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1 04:48:53

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701편 추락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colkeepall>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발생일 1969년 1월 5일
유형 CFIT, 조종사 과실
발생 위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개트윅 공항 동쪽 2.5km 지점 부근
기종 보잉 727-113C
운영사 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기체 등록번호 YA-FAR
출발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프가니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프가니스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카불 국제공항
1차 경유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프가니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프가니스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칸다하르 국제공항
2차 경유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튀르키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튀르키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
3차 경유지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서독|{{{#!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서독}}}{{{#!if 출력 != null
}}}}}}]]
프랑크푸르트 공항
도착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런던 개트윅 공항
탑승인원 승객: 54명
승무원: 8명
사망자 승객: 43명
승무원: 5명
지상: 2명
부상자 승객: 11명
승무원: 3명
지상: 1명
생존자 승객: 11명
승무원: 3명
언어별 명칭
한국어 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701편
영어 Ariana Afghan Airlines Flight 701

1. 개요2. 사고 기체3. 사고 진행
3.1. 전개3.2. 결말
4. 사고 원인5. 사고 이후6. 기타7. 유사 사고8. 둘러보기


1. 개요

1969년 1월 5일, 런던 개트윅 공항에 접근하던 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소속의 B727이 악천후를 뚫고 착륙을 시도하던 도중, '펀힐'(Fernhill)이라 불리던 마을에 추락한 사고. 이 사고로 탑승객 48명, 그리고 비행기가 추락했던 집에 있던 2명, 총 50명이 사망했다.

2. 사고 기체

YA-FAR
파일:Ariana Afghan 701.jpg
사고 몇달 전인 1968년 4분기, 본래 도착했어야 할 개트윅 공항에서 찍힌 YA-FAR
<colbgcolor=#f5f5f5,#2d2f34> 등록번호 YA-FAR
제조사 보잉
기종 보잉 727-113C
기령 1년
생산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시애틀
엔진 프랫 앤 휘트니 JT8D
최초 비행일 1967년 12월 21일
최초 인도 항공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프가니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프가니스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YA-FAR
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도입일 1967년 12월 28일

3. 사고 진행

3.1. 전개

카불에서 영국까지 가던 701편은 중간에 칸다하르, 아타튀르크, 프랑크푸르트를 경유하는 주간 정기 운항편이었다. 운항 거리가 비교적 길었기에 중간에 승무원 교대가 이루어졌는데, 이번 경우에는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공항에 착륙한 후에 이루어졌다. 이 때 기장 '라힘 노우로즈', 부기장 '압둘 자헤르 아타이', 항공 기관사 '무함마드 후세인 포르뮬리'가 개트윅까지의 항공기 운항을 맡게 되었다.

사고기가 오전 12시 38분에 프랑크푸르트에서 이륙하여 개트윅으로 향하고 있었을 때, 개트윅 부근의 날씨는 전날부터 낀 안개가 여전히 남아 있어 좋지 않았다.[1] 그렇기에 런던 관제는 701편에게 RVR이 100m임을 알렸으며, 기장도 착륙 의사를 밝혔지만 만일의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다른 공항으로의 회항을 미리 허가받고 접근하기 시작했다.

3.2. 결말

랜딩 기어가 내려간 뒤[2], 기장은 항공 기관사에게 '트림 시스템 이상[3] 경고등이 켜지면 경고해 달라'라고 요청했다. 별도로 요청한 이유는 개트윅으로 가기 직전 프랑크푸르트에 접근할 때 같은 이상을 겪었기 때문이다.

사고기가 ILS 활공각에 진입하자 트림 시스템 이상 경고등이 켜졌다. 항공 기관사는 이를 기장에게 경고했고, 기장은 오토파일럿이 기수를 아래로 내린 것을 보고 오토파일럿을 끈 후, 수동으로 조종하고자 했다. 하지만 항공기는 이미 활공 경로 아래로 벗어나 있었고, 이후 플랩을 30도로 내리자 기체가 급강하하기 시작했다. 조종사들은 자신들이 너무 낮은 고도에 있음을 뒤늦게 깨닫고 출력을 최대로 높인 뒤 조종간을 최대한 당겼지만, 이미 사고기는 150ft 상공에 있었으며 하강률 또한 높았기에 사고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사고기는 '펀힐'의 주택 굴뚝과 충돌한 뒤, 텔레비전 안테나와 나무에 부딪혀 우측 날개 일부가 떨어져 나갔다. 이로 인해 사고기는 오른쪽으로 기울기 시작했고, 우측 바퀴가 땅에 닿은 뒤 다시 고도가 올라갔으나 끝내 동체 후미가 다른 주택과 충돌해 그대로 추락했다. 연료 탱크에는 아직도 연료가 많이 남아 있었기에 불이 바로 번져나가기 시작했고, 끝내 사고기와 충돌한 주택을 집어 삼켰다.

