 문구로 자리잡았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The Helicopter Song: 1973년 더블린의 감옥에서 헬리콥터를 이용해 탈출에 성공한 3명의 IRA 대원 이야기를 다룬 노래이다. 발매되자마자 1주 만에 12,000장의 판매를 달성했고, 곧이어 아일랜드 싱글즈 차트 1위에 올라 1달 동안 자리를 유지했었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The Fighting Men from Crossmaglen: 영국군에게 악명높은 아마(Armagh) 주의 IRA 단원들을 칭송하는 노래이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Highland Paddy: 스코틀랜드로 이민 갔었다가 1798년 아일랜드 반란에 참여하기 위해 아일랜드로 돌아온 아일랜드인들에게 붙은 별명에서 따온 노래다. 노래도 흥겹고 가사도 강렬한 내용이 많지 않아서, 여러 곳에서 즐겨 부른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Auf Wiedersehen Crossmaglen: 특이하게 독일어의 제목이 붙어있는 이 노래는, 화자가 영국군에 빙의하여 자신은 독일 여자들도 만나고 즐거운 군생활을 할 줄 알았는데, 아일랜드에 와서 IRA에게 시달린다는 내용을 토로하는 노래이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Some Say the Devil is Dead: 영국군을 악마에 비유한 이 노래는 굉장히 신나는 선율로, 레벨 밴드가 아니더라도 많이들 부르는 노래이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Go on Home British Soldiers: 매우 강렬한 가사[4]의 이 곡은 한 마디로 아일랜드판 주한미군 철거가라 할 수 있다. 1972년 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 토미 스켈리(Tommy Skelly)가 만든 노래로, 영국군이 당장 이 땅에서 나가야 하며, 800년 동안 맞서 싸워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의지를 내비친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Joe McDonnell: 1960년대부터 1990년대 말까지 이어진 '북아일랜드 분쟁(The Troubles)'에서 가장 유명한 사건이라 하면 보통 피의 일요일 사건을 말하지만, 그에 못지않은 사건은 1981년 아일랜드 단식투쟁 사건이다. 일제강점기로 치면 서대문형무소 같은, 악명높은 H-Block 감옥에 갇힌 10명의 아일랜드 양심수들이 정치범 대우를 요구하며 단식 투쟁을 일으킨 것. 그 중 한 명이 조 맥도넬에 대한 이야기다. 가사 내용이 상당히 영국을 근엄하게 꾸짖는데, "너희는 감히 나를 테러리스트라고 부르느냐, (중략) 너희가 한 모든 일을 생각해 본다면, 너희는 많은 나라를 약탈하고, 많은 땅을 갈라놓았지. 너희는 그 땅의 사람들을 위협하고, 철권 통치를 휘두르지 않았더냐"라며 영국의 위선을 비판한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Roll of Honour: 위 1981년 단식투쟁 사건에서 희생된 10명을 모두 기리는 노래. 스코틀랜드에서는 이 노래를 공공장소에서 부르는 것이 금지되었다는 풍문이 있다. 슬프지 않고 굉장히 신나는 노래이며 추임새가 많은 것이 특징. 예를 들어 옥중에서 하원의원에 당선된 보비 샌즈를 위해서는 "M.P!"(Member of Parliament)를 외쳐주며 박수도 친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Back Home in Derry: 위에서 언급한 단식투쟁 사건의 당사자 보비 샌즈(Bobby Sands)가 감옥 생활 중 직접 쓴 노래로 유명하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Admiral William Brown: 아일랜드인으로 아르헨티나로 이민을 가서 포경선 3척으로 브라질과 스페인에 맞서 싸운 것으로 시작해 마침내 "아르헨티나 해군의 아버지"가 된 윌리엄 브라운 제독을 기리는 노래. 이 노래는 전설적인 레벨 송 밴드인 울프 톤즈(The Wolfe Tones)에 의해, 1982년 포클랜드 전쟁 당시 만들어졌다. 잉글랜드 혹은 영국에 대항해 아르헨티나를 위해 싸운 아일랜드인 이야기를 다루며, 각 절 끝마다 "Las Islas Malvinas Argentinas"(말비나스 제도는 아르헨티나 땅)라고 덧붙이는 것이 아주 시의적절했다. 외부링크
- Broad Black Brimmer: IRA 멤버들이 잘 쓰던 이 모자를, 한 소년이 돌아가신 아버지 방에서 이를 발견하고 나서의 이야기를 전한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Wee White Turban: 상기 'Broad Black Brimmer'를 패러디하여 영국 제국주의와 이스라엘의 탄압에 저항하는 PLO와 팔레스타인인들에게 연대를 나타내는 노래.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Sean South of Gerryowen: 1957년 북아일랜드 퍼매나 주(County Fermanagh) 브룩보로(Brookeborough)에 있는 영국군(RUC - B Specials)를 공격하다가 치명적인 상처를 입어 현장에서 사망한 숀 사우스를 기리는 노래. 실제 숀 사우스는 아일랜드 공화국 리머릭 주 출신은 맞으나 게리오언이 고향은 아니다. 그럼에도 각운을 맞추기 위해서 게리오언이라는 이름을 끌어다 썼다.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The S.A.M. Song: 70년대부터 북아일랜드에 헬리콥터를 투입한 영국군에 맞서, 카다피 정권의 지원으로 헬리콥터를 상대할 지대공 미사일을 들여온 것을 찬양하는 노래.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 글
- The Rising of the Moon(월출): 1798년 아일랜드 독립군은 영국 제국에 맞서 대대적인 독립 전쟁을 일으켰다. 당시 집결 신호는 월출이었다.(그래서 아일랜드 반란을 얘기할 때 the rising of the moon이 대명사처럼 쓰인다). 달이 떠오를 때 모두 강변에 모여 영국군을 개박살내러 가자는 내용이다. [5][6]
- The Wearing of the Green(초록색 옷 입기): Rising of the moon과 선율이 같다. 아일랜드에서 초록색은 켈트 민족의 문화와 정체성을 뜻한다. 그렇기에 영국 제국은 아일랜드인들이 초록색 옷을 입는 것까지도 금지했다. 그것과 관련하여 영국 제국에 대한 저항 의식을 불태우는 노래이다.
- Kelly the Boy from Killane(킬란의 소년 켈리): 패트릭 조지프 매콜 작사. 1798년 독립 전쟁 때 지휘관이었던 킬란(Killane) 출신 존 켈리의 공적을 기리며 죽음을 추모하는 노래이다. 독립군은 비록 영국군에게 참패했지만, 언젠가 아일랜드가 독립할 것이라는 희망이 은연중에 나타나 있다.
- The Boys of Wexford(웩스포드의 소년들): 패트릭 조지프 매콜 작사. 1798년 독립 전쟁 때 중요한 역할을 맡았던 웩스퍼드 청년들을 기리며 밝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는 노래이다
- Follow me up to Carlow(카를로우까지 나를 따라오라): 패트릭 조지프 매콜 작사.
- Boolavogue(불라보그): 패트릭 조지프 매콜 작사. 1798년 독립 전쟁 때 독립군을 이끌었던 존 머피 신부의 공적을 기리며 죽음을 추모하는 노래이다. 비록 영국군에게 아일랜드 독립군이 참패했지만 하느님께서 존 머피 신부와 독립군들에게 영광을 허락하셨고, 언젠가 아일랜드를 광복시켜 주실 것이라는 희망을 말하고 있다.
- O’Donnell, Aboo(오도넬, 앞으로): 아일랜드 독립 직후 국가 투표에서 아주 근소한 차이로 2위를 해서 떨어진 곡이다. 들어 보면 독립군가라는 느낌이 정말 제대로 드는 곡이다. 유튜브 클립 참조
- Croppy Boy(단발당원 소년)
- The Foggy Dew: 영국의 아일랜드 점령 종식을 이끌어낸 것은 아일랜드 독립전쟁이었고, 그 서막에는 1916년 부활절 봉기(The Easter Rising)가 있었다. 부활절 봉기를 다룬 노래 중 제일 유명하고, 많은 사람들이 아는 노래. 시네이드 오코너(Sinead O'Connor)도 이 노래를 부른 것이 유명하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God Save Ireland(하느님 아일랜드를 구하소서): 아일랜드 독립 직후 임시 국가였다. 속칭 맨체스터 순교자 3인방을 기리기 위한 노래. 당시 맨체스터 순교자 3인방의 사형 집행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카를 마르크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직접 "잉글랜드와 아일랜드를 나누기 위한 마지막 행동"이라고 부를 정도로 큰 일이었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A Nation Once Again(광복): 광복에 대한 열망을 아주 직접적으로 담아 낸 노래. 3절에 'freedom comes from God's right hand'(해방은 하느님의 정의로운 손으로부터 오는 거야)라는 종교적 메시지가 나온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The Man from Mullingar: 가상의 인물, 패트릭 사스필드 멀리간이 아일랜드 사방을 휘젓고 다니다가 장갑차를 뺏어 IRA에게 넘기는 가상의 이야기의 노래.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The Minstrel Boy(악사 소년): 시인 토머스 무어 작사. 1798년 독립 전쟁에 참가한 한 소년의 이야기이다. 아일랜드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하프와 칼을 들고 전투에 뛰어들었다가 죽었지만, 하프로 상징되는 아일랜드인의 저항 의지는 꺾이지 않는다는 내용. 블랙 호크 다운과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배경 음악으로도 사용되었다.
- Let Erin Remember(아일랜드가 기억케 하자): 시인 토머스 무어 작사. 에린이란 아일랜드를 의인화한 것이다.
- Legion of the Rearguard(후위 부대의 많은 사람들)
- Johnston’s Motor Car(존스턴의 자동차): 1916~1922년도 아일랜드 독립 전쟁 때 집결 명령을 받고도 군용 트럭이 없어 집결하지 못하던 독립군이 의사인 영국인 존스턴 박사의 차를 뺏은 이야기.
- Patriot Game(애국자 경기): 1957년 1월에 위의 숀 사우스와 같이 작전에 참가했다가, 영국군의 집중 공격으로 온 몸에 총알을 맞고 전사한 IRA 독립군 퍼걸 오핸른(1936~1957)을 화자로 하고 있다. 북아일랜드의 독립을 지지하는 노래이다.
- Come out Ye Black and Tans(블랙 앤 탠스 나와라): 블랙 앤 탠스란 아일랜드 독립군을 토벌하기 위한 영국군 퇴역자들을 모집한 부대이다. "블랙 앤 탠스 다 튀어나와라, 제대로 맞짱 뜨자!" 이런 성격의 노래이다. 외부링크
- Rifles of the IRA(IRA의 소총):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가한 투사들의 이름과 활약상을 늘어놓으며 기리는 노래.
- The Bold Fenian Men(용감한 피니언 당원들): <Down by the Glenside>(골짜기 가장자리 아래로)라고도 한다. 피니언이란 아일랜드 독립운동 단체 이름이다.
- Óró sé do bheatha abhaile(오호, 고향으로 잘 오셨소): 그라너 밀(그레이스 오말리)을 소재로 아일랜드 독립운동가 패트릭 피어스(Patrick Pearse)가 아일랜드 공화주의의 상징으로 삼아 가사를 완성한 노래. 아일랜드 무장독립군의 군가였다. 가사가 게일어로 된 것이 특징이다.
*God Bless England(하느님 잉글랜드를 축복하소서: 반어법이다. 처음에는 잉글랜드 덕택에 미개했던 아일랜드가 문명화가 되었다는
- The Merry Ploughboy: 1919~1922년의 아일랜드 독립 전쟁 때 갑자기 머릿속에 떠오른 것이 있어 독립군에 가담한 한 시골 청년의 이야기. <Off to Dublin in the Green>, <Green in the Green>라고도 한다. 클랜시 브라더스 버전
- Roddy McCorley(로디 매컬리): 1798년 독립 전쟁 때 독립군에 가담한 독립운동가 로디 매컬리를 기리는 노래이다.
- Kevin Barry(케빈 배리): 아일랜드 독립 전쟁 도중인 1920년 18세의 나이에 처형된 대학생 독립운동가 케빈 배리룰 추모하는 노래이다.