동체 후미가 주택과 부딪혔기에, 대부분의 생존자들은 동체 전방에 앉아 있었다. 조종사들 또한 생존하여, 부상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승객 구조에 전념하였다. 하지만 객실 승무원 전원을 포함한 탑승객 48명, 비행기가 충돌했던 주택에 있었던 부부는 그대로 숨졌다.[4]

4. 사고 원인

우선, 기장이 악천후에도 불구하고 개트윅으로 향한 것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도저히 착륙이 불가능하다 싶으면 날씨가 맑은 히스로 공항이나 스탠스테드 공항, 심지어 본래 출발지였던 프랑크푸르트로도 회항이 가능했기 때문이다.[5]

하지만 문제는 접근 과정에 있었다. 활주로까지 15마일(24km) 남았을 때까지는 접근 절차를 올바르게 수행했으나, 6마일(10km) 남았을 때부터 절차 오류가 생기기 시작했다. 랜딩기어는 적절하게 내렸으나, 플랩이 더 빠른 속도에서 15도로 전개되었고, 비행기의 속력 또한 더 높았다. 또한, 절차대로라면 플랩을 25도, 그리고 40도로 펼쳐 접근해야 했지만 이 절차도 누락되었다.

이로 인해 비행기의 공기 저항이 감소했고, 비행기의 속력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를 감지한 오토 파일럿은 비행기를 ILS 활공각에 위치시키기 위해 기수를 계속 내렸다. 그래서 트림 시스템 이상 경고등이 켜졌으며, 조종사들은 이를 오작동으로 잘못 보고 오토 파일럿을 해제했지만 플랩을 제대로 내리지 못한 것을 몰랐기에 문제 상황은 그대로 방치되었다.

이 상황에서 플랩이 30도로 내려가자 하강률이 정상의 2배로 급증했지만, 엔진 출력은 그대로였기에 비행기는 ILS 활공각에서 아래로 이탈하게 된다. 하지만 조종사들은 이 때 창문 밖을 보느라 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고[6], 부기장이 400ft에 있음을 뒤늦게 확인한 뒤 무려 6초 뒤에야 기장이 복행을 시도했다. 조치가 조금만 더 빨리 수행됐더라도 사고를 피할 수 있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상당히 안타까운 일.

5. 사고 이후

사고에서 생존한 사람들은 레드힐과 퀸 빅토리아 등의 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았으며, 사고로 숨진 피해자들의 시신은 임시 영안실로 옮겨졌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당시 아프가니스탄의 국왕이었던 모하마드 자히르 샤에게 조의를 표했다.

사고 당시에 부상자들을 구출했던 경찰관 5명과 지역민 5명, 그리고 승객 1명은 표창을 수여받았다.

6. 기타

이 사고는 개트윅 공항이 개항한 이후로 개트윅 공항 인근에서 발생했던 최악의 항공 사고로 남게 되었다.

7. 유사 사고

8. 둘러보기

역대 영국의 대형 사고 및 참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min-width: 100px; min-height:2em"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0"
발생일<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
[ 201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2019년 10월 23일
39 파일:icon_suffocation.png영국 냉동 컨테이너 집단 사망사건
2017년 6월 14일
72 파일:icon_fire.jpg런던 그렌펠 타워 화재사고
2017년 5월 22일
23 파일:icon_terror.png2017년 맨체스터 경기장 테러
[ 200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2005년 7월 7일
56 파일:icon_terror.png2005년 런던 지하철 폭탄 테러
2004년 2월 7일
23 모어캠 만 참사
2002년 10월 12일
204 23 파일:icon_terror.png2002년 발리 폭탄 테러파일:black_circle.jpg
2001년 9월 11일
2,996 67 파일:icon_terror.png9.11 테러파일:black_circle.jpg
2000년 6월 18일
58 파일:icon_suffocation.png2000년 도버항 밀입국 참사

[ 199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1999년 10월 31일
217 21 파일:icon_plane.jpg이집트 항공 990편 추락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99년 10월 5일
31 파일:icon_rail.png라드브로크 그로브 열차 충돌사고
1999년 9월 28일
26 파일:icon_car.png남아프리카 공화국 영국 관광객 버스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99년 8월 15일
29 파일:icon_terror.png오마 폭탄 테러
1994년 6월 2일
29 파일:icon_plane.jpg1994년 RAF 치누크 추락 사고
1992년 9월 28일
167 36 파일:icon_plane.jpg파키스탄 국제항공 268편 추락 사고파일:black_circle.jpg
[ 198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1989년 8월 20일
51 파일:icon_ship.png마치오네스호 참사
1989년 4월 15일
97 파일:icon_crowd.png힐스버러 참사
1989년 1월 8일
47 파일:icon_plane.jpg브리티시 미들랜드 국제항공 92편 추락 사고
1988년 12월 21일
270 파일:icon_terror.png팬 아메리칸 항공 103편 폭파 사건
1988년 12월 12일
35 파일:icon_rail.png클래펌 정션 열차 충돌사고
1988년 7월 6일
167 파일:icon_fire.jpg파이퍼 알파 화재 사고
1987년 11월 18일
31 파일:icon_fire.jpg런던 킹스 크로스 역 화재사건
1987년 3월 6일
193 파일:icon_ship.png해럴드 오브 프리 엔터프라이즈호 참사파일:black_circle.jpg
1986년 11월 6일
45 파일:icon_plane.jpg1986년 브리티시 인터내셔널 헬리콥터 치누크 추락 사고
1985년 6월 23일
329 27 파일:icon_terror.png에어 인디아 182편 폭파 사건파일:black_circle.jpg
1985년 5월 11일
56 파일:icon_fire.jpg브래드포드 시티 구장 화재
1985년 8월 22일
55 파일:icon_fire.jpg영국항공 투어 328편 화재 사고
1985년 2월 11일
21 파일:icon_car.png랑겐브루크 버스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83년 7월 16일
20 파일:icon_plane.jpg영국 항공 헬리콥터 S-61 추락 사고
1980년 9월 9일
44 파일:icon_ship.png더비셔호 침몰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80년 8월 16일
37 파일:icon_fire.jpg덴마크 플레이스 방화 사건
1980년 4월 25일
146 파일:icon_plane.jpg단 에어 1008편 추락 사고
[ 197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1978년 2월 11일
42 파일:icon_plane.jpg퍼시픽 웨스턴 항공 314편 추락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76년 9월 10일
176 파일:icon_plane.jpg자그레브 상공 공중충돌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75년 5월 27일
32 파일:icon_car.png디블스 다리 버스 추락 사고
1975년 2월 28일
43 파일:icon_rail.png무어게이트역 지하철 충돌사고
1974년 11월 21일
21 파일:icon_terror.png브링엄 펍 폭탄 테러
1974년 6월 1일
28 파일:icon_explosion.png플릭스버러 폭발사고
1974년 3월 3일
346 177 파일:icon_plane.jpg터키항공 981편 추락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73년 8월 2일
50 파일:icon_fire.jpg서머랜드 참사
1973년 4월 10일
108 파일:icon_plane.jpg인빅타 국제항공 435편 추락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72년 7월 5일
30 파일:icon_fire.jpg콜드 하버 병원 화재
1972년 6월 18일
118 파일:icon_plane.jpg브리티쉬 유러피언 항공 548편 추락 사고
1971년 11월 9일
52 파일:icon_plane.jpg영국 공군 허큘리스 추락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71년 10월 21일
22 파일:icon_explosion.png클락스턴 가스 폭발 사고
1971년 1월 2일
66 파일:icon_crowd.png1971년 아이브록스 참사
1970년 7월 3일
112 파일:icon_plane.jpg단 에어 1903편 추락 사고
}}}
[ 196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1969년 1월 5일
50 파일:icon_plane.jpg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701편 추락 사고
1968년 11월 18일
22 파일:icon_fire.jpg제임스 와트 스트리트 화재
1968년 11월 5일
49 파일:icon_rail.png히서 그린 열차 탈선 사고
1967년 2월 26일
21 파일:icon_fire.jpg셀턴 병원 화재
1967년 11월 4일
37 파일:icon_plane.jpg이베리아 항공 062편 추락 사고
1967년 6월 4일
72 파일:icon_plane.jpg스톡포트 비행기 추락 참사
1966년 10월 21일
144 파일:icon_landslide.png애버밴 참사
1966년 7월 31일
31 파일:icon_ship.png다윈호 침몰 사고
1966년 3월 5일
124 파일:icon_plane.jpg영국해외항공 911편 추락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65년 10월 17일
36 파일:icon_plane.jpg브리티시 유러피언 에어워이즈 비커스 951 추락 사고
1965년 7월 4일
41 파일:icon_plane.jpg영국 공군 C.1A 추락 사고
1965년 5월 17일