- The Boys from County Cork(코크 주 출신 소년들): 1919~1922년도 아일랜드 독립 전쟁 때 맹활약한 코크 주 출신 청년들의 공적을 기리는 노래이다.
- A Soldier’s Song(전사의 노래): 이 노래는 원래 영어로 작사되었는데, 뒤에 아일랜드어로 번역되었다. 아일랜드어 판의 후렴구가 현재 아일랜드 국가이다.
- On the One Road(한 길로): 신 페인(Sinn Féin)의 당수였던 게리 아담스(Gerry Adams)가 좋아한다고 알려져 있는 노래. 1996년 자서전 새벽 이전에(Before the Dawn)의 제목도 이 노래의 가사에서 따왔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Let the People Sing(사람들이 노래하게 하자): 역시 브라이언 워필드가 지은 곡. 아일랜드의 정체성과 같은 것이 바로 아일랜드 음악이니, 그 노래를 통해서 전 아일랜드인들이 단결하자는 내용이다. 외부링크
- The Valley of Knockanure(노커누어의 골짜기)
- Tipperary So Far Away(저 멀리 티퍼레리)
- Wrap the Green Flag round me, Boys(내 주위로 초록색 깃발을 둘러 줘, 소년들아)
- Freedom’s Sons(자유의 아들들): 토미 메이컴 작사 및 작곡. 토미 메이컴 곡들 가운데 아래 곡과 함께 처음으로(1966) 발표된 노래이다.
- Lord Nelson(넬슨 경): 토미 메이컴 작사 및 작곡.
- Four Green Fields(네 푸른 벌판)
- The Winds are Singing Freedom(바람은 자유를 노래한다): 토미 메이컴 부인인 메리 메이컴 작사 및 작곡. 정치적 메시지가 아주 강력하게 드러나는 곡이다.
- The Fields of Athenry(아덴라이의 벌판): 항목 참조.
- Only Our Rivers Run Free(오직 우리 강만이 자유롭게 흐른다): 미키 매코넬 작사. 아일랜드 공화국은 독립했지만 북아일랜드는 여전히 영국 통치 하에 있는 암울한 현실을 폭로하고 있다.
- The Boys of the Old Brigade: 레벨 송의 대표주자 중 하나. "Irish Soldier Laddie"나 "The Men Behind The Wire"같은 명곡들을 만든 패디 맥기간(Paddy McGuigan)의 대표작. 이야기는 아버지가 부활절 날 한숨을 내쉬자 아이가 이를 물어보면서 시작한다. 아일랜드 독립전쟁 중 IRA의 가장 성공적인 작전 중 하나인 킬마이클 습격(Kilmichael Ambush)에서 비롯된 노래.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Irish Soldier Laddie(아일랜드 군인 청년): 패디 맥기간의 대표적인 명곡인 이 노래는 1798년의 아일랜드 반란을 다루고 있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The Men behind the Wire(철창 뒤의 사람들): 1972년 아일랜드 싱글즈 차트 1위를 5주간이나 한 노래. 1971년 8월 9일 새벽 4시 시행된 영국군의 데메트리우스 작전(Operation Demetrius)에서 IRA 대원으로 의심된다는 이유만으로 북아일랜드 전역에서 342명의 아일랜드인을 그 어떤 재판도 없이 악명높은 "H-블록" 롱 케쉬 구금 캠프에 가두고 고문한 일을 고발하는 노래다.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글
- Grace: 1916년 부활절 봉기에 참가했다가 체포되어 처형당한 아일랜드 독립투사 조지프 메리 플렁킷과, 그의 약혼자 그레이스 기퍼드의 실화를 다룬 노래. 자세한 설명의 블로그 글
- The Town I Loved So Well(내가 너무도 사랑했던 마을): 북아일랜드 출신 피아니스트, PD인 필 쿨터가 작사 및 작곡했다. 1~3절은 북아일랜드 데리에서 보냈던 평화로운 어린 시절에 대한 추억을 회상하고 있고, 4절에서는 IRA와 영국군의 첨예한 대립으로 엉망진창이 되어버린 데리의 암울한 현실을 폭로하고 있다. 5절에서는 언젠가 영국이 물러가고 북아일랜드가 독립하여 밝은 새 날이 열릴 것이라는 희망을 부르짖고 있다.[7] <The Town I Loved So Well>을 부르고 있는 필 쿨터. 원래 필 쿨터는 피아니스트이지만 이 곡에서는 특이하게 보컬을 불렀다.
- Provo's Lullaby: 영국과의 싸움에 지친 프로보들에게 안식이 있을거라는 내용.. 외부링크
- Viva la Quinta Brigada: 스페인 내전에 공화국군을 돕기 위해 참전했던 아일랜드인들의 이야기. 자세한 내용이 있는 블로그글
- No Time for Love: 미국 출신의 포크싱어 잭 워쇼(Jack Warshaw)가 1976년 발표한 저항 노래이지만, 당시 북아일랜드에서 영제에 고통받던 아일랜드인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크리스티 무어(Christy Moore)가 1986년 발표한 자유의 영혼(The Spirit of Freedom) 앨범에서 부르면서 큰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자세한 내용이 있는 블로그글
- (My) Little Armalite: 영국군들, 북아일랜드 경찰을 혼내준 미국 아말라이트(Armalite)사의 유명 총기 AR-18을 주인공으로 삼은 노래다. 자세한 내용이 있는 블로그글
... 그리고 2019년 3월 세인트 패트릭 데이를 앞두고 방영된 BBC의 유명 코미디 앨런 파트리지(Alan Partridge;스티브 쿠건 분)에서, 앨런 파트리지의 아일랜드인 도플갱어인 마틴 브레난(Martin Brennan)이라는 캐릭터가 가상의 TV쇼에 나와 인터뷰를 하다가 마지막에 "노래는 부르고 끝내야겠다"며 갑자기 미국 노래인 스윗 식스틴(Sweet Sixteen)[8]을 부르기 시작하더니...
갑자기 "Come Out Ye Black And Tans"와 "Men Behind The Wire"를 부르는 것이었다! 이것은 NHK 코미디 쇼에 한국인 캐릭터가 나와서 독립군가를 부르는 상황이나 마찬가지의 충격적인 연출. 심지어 해당 곡을 만들고 부르던 울프톤즈는 아일랜드 텔레비전에서 방송금지까지 먹은지가 한참이었는데 정작 영국 지상파 텔레비전에서 레벨 송이 나와버리니 아일랜드인들은 환호하고 영국 국수주의파들은 데꿀멍. 연출가이자 연기자인 코미디언 스티브 쿠건은 "나는 95% 아일랜드인이다. 그리고 나는 아일랜드인과 영국인 모두의 정체성이 자랑스럽다. 이 장면은 희극인으로써 예술적인 허용 하에 이루어진 것"이라고.
동영상의 0:48부터. 굉장히 영국스러운 앨런 파트리지 캐릭터가 마틴 브레난이 노래 한 곡 뽑겠다는 얘기를 거절하고 쇼를 끝내려 했지만, 마틴은 이를 상큼하게 씹고 노래를 시작한다... 나중에 레벨 송이 나오자 앨런 파트리지는 혼잣말처럼 동료 진행자에게 "이거 거의 IRA 광고 같잖아"라고 말한다
4.2. 드링킹 송(drinking song)
문자 그대로 퍼브(pub)에서 술 퍼먹으며 부르는 노래들. 당연히 술 그 자체를 소재로 하는 노래들이 압도적으로 많다. 술 좋아하는 아일랜드 사람들이 당연히 부를 수밖에 없는 노래. 제목에 술이 들어가면 대부분 드링킹 송이다. 대표적인 곡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Whiskey in the Jar(항아리 속의 위스키):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한 남자가 어떤 장교를 권총과 레이피어로 협박해 얻어낸 돈을 애인에게 나누어 주었다가 뒷통수크리(...)를 맞아 애인은 도망가버리고 자신은 그 애인의 신고를 먹고 사형수가 된 상황이 되었다는 이야기.
1960년대 말~1970년대 초, <Whiskey in the Jar>를 부르고 있는 더블리너스.
- A Jug of Punch(펀치 한 잔)
- The Wild Rover(거친 떠돌이)
- The Juice of the Barley(보리즙)
- Rare Old Mountain Dew(정말 오래 된 산 이슬)
- Finnegan's Wake(피네간의 경야): 제임스 조이스의 작품 '피네간의 경야' 가 여기에서 제목을 따 왔다. 팀 피네건이라는 초특급 주당이 사다리에서 떨어져 의식을 잃고 쓰러졌는데 사람들이 죽은 줄 알고 장례를 치르려고 했다. 그런데 장례식장이 싸움판이 되었고 그 와중에 피네건의 얼굴에 위스키가 엎질러지자 피네건이 깨어나서 자기가 죽은 줄 알았냐며 욕을 퍼붓는다는 이야기.
- Beer, Beer, Beer(맥주, 맥주, 맥주)
- The Hills of Connemara(커네마라의 언덕)
- The Moonshiner(밀수업자)
- The Pub with no Beer(맥주가 없는 술집)
- Port Lairge(워터퍼드(Waterford)의 아일랜드 이름)
- The Parting Glass(작별의 잔)
- Whiskey is the Life of Man(위스키는 남자의 삶이다)
- Courting in the Kitchen(주방에서 연애하기)
- Whiskey on Sunday(일요일의 위스키)
- The Rattlin' Bog(경치 좋은 늪지)
4.3. 러브 송(love song)
만국 공통의 노래 주제인 사랑을 다룬 노래들. 아일랜드라고 이게 없을 리가 없다. 아일랜드 러브 송이라고 해서 크게 다를 것은 없지만, 아일랜드 특유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곡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Holy Ground>(거룩한 땅)
<Red is the Rose(장미꽃은 빨갛구나)
토미 메이컴과 리엄 클랜시 버전의 <Red is the Rose>. 1979년도 아일랜드 차트 3위를 기록한 곡이다.
- Carrickfergus(캐릭퍼거스)
- Wild Mountain Thyme(야생 산 백리향)
- Let No Man Steal Your Thyme(아무도 네 백리향 못 훔치게 해)
- Lark in the Clear Air(맑은 하늘의 종달새)
북아일랜드 팝 가수 카라딜런(Cara Dillon)이 부른 <Lark in the Clear Air>.
- Gentle Annie>(온화한 애니)
- Star Of The County Down(다운 주의 별)
- My Lagan Love(내 래건 사랑)
- The Rose of Tralee(트랄리의 장미꽃)
- Down by the Sally Gardens(버드나무 정원 아래에서)
1977년 <Sally Gardens>를 부르고 있는 토미 메이컴과 리엄 클랜시. 토미 메이컴이 기타를 치고 있는 아주 희귀한 유튜브 클립이다. (원래 토미 메이컴의 반주 악기는 밴조이다.)
4.4. 발라드(ballad)
흔히 알고 있는 대중음악 장르로서의 발라드가 아닌 이야기체로 된 노래를 말한다. -한국에서만 유독 징징대는 노래를 발라드라고 칭하나, 전세계적으로 이는 틀린 표현으로 여겨진다.- 노래 형식을 띠고 있지만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것. 물론 레벨 송이나 드링킹 송 가운데에도 발라드체의 곡들이 많이 있으나, 좁은 의미에서는 순수한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곡들. 한국으로 따지자면 딱 판소리다. 물론 12시간씩 부르고 이러지는 않고 짧게 부르지만.클랜시 브라더스의 히트곡인 <Brennan on the Moor>와 <The Wild Colonial Boy> 라는 두 곡은 각각 아일랜드 본토와 호주에서 활동한 의적 이야기를 다루는 발라드인데 놀랍게도 한국의 홍길동, 임꺽정, 장길산 이야기와 싱크로율이 100%. 심지어 잡혀서 처형당하는 것까지 임꺽정과 똑같다.
소설처럼 1인칭 주인공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 3인칭 관찰자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표적인 곡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Brennan on the Moor(황야의 브레넌): 전지적 작가 시점. 19세기 초 아일랜드의 의적이었던 윌리 브레넌의 일대기를 다루고 있다.
1984년, <Brennan on the Moor>를 부르고 있는 클랜시 브라더스.