31 파일:icon_explosion.png1965년 캠브리안 광산 참사
1965년 4월 14일
26 파일:icon_plane.jpgBUA DC-3 추락 사고
1965년 5월 17일
238 파일:icon_explosion.png다라호 폭발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60년 6월 28일
45 파일:icon_explosion.png식스 벨즈 광산 폭발 사고
[ 195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1958년 8월 14일
99 파일:icon_plane.jpgKLM 607-E편 추락 사고
1958년 2월 27일
35 파일:icon_plane.jpg윈터힐 비행기 참사
1958년 2월 6일
23 파일:icon_plane.jpg뮌헨 비행기 참사파일:black_circle.jpg
1957년 12월 4일
90 파일:icon_rail.png루이섬 열차 충돌사고
1957년 11월 5일
45 파일:icon_plane.jpg아퀼라 항공 S.45 추락 사고
1957년 5월 1일
34 파일:icon_plane.jpg이글 항공 비커스 비스카운트 추락 사고
1957년 3월 14일
20 파일:icon_plane.jpg브리티시 유러피안 항공 비커스 701 추락 사고
1957년 3월 5일
20 파일:icon_plane.jpg영국 공군 베버리 C.1 추락 사고
1954년 12월 25일
28 파일:icon_plane.jpg1954년 영국해외항공 보잉 377 추락 사고
1954년 1월 10일
35 파일:icon_plane.jpg영국해외항공 781편 공중분해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53년 5월 2일
43 파일:icon_plane.jpgBOAC 783편 추락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53년 1월 31일
154 파일:icon_ship.png프린세스 빅토리아 호 침몰사고
1953년 1월 15일
26 파일:icon_plane.jpg지중해 상공 공중충돌 사고
1953년 1월 5일
27 파일:icon_plane.jpg1953년 브리티시 유러피언 항공 비커스 610 추락 사고
1952년 12월 5일 ~ 9일
10000~
12000
파일:icon_suffocation.png1952년 런던 그레이트스모그
1952년 10월 2일
112 파일:icon_rail.png해로우 앤 윌드스톤 열차 추돌사고
1952년 9월 6일
31 파일:icon_plane.jpg판버러 에어쇼 추락 사고
1952년 1월 10일
23 파일:icon_plane.jpg에어 링구스 C-47 추락 사고
1951년 12월 4일
24 파일:icon_car.png질링엄 버스 참사
1951년 4월 16일
75 파일:icon_ship.png어프레이 호 침몰 사고
1950년 10월 31일
28 파일:icon_plane.jpg1950년 브리티시 유러피언 항공 비커스 610 추락 사고
1950년 10월 17일
28 파일:icon_plane.jpg브리티시 유러피언 항공 C-47 추락 사고
1950년 3월 12일
80 파일:icon_plane.jpg랜드로우 항공 참사
[ 194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1949년 8월 19일
24 파일:icon_plane.jpg브리티시 유러피언 항공 DC-3 추락 사고
1949년 1월 17일
20 파일:icon_plane.jpg미 공군 B-29 추락 사고
1948년 10월 20일
40 파일:icon_plane.jpgKLS L-049 추락 사고
1948년 7월 4일
39 파일:icon_plane.jpg노스우드 상공 공중충돌 사고
1948년 4월 17일
24 파일:icon_rail.png윈스포드 열차 충돌 사고
1948년 3월 2일
20 파일:icon_plane.jpg사베나 DC-3 추락 사고
1947년 10월 26일
28 파일:icon_rail.png고스윅 열차 탈선 사고
1947년 10월 24일
32 파일:icon_rail.png사우스 크로이던 열차 충돌 사고
1947년 4월 23일
39 파일:icon_ship.png샘탬파호 침몰 사고
1946년 3월 9일
33 파일:icon_crowd.png번든 파크 참사
1946년 1월 1일
20 파일:icon_rail.png리치필드 열차 충돌 사고
1945년 9월 30일
43 파일:icon_rail.png본 엔드 열차 탈선 사고
1945년 9월 14일
21 파일:icon_plane.jpg볼벤터 영국 공군기 추락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45년 6월 15일
27 파일:icon_plane.jpg처치 노웰 미 공군기 추락 사고
1945년 5월 6일
31 파일:icon_plane.jpg미 공군 C-46D 추락 사고
1945년 4월 23일
31 파일:icon_plane.jpg맨 섬 미 공군 B-17 추락 사고
1945년 4월 22일
21 파일:icon_plane.jpg풀벡 영국 공군기 추락 사고
1945년 2월 19일
20+ 파일:icon_plane.jpg질스 다코다 3 추락 사고
1945년 1월 10일
22 파일:icon_rail.png밸리 마카렛 열차 충돌 사고
1944년 11월 27일
70 파일:icon_explosion.png영국 공군 창고 폭발 사고
1944년 8월 23일
61 파일:icon_plane.jpg프렉턴 항공기 참사
1944년 7월 27일
22 파일:icon_plane.jpg미 공군 DC-3 추락 사고
1944년 2월 19일
20 파일:icon_plane.jpg미 공군 DC-4 추락 사고
1943년 7월 3일
20 파일:icon_plane.jpg영국 공군 포커 FXII 추락 사고
1943년 3월 27일
379 파일:icon_explosion.png대셔호 폭발 사고
1943년 3월 3일
173 파일:icon_crowd.png베스널 그린 지하철역 참사
1943년 2월 24일
37 파일:icon_ship.png반달호 침몰 사고
1942년 10월 2일
239 파일:icon_ship.png큐라소호 침몰 사고
1942년 4월 13일
25 파일:icon_attack.png임버 민간인 오사 사건
1942년 1월 1일
57 파일:icon_explosion.png스네이드 광산 참사
1941년 12월 30일
23 파일:icon_rail.png에클스 열차 충돌 사고
1941년 10월 31일
49 파일:icon_fire.jpg허더스 필드 공장 화재
1940년 11월 4일
27 파일:icon_rail.png노턴 피츠워렌 열차 사고