- The Wild Colonial Boy(거친 식민지 소년): 전지적 작가 시점. 아일랜드에서 태어나 호주에서 활동했던 의적 잭 도나휴의 일대기를 다루고 있다.
- Irish Rover(아이리시 로버 호): 1인칭 관찰자 시점. 아일랜드 남부의 항구 도시인 코크를 떠나 뉴욕 시청을 지으러 뉴욕으로 향하다가 난파된 아이리시 로버 호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여담으로 마지막 연이 매우 가사가 시궁창스러운데, 내용인 즉슨 배가 좌초하여 9바퀴를 빙빙 돌다가 불쌍한 개 한마리가 빠져죽는 것을 목격하고 나 혼자 아이리시 로버 호의 생존자가 되었다는 내용인데, 흥겨운 멜로디랑 대비되는 충격적인 내용이다. 유명 아이리시 포크 밴드 아이리시 로버즈(The Irish Rovers)가 이 노래에서 이름을 따왔다.
- The Galway Races(골웨이 레이스): 1인칭 관찰자 시점. 매년 7월 마지막 주에 골웨이에서 개최되는 경마 대회 이름이다. 골웨이 레이스를 보러 간 화자의 눈에 들어온 여러 풍경들을 묘사하고 있다.
클랜시 브라더스 버전 <Galway Races>.
- Johnny I Hardly Knew Ye(조니, 너를 못 알아 봤어): 1인칭 관찰자 시점. '빙빙 돌아라', 'When Johnny comes marching home' 의 원곡이다. 영국군에 징집되어 전쟁에 참여했다가 몸과 마음이 만신창이가 되어서 돌아온 조니를 만난 화자의 감정을 노래하며 반영 감정을 드러낸 곡이다.
- The Old Orange Flute(낡은 개신교인의 플루트): 전지적 작가 시점. 아일랜드에서 Green(초록색)은 가톨릭을, Orange(주황색)은 개신교를 뜻한다. 그런데 아일랜드 개신교는 정상적인 기독교가 아니고, 온갖 기득권을 누리며 대영제국에 절대적으로 충성하는 친영파 집단이었다. 가톨릭을 믿는 아일랜드인들에게는 공공의 적이자 괴신교(怪神敎)였던 것. 그러한 괴신교인들을 풍자하는 곡이다.
- William Bloat(윌리엄 블로트): 전지적 작가 시점. 레이몬드 캘버트 작사. 역시 친영파 기득권층
개신교괴신교인들을 풍자하는 곡이다.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의 샹킬 로드(Shankil Road)에 윌리엄 블로트라는 괴신교인이 살았는데 마누라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 그래서 하루는 부부싸움 끝에 마누라 목을 면도칼로 그어 버리고 자기는 리넨으로 된 침대 시트로 목을 매어 자살했다. 그런데 본인은 죽어서 지옥에 갔지만 마누라는 죽지 않았다. 그 이유는 면도칼은 수입산이었지만(가수에 따라 독일산, 영국산, 심지어 일본산도 있다.) 침대 시트는 강하기로 유명한 벨파스트산 리넨으로 만든 것이었기 때문이다.
- The Button Pusher(버튼을 누르는 사람): 1인칭 주인공 시점. 특이하게도 반잉글랜드적 요소는 찾아볼 수 없는 반전 노래이다. 한 핵무기 발사 버튼을 담당하는 사람이 자신의 직업에 대해 찬양하는 내용인데, 평화로운 곡조와 충격적인 가사가 대비되어 소름이 끼치는 곡이다. 중간에 냉전시대의 인물들 (닉슨, 브레즈네프, 피델 카스트로)의 풍자가 나오기도 해서 전통적인 아일랜드 포크 음악과는 약간 이질감이 들기도 한다.
- The Banks of the Roses(장미꽃 핀 강둑): 1인칭 주인공 시점. 아래 유튜브 클립에 나오는 더블리너스 멤버 숀 캐넌의 설명에 따르면 '남자-여자-술' 사이의 'Irish love triangle'(아일랜드식 삼각관계)에 관한 곡이라고 한다. 여자가 남자에게 자기냐 술이냐를 택하라고 한다는 것.
2002년에 열린 40주년 기념 콘서트에서 <The Banks of the Roses>를 부르고 있는 더블리너스.
*The Black Velvet Band(검은 벨벳 머리끈): 1인칭 주인공 시점. 검은 벨벳 머리끈으로 머리를 묶은 금발 미녀에게 사기를 당해 장물 취득죄로 태즈메이니아(Van Diemen's Land)행 7년 유배형에 처해진 상황을 다루고 있는 노래이다.
- Spancil Hill(스팬실 언덕): 1인칭 주인공 시점. 흔히 아일랜드 포크 음악이 슬프고 암울한 분위기가 많다고 하는데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니지만 거기에 해당되는 곡이다.
- Molly Malone(몰리 말론): 전지적 작가 시점. 어렵던 시절 대를 이어 해산물 노점을 하다가 열병으로 숨진 소녀 몰리 말론의 이야기다. 크리스마스에 자주 불린다.
- Reilly's Daughter(라일리의 딸): 1인칭 주인공 시점.
- Seven Drunken Nights(술 취한 일곱 밤): 1인칭 주인공 시점. 불륜을 풍자하는 노래. 화자가 월화수목금토일 매일 술 취해서 집에 돌아왔는데 집에 돌아올 때마다 마누라가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는 증거가 갈수록 명백해져서 마침내 일요일 밤에는 검열삭제 현장을 발각하고 만다는 이야기. 너무 직설적인 관계로 토요일과 일요일 부분은 그냥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 물론 들통날 때마다 마누라는 궁색한 변명을 늘어놓지만 화자는 그런 거짓말에 안 속아 넘어간다.
- Rocky road to Dublin(더블린으로 가는 거친 길): 1인칭 주인공 시점. 툼(Tuam)에서 더블린을 거쳐 리버풀으로 가는 길에 벌어진 각종 에피소드[9]를 풀어놓고 있는 노래이다. 특유의 빠른 리듬감과 가사의 라임 덕에 아일랜드 음악 중에서 인기가 많은 곡중 하나로 유투브에 많은 아마추어 가수들이 이 노래를 부른 클립들이 있다.
- The Dawning of the Day(새벽): 1인칭 주인공 시점. 새벽에 시골길을 거닐다가 만난 한 시골 미녀에게 고백했다가 아주 제대로 차인
나, 너, 그리고 우리이런 상황에 처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노래이다. 아일랜드어 버전인 Fáinne geal an lae로도 잘 알려져 있다.
- Old Maid in the Garret(다락방의 노처녀): 1인칭 주인공 시점. 40이 넘도록 결혼을 못 하고 있는 노처녀의 이야기이다.
- Whistling Gypsy Rover(휘파람 부는 집시 떠돌이): 3인칭 관찰자 시점. 한 집시 떠돌이가 휘파람으로 지역 귀족의 딸을(그것도 남친이 있었다) 스틸하여 결혼에 골인했다는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급의 이야기.
- The Bard of Armagh(아마의 음유시인): 전지적 작가 시점.
- The Verdant Braes of Screen(스크린의 파릇파릇한 산비탈): 1인칭 관찰자 시점. 스크린의 파릇파릇한 산비탈에서 한 커플을 만난 이야기이다. 여자가 남자를 향해 다른 여자 좋아한다는데 어떻게 된 거냐며 따지고, 남자는 해명을 하다 하다 안 되어서 나무에 올라 새 둥지에 있는 알을 꺼내 온다는(사랑을 표현하는 방법임) 내용.
- McAlpine's Fusiliers(매칼파인의 사수): 전지적 작가 시점. 도미니크 비언 작사 및 작곡. 2차 세계대전 직후 영국으로 노가다를 하러 떠났던 아일랜드 사람들 이야기이다. 한국으로 따지자면 1970년대 독일에 일하러 갔던 간호사와 광부들을 생각하면 된다.
- Filght of Earls(얼 집안의 탈출): 리엄 라일리 작사 및 작곡. 3인칭 관찰자 시점. 원래는 17세기 말에 있었던, 얼 집안이 아일랜드를 떠나 스페인으로 이주한 역사적 사건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런데 1980년대에 극심한 경기 불황으로 인해 일자리를 잃고 아일랜드를 떠나 영국이나 미국으로 고학력 실업자들이 단체로 빠져 나가면서
잠깐 이거 그 어느 나라에서도 벌어지고 있는 일인데?이러한 현상을 얼 집안의 탈출에 비유하여 노래로 만든 것이다. - The Ferryman>(연락선 책임자): 피트 세인트존 작사 및 작곡. 전지적 작가 시점. 개발로 인해 더 이상 연락선이 다니지 않게 되어 졸지에 실업자가 되어 버린 리피 강(더블린 시내를 흐르는 강)의 연락선 책임자 이야기이다.
- The Rare Old Times(아주 오래 된 시간들): 피트 세인트존 작사 및 작곡. 1인칭 주인공 시점. 더블린의 옛 풍경과 거기에 얽힌 추억에 관한 노래이다.
- The Bricklayer's Song(벽돌공의 노래): 팻 쿡시 작사. 1인칭 주인공 시점. 공사판에서 일하는 화자의 이야기이다. 벽돌을 하나씩 아래로 던지기 귀찮아 통으로 나르다가 통이 잘못 기울어져서 문자 그대로 날벼락을 맞고, 도르래에 머리를 부딪히고, 바닥에 떨어지는 등 온갖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사고를 당한 아주 불행한 이야기를 전혀 불행하지 않고 오히려 웃기는 말투로 풀어 낸 노래이다.
- Farewell to Carlingford(칼링퍼드를 향한 작별 인사): 토미 메이컴 작사 및 작곡. 1인칭 주인공 시점. 칼링퍼드 마을에 사는 한 선원이 바다를 향한 젊은 날의 열정과 여자친구 메리 도일과의 사랑 사이에서 갈등하는 내용이다. 여친은 위험하다며 항해에 나서지 말라고 말리고, 화자는 항해 때마다 이번이 마지막이라고 마음을 먹지만, 바다를 향한 열정은 들어올 때는 마음대로지만 나갈 때는 아니라서 결코 포기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항해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
- The Town of Rostrevor(로스트레버 마을): 토미 메이컴 작사 및 작곡. 1인칭 주인공 시점. 아일랜드판 이등병의 편지. 입대를 앞둔 청년이 화자로 나와서 로스트레버 마을의 아름다운 봄날 정경을 뒤로 하고 입대해야 하는 아쉬운 감정을 표현하였다.
아일랜드는 아일랜드 공화국, 북아일랜드 모두 모병제라는 것이 함정. - Rambles of Spring(봄날의 방랑): 토미 메이컴 작사 및 작곡. 1인칭 주인공 시점. 바이올린을 들고 이 마을 저 마을 돌아다니며 봄을 즐긴다는 내용이다.
- Whatever You Say, Say Nothing(무엇을 말하든, 말하지 마세요)
- When the Boys came rolling Home(청년들이 집으로 돌아올 때)
- Follow on(계속해서 따라와요): 폴 브래디 작사 및 작곡.
- The Broad Majestic Shannon(넓고 장엄한 섀넌 강): 아이리시 펑크 밴드인 포그스(The Pogues) 리더 셰인 맥고원(Shane McGowan) 작사 및 작곡. 1인칭 주인공 시점. 일반 팝송으로 분류할 수도 있지만, 아일랜드적인 색채가 강하고 애초에 작곡할 때 클랜시 브라더스를 위해 작곡을 했으며 실제로 2008년 가을에 나온 리엄 클랜시 앨범에도 수록된 곡이기 때문에 여기 포함시켰다.
4.5. 동요
2006년 7월 23일. 더블린의 바이커 스트리트(The Vicar Street)에서 동요 <I'll Tell me Ma>를 열창하고 있는 더블리너스. 이 유튜브 클립이 촬영된 때를 기준으로 바니 매케너는 66세, 존 시헌은 67세, 숀 캐넌은 65세, 패치 워천은 61세, 에이몬 캠벨은 59세다!