[ 193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1939년 12월 12일
136 파일:icon_ship.png두체스호 침몰사고
1939년 10월 28일
35 파일:icon_explosion.png밸리필드 광산 참사
1939년 6월 1일
99 파일:icon_ship.png테티스호 침몰사고
1937년 12월 10일
35 파일:icon_rail.png캐슬커리 열차 충돌 사고
1937년 7월 2일
30 파일:icon_explosion.png홀디치 광산 참사
1936년 8월 6일
30 파일:icon_explosion.png완클리프 우드무어 광산 참사
1934년 9월 22일
266 파일:icon_explosion.png그레스포드 참사
1932년 1월 26일
60 파일:icon_ship.pngM2호 침몰 사고
1931년 11월 20일
45 파일:icon_structure.png벤틀리 광산 붕괴 사고
1931년 1월 29일
27 파일:icon_explosion.png1931년 헤이그 광산 폭발 사고
1930년 10월 5일
48 파일:icon_plane.jpgR101호 추락사고파일:black_circle.jpg
[ 192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1929년 12월 31일
72 파일:icon_crowd.png글렌 극장 참사
1928년 6월 27일
25 파일:icon_rail.png달링턴 열차 충돌 사고
1923년 9월 25일
40 레딩 광산 침수 사고
1922년 9월 5일
39 파일:icon_explosion.png1922년 헤이그 광산 폭발 사고
1921년 10월 9일
22 파일:icon_ship.png로완호 침몰 사고
1921년 8월 23일
28 파일:icon_plane.jpgR38급 비행선 추락 사고
[ 191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1919년 10월 20일
31 레벤트 광산 사고
1919년 1월 1일
201 ~ 205 파일:icon_ship.png로라일호 침몰 사고
1918년 9월 25일
470 파일:icon_ship.png오틀란토호 침몰 사고
1918년 7월 14일
37 파일:icon_ship.pngUB-65 침몰 사고
1918년 10월 24일
364 파일:icon_ship.png프린세스 소피아호 침몰 사고
1918년 9월 16일
79 파일:icon_explosion.png글래턴호 폭발 사고
1918년 7월 1일
134 파일:icon_explosion.png칠웰 탄약 공장 폭발 사고
1918년 2월 24일
94 파일:icon_ship.png플로리젤호 침몰 사고
1918년 1월 31일 ~ 2월 1일
105 파일:icon_ship.png메이 섬 전투
1918년 1월 12일
155 파일:icon_explosion.png민니 광산 참사
1918년 1월 12일
188 파일:icon_ship.png오팔호 침몰 사고
1917년 7월 9일
843 파일:icon_explosion.png뱅가드호 폭발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17년 6월 13일
43 파일:icon_explosion.png애쉬톤 언더 라인 폭발 사고
1917년 2월 21일
650+ 파일:icon_ship.png멘디호 침몰 사고
1917년 1월 29일
32 파일:icon_ship.pngK13 침몰 사고
1917년 1월 19일
73 파일:icon_explosion.png실버타운 폭발 사고
1917년 1월 19일
30 파일:icon_ship.pngE36호 침몰 사고
1916년 12월 5일
35 파일:icon_explosion.png번보우 탄약 공장 사고
1916년 8월 21일 ~ 24일
40 파일:icon_explosion.png로우 무어 폭발 사고
1916년 4월 2일
115 파일:icon_explosion.png파버샴 공장 참사
1915년 6월 22일
226 파일:icon_rail.png퀸틴스힐 철도 참사
1915년 5월 27일
352 파일:icon_ship.png프린세스 이레네호 침몰 사고
1915년 5월 7일
1198 파일:icon_attack.png루시타니아호 침몰 사건파일:black_circle.jpg
1914년 10월 30일
83 파일:icon_ship.png로힐라호 침몰 사고
1914년 5월 29일
1014 파일:icon_ship.png엠프레스 오브 아일랜드호 침몰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14년 1월 16일
58 파일:icon_ship.pngA7호 침몰 사고
1913년 10월 14일
439 파일:icon_explosion.png셍헤니드 탄광 참사
1912년 7월 9일
91 파일:icon_fire.jpg카데비 광산 참사
1912년 4월 14일 ~ 4월 15일
1514 파일:icon_ship.png타이타닉호 침몰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910년 10월 21일
344 파일:icon_explosion.png프레토리아 광산 참사