4.6. 샨티(shant(e)y, chant(e)y)
선원들이 바다에서 일할 때 부르는 노래들 또는 항해, 뱃일과 관련된 노래들. 아일랜드 고유의 곡들이라기보다는 영국과 미국을 비롯하여 영어권에서 대체로 널리 불리는 노래들이다. 아일랜드만의 고유한 샨티도 물론 있지만, 대체로 샨티는 국적 안 따진다.• Drunken Sailor(술취한 선원): 선원이 술에 취하면 어떻게 해야할지를 담은 노랜데 상당히 잔인하다. 네모바지 스폰지밥에서 제목이 나올때 나오는 노래이기도 하다. 레벨 송 Óró, sé do bheatha abhaile(오오 여기는 삶의 집이라네)와 곡을 공유한다고 한다.
* Wellerman(보급선): 고래잡이 배의 이야기를 다룬 노래. 스코틀랜드의 가수 네이선 에반스(Nathan Evans)가 현대적으로 재편곡하기도 했다. MV
* Wellerman(보급선): 고래잡이 배의 이야기를 다룬 노래. 스코틀랜드의 가수 네이선 에반스(Nathan Evans)가 현대적으로 재편곡하기도 했다. MV
4.7. 인스트루멘털(instrumental)
가사는 없고 멜로디만 있는 곡들. 지그(jig), 릴(reel), 혼파이프(hornpipe), 폴카(polka)와 같은 춤곡들이다. 원래는 춤 추는 배경음악이었지만 현대 포크 음악가들이 인스트루멘털 공연할 때는4.8. 기타
1970년대 후반 펑크 록의 급부상 이후, 이러한 방식과 융합한 음악들이 등장했다. 더 포그스(The Pogues)가 이 분야의 시초격이며, 현재에는 플로깅 몰리나 드롭킥 머피스등이 유명하다. 아이리시 펑크라고 불리기도 하나, 셀틱 펑크라고 불리기도 한다. 초기에는 아일랜드 포크 음악을 기반으로 했으나, 켈트 전반(아일랜드 및 스코틀랜드)의 영향을 받았다.5. 오해 - Danny Boy는 아일랜드 노래?
아일랜드 음악에 대해 한 번이라도 들어 본 사람이라면 위 리스트를 보고서 "Danny Boy가 없네?"라는 말을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Danny Boy는 아일랜드 노래가 아니다. Danny Boy는 가락만 <Londonderry Air>라는 북아일랜드 전통 가락이고, 가사는 아일랜드와 철전지 원수인 잉글랜드 사람 프레드릭 웨덜리(Frederic Weatherly, 1848~1929)가 1913년에 전쟁터에 나간 아들을 그리워하며 작사했다. 때문에 진짜 아일랜드 포크 가수들은 Danny Boy를 거들떠보지도 않고, 어쩌다가 부른다 하더라도 앨범 트랙 수 채워 넣기용도지 결코 중요한 곡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아일랜드 본토 사람들에게 Danny Boy는 자기네들을 800년 동안이나 철권통치한 원수 잉글랜드 노래인데 좋아할 리가 없다.그런데 어쩌다가 Danny Boy가 대표적인 아일랜드 노래인 것처럼 한국, 미국, 일본에서 오해를 받느냐면, 단순히 가락이 북아일랜드 가락이기 때문이다. 미국 가수중에 엘비스 프레슬리와 에릭 클랩튼을 비롯한 많은 이가 이 곡을 불렀고, 심지어 한국의 아이돌인 아이유와 소녀시대도 이 곡을 불렀다! 때문에 미국인, 일본인,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아일랜드' 노래로, 굉장히 잘 알려졌다. 실제로 북아일랜드 지방에서는 커먼웰스 게임 때 북아일랜드의 비공식 국가로 널리 불려지기도 한다. 그렇지만 결코 이 곡은 아일랜드 노래가 될 수도 없고, 아일랜드를 대표하는 곡은 더더욱 아니다.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홍대거리 신생 인디밴드가 작사, 작곡한 노래를 일본인이 무단으로 표절해 가서 패러디를 해 가지고 오리콘 차트 1위에 오른 곡을 외국인들이 한국을 대표하는 노래라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
아일랜드 노래라고는 Danny Boy 하나밖에 모르는 사람들이 Danny Boy의 분위기가 음울하고 감상적(센티멘털)이라는 이유로 아일랜드 노래들은 전부 다 그렇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아일랜드 노래들 가운데 감상적이고 음울한 곡이 아주 없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아일랜드 곡들은 쾌활하고 발랄하다. 암울한 현실 가운데에서도 희망을 품고 주어진 현실에 맞서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아일랜드인들의 사고방식이 반영된 것. [11] 차분하고 잔잔한 곡들이 많이 있긴 하지만 감상적이고 음울한 정도까지는 아니다. 그 안에 희망을 담아내고 있다.
Londonderry Air의 다른 가사 버전인 Irish Love Song. Danny Boy보다 이른 시기인 1894년에 아일랜드 출신의 여류시인 캐서린 타이넌 힝크슨(Katherin Tynan Hinkson)[12]이 작사하였다. 이별하는 남녀의 사랑을 노래하는 곡이다.
그리고 이게 Danny Boy. 가사가 확연히 다르다.
6. 주요 아티스트
6.1. 그룹
- 클랜시 브라더스(The Clancy Brothers): 1956년 결성, 1998년 해체
- 더블리너스(The Dubliners): 1962년 결성, 2012년 해체 [13]
- 아이리시 로버스(The Irish Rovers): 1964년 결성, 현재까지 활동 중
- 더블린 시티 램블러스(Dublin City Ramblers): 1963년 결성, 현재까지 활동 중
- 울프 톤스(The Wolfe Tones): 1963년 결성, 현재까지 활동 중
- 퓨리스(The Fureys): 1978년 결성, 현재까지 활동 중[14]
- 발리콘(The Barleycorn): 1971년 결성, 1996년 해체
- 라이언스 팬시(Ryan's Fancy): 1971년 결성, 1983년 해체
- 플랭스티(Planxty): 1972년 결성, 1983년 해체
- 알탄(Altan): 1987년 결성
- 찰리 앤 더 보이스(Charlie and The Bhoys): 1989년 결성
- 디 대넌(De Dannan): 1975년 결성, 2003년 해체, 2009년 재결성
- 코어스(The Corrs): 1990년 결성, 2006년 해체, 2015년 재결성
- 솔라스(Solas): 1994년 결성
- 하이 킹스(The High Kings): 2008년 결성
- 루나사(Lúnasa): 1997년 결성, 현재까지 활동 중
- 켈틱 우먼(Celtic Woman): 2004년 결성, 현재까지 활동중.
6.2. 솔로
- 토미 메이컴(전 클랜시 브라더스 멤버, 1956~1969): 1932~2007
- 리엄 클랜시(전 클랜시 브라더스 멤버, 1956~1974, 1990~1996): 1935~2009
- 로비 오코넬(전 클랜시 브라더스 멤버, 1977~1996): 1952~
- 로니 드루(전 더블리너스 멤버, 1962~1974, 1979~1995): 1934~2008
- 짐 매캔(전 더블리너스 멤버, 1974~1979): 1944~
- 패디 라일리(전 더블리너스 멤버, 1995~2005): 1939~
- 윌 밀라(전 아이리시 로버스 멤버, 1964~1995): 1939~
- 패디 스위니(전 발리콘 및 더블린 시티 램블러스 멤버, 각각 1981~1988, 1989~2002)
- 데릭 워필드(전 울프 톤스 멤버, 1963~2001): 1943~
- 핀바 퓨리(전 퓨리스 멤버, 1978~1994): 1946~
- 크리스티 무어(전 플랭스티 멤버): 1945~
- 도널 루니(전 플랭스티 멤버, 그 외에도 온갖 그룹을 거침): 1947~
- 앤디 어빈(전 플랭스티 멤버, 그 외에도 온갖 그룹을 거침): 1942~
- 리엄 오플린(전 플랭스티 멤버): 1945~
- 폴 브래디(전 플랭스티 멤버): 1947~
- 대니 도일
- 셰이머스 케네디
- 메리 블랙
- 데이미언 뎀프시
- 메리 오하라
- 돌로레스 킨
- 모라 오코넬
- 대니얼 오도넬
- 애슐리 매카이작
7. 기타
이상하게도 같은 영국인데다 개신교 국가이지만 스코틀랜드는 의외로 좋아한다. 아일랜드 가수들이 스코틀랜드 노래를 부르는 것은 별로 이상한 일이 아닐 정도.[15] 잉글랜드에 대한 아일랜드 특유의 엄청난 원한과 저항 의식 속에서도, 잉글랜드 포크 송들은 많이 부른다. 하지만 확실히 세계 모든 나라 대중음악 장르 가운데 가장 정치적인 내용이 강한 건 사실인데, 아일랜드 포크 음악 부르는 가수들치고 레벨 송을 레퍼토리에 안 넣는 가수는 보기 드물다. 레벨 송은 다양하지만 그 주제는 하나로 수렴하는데 그것은 바로 나는[1] 아일랜드, 영국 북아일랜드[2] 최근에 들어서야 악보로 옮겨진 전통음악의 경우 5음음계를 철저히 지켜 기록한 곡도 많다.[3] POKÉTOON 4화에서 잉어킹을 표현할 때 쓰인 악기가 이 악기다.[4] “영국 군인들아 집에 가라. 너희는 X발 집도 없냐?”[5] 참고로 2명이 대화를 나누는 형식이다.[6] 하지만 노래의 내용과는 다르게 이 봉기는 5개월만에 최소 1만의 사상자를 안은 채로 진압되고 만다. 이후 영국의 탄압은 나날이 심해졌으나 조그마한 항영 항쟁이 여러차례 있었고 120년 후에 아일랜드 독립의 밑거름이 된다.[7] 사실 누가 이겼으면 좋겠다는 염원이라기 보다는 전쟁 자체에 대한 환멸에 가깝다. 노래에서 IRA도 그리 좋게 묘사되지는 않으며 누가 물러가든 간에 그저 전쟁이 끝나고 평화가 찾아왔으면 좋겠다는 가사가 등장하기 때문이다.[8] 미국 노래이지만 1981년에 아일랜드 밴드인 퓨리스(The Fureys)가 리메이크하였다.[9] 정확히는 리버풀에 가서 잘난 척하며 깔보는 영국 사람들을 골웨이 패거리와 다굴놓는 것까지.[10] 클랜시 브라더스의 경우 1963년도에 나온 라이브 앨범(공연 장소는 카네기 홀)에서 동요 여러 곡을 무려 13분 동안 메들리로 불러서 트랙 하나를 만들었을 정도.[11] 이러한 사고방식은 '비관주의적 낙관주의'(김회권 교수 용어)라 하는 기독교적 사고방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아일랜드인들이 800년 동안 잉글랜드에 맞서 싸운 원동력이라고 풀이할 수도 있다.[12] 힝크슨이라는 성씨는 남편인 헨리 앨버트 힝크슨과 결혼한 후에 붙인 것이다.[13] 단 이것은 멤버 존 시헌(John Sheahan)의 은퇴로 더 이상 이 이름을 쓰지 않는다는 것이고, 나머지 멤버들은 세션맨 하나 불러서 계속 활동한다.[14] 단 이것은 현재 이름을 쓰기 시작한 시점이고, 이 형제 그룹의 큰형인 에디 퓨리와 둘째인 핀바 퓨리는 아직 동생들이 어렸을 때인 1968년부터 이미 듀엣으로 활동하고 있었다.[15] 그야 스코틀랜드도 잉글랜드를 못잖게 싫어한다. 레벨송을 희희낙락하며 부르는 걸 보자면 지금이라도 스코틀랜드가 독립할 것처럼 보인다. 하이랜더들의 포스 덕에 아일랜드처럼 일방적으로 당하지는 않았다지만 스코틀랜드에 있어 잉글랜드는 가장 오래 싸워온 적국이었고, 영연방에 소속된 것도 300년 정도 밖에 안 됐다. 민족적인 구성상으로도 일단은 스코틀랜드도 켈트인들의 땅이고. 실제로 <Wild Rover>나 <The Parting Glass> 같은 곡들은 아일랜드 곡인지 스코틀랜드 곡인지 불분명할 정도이다.[16] 한국에도 널리 알려진 <The Fields of Athenry>가 대표적인데, 유로 2012에서 아일랜드 팬들은 이 곡을 무려 83분 동안 불렀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