[ 1900년대 이전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1909년 2월 16일
168 파일:icon_explosion.png웨스트 스탠리 광산 참사
1908년 10월 27일
29 파일:icon_ship.png야머스호 침몰 사고
1906년 12월 28일
22 파일:icon_rail.png엘리엇 정션 열차 충돌 사고
1906년 7월 1일
43 파일:icon_rail.png세일스버리 열차 충돌 사고
1905년 11월 19일
39 파일:icon_fire.jpg왓슨 스트리트 하숙집 화재
1905년 7월 27일
20 파일:icon_rail.png홀로드 열차 충돌 사고
1905년 3월 10일
33 파일:icon_explosion.png1905년 캠브리안 광산 참사
1903년 1월 27일
52 파일:icon_fire.jpg코니 병원 화재
1902년 4월 5일
25 파일:icon_structure.png1902 아이브록스 참사
1898년 6월 21일
34 파일:icon_ship.png알비온호 진수식 참사
1896년 4월 30일
82 파일:icon_explosion.png펙필드 광산 참사
1892년 8월 26일
112 파일:icon_explosion.png파크 슬립 광산 참사
1888년 9월 5일
63 파일:icon_fire.jpg모리스우드 광산 참사
1887년 9월 5일
186 파일:icon_fire.jpg엑세터 극장 화재
1887년 2월 13일
39 파일:icon_explosion.png와트슨 광산 참사
1887년 5월 23일
73 파일:icon_explosion.png우드스톤 광산 참사
1885년 12월 23일
81 파일:icon_explosion.png마디 광산 폭발 사고
1884년 7월 16일
24 파일:icon_rail.png불하우스 브리지 열차 탈선 사고
1883년 7월 3일
124 파일:icon_ship.png다프네호 참사
1883년 6월 16일
183 파일:icon_crowd.png빅토리아홀 참사
1882년 2월 16일
63 파일:icon_explosion.png트림돈 그랜지 광산 참사
1881년 10월 14일
189 파일:icon_ship.png아이마우스 참사
1879년 12월 28일
59 파일:icon_structure.png테이 브리지 붕괴 사고
1878년 9월 11일
268 파일:icon_explosion.png애버컨 광산 참사
1878년 6월 7일
189 파일:icon_explosion.png우드핏 광산 폭발 사고
1878년 9월 3일
600+ 파일:icon_ship.pngSS 프린세스 앨리스 침몰 사고
1877년 10월 22일
207 파일:icon_explosion.png블랜타이어 광산 참사
1874년 12월 24일
34 파일:icon_rail.png쉬프톤 처웰 열차 탈선 사고
1874년 9월 10일
25 파일:icon_rail.png소프 열차 충돌 사고
1873년 3월 20일
535 파일:icon_ship.pngSS 아틀란틱 침몰 사고파일:black_circle.jpg
1871년 2월 24일
38 파일:icon_explosion.png펜터 광산 폭발 사고
1868년 12월 26일
26 파일:icon_explosion.png퀸핏 광산 폭발 사고
1867년 1월 15일
40 리진트 공원 참사
1866년 12월 12일
361 파일:icon_explosion.png오크스 폭발 사고
1866년 1월 11일
220 파일:icon_ship.png런던호 침몰 사고
1865년 3월 15일
20 파일:icon_fire.jpg벨 스트리트 홀 화재
1865년 1월 16일
20 파일:icon_crowd.png던디 압사 사고
1864년 10월 6일 ~ 7일
53 파일:icon_fire.jpg뉴캐슬 대화재
1864년 3월 11일
244 파일:icon_structure.png데일 디크 저수지 붕괴 사고
1861년 8월 25일
23 파일:icon_rail.png클레이턴 터널 열차 충돌 사고
1853년 10월 20일
30 파일:icon_rail.png하트레이크 참사
1852년 2월 26일
444 ~ 450 파일:icon_ship.png버큰헤드호 침몰 사고
1850년 3월 30일
150+ 파일:icon_ship.png로얄 애들레이드호 침몰 사고
1849년 2월 19일
70 파일:icon_crowd.png로얄 극장 참사
1848년 8월 18일
100+ 파일:icon_ship.png모레이 어선 참사
1846년 7월 9일
39 파일:icon_structure.png이스트 휠 로스 광산 참사
1845년 5월 2일
79 파일:icon_structure.png그레이트 야머스 대교 붕괴사고
1844년 9월 28일
95 파일:icon_explosion.png해스웰 광산 폭발 사고
1838년 7월 4일
26 파일:icon_structure.png휴스카 광산 참사
1812년 5월 25일
92 파일:icon_explosion.png펠링 광산 참사
1808년 9월 20일
23 파일:icon_fire.jpg로얄 오페라 하우스 화재
1807년 11월 19일
400+ 파일:icon_ship.png로치데일호 프린스 오브 웨일스호 충돌 사고
1807년 4월 18일
60 ~ 90 파일:icon_ship.png하위치 페리 참사
1807년 2월 23일
27 ~ 34 파일:icon_crowd.png1807년 뉴게이트 참사
1806년 12월 25일
22 파일:icon_ship.png스톳필드 어선 참사
1806년 3월 16일
400+ 파일:icon_ship.png인빈시블호 침몰 사고
1800년 5월 17일
673 파일:icon_fire.jpg퀸 샬롯호 화재
1727년 9월 8일
80 파일:icon_fire.jpg번웰 인형극 극장 화재
1707년 10월 22일
1400+ 파일:icon_ship.png실리 영국 해군 참사
||



[1] 이 때, 가시거리가 100m에 불과했다. 69년 기준으로 RVR(활주로 시정거리)이 아무리 적어도 600~800m이여야 안전한 착륙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해보면 착륙이 매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2] 이때, 사고기는 이미 ILS 활공각을 이탈하기 시작했다. 조금이라도 더 빨리 인지했다면 이 사고는 막을 수 있었던 셈.[3] 항공기의 기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치가 오작동 등의 원인으로 조종사의 의도를 벗어나는 것을 뜻한다.[4] 지상에서 부상을 입은 1명은 이 부부가 키우던 아기였다.[5] 애초에 안개가 최소 다음 날 오전은 되어야 개어날 것으로 예측되었기에, 암만 기다려도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을 것이다.[6] 이때 조종사들이 등불을 하나 보았는데, 조종사들은 이 등불이 활주로 끝에 설치된 것으로 인식했다. 하지만 이 등불은 활주로 등불이 아니였고, 그 정체는 전혀 다른 곳에 설치된 등불이었다. 이 때문에 조종사들은 자신들이 너무 낮은 곳에 있기는 커녕, 오히려 활공각보다 높게 있다고 착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