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bgcolor=#FFFFFF,#191919><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백솜모카 | 푸크린 | 마임맨 | 해피너스 | 후파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
픽시 | 깜까미 | 큐아링 | 고라파덕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
리자몽 | 괴력몬 | 한카리아스 | 루카리오 | 달코퀸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
망나뇽 | 킬가르도 | 마릴리 | 매시붕 | 마기라스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
핫삼 | 우라오스 | 자시안 | 뮤츠X | 번치코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
따라큐 | 메타그로스 | 갸라도스 | 대여르 | 파라블레이즈 | |
<nopad> | <nopad> | <nopad> | |||
두드리짱 | 스이쿤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
이상해꽃 | 피카츄 | 알로라 나인테일 | 윽우지 | 개굴닌자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
에이스번 | 가디안 | 님피아 | 모크나이퍼 | 두랄루돈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
에브이 | 마폭시 | 글레이시아 | 뮤 | 드래펄트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
샹델라 | 인텔리레온 | 뮤츠Y | 미라이돈 | 카디나르마 | |
<nopad> | <nopad> | ||||
알로라 라이츄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
야도란 | 잠만보 | 암팰리스 | 거북왕 | 맘모꾸리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
요씽리스 | 대로트 | 미끄래곤 | 라프라스 | 블래키 | |
<nopad> | <nopad> | ||||
칠색조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
팬텀 | 앱솔 | 파이어로 | 제라오라 | 두트리오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
조로아크 | 리피아 | 마스카나 | 다크라이 | 가라르 날쌩마 |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매시붕 | 우라오스 | 자시안 | 뮤츠 | 미라이돈 |
<nopad> | <nopad> | |||
칠색조 | 스이쿤 |
| |
스이쿤 | |
난이도 | 중급자용 |
공격 유형 | 특수공격 |
전투타입 | 밸런스형 원거리 |
가격 | |
1. 개요
| ||||
가라르 날쌩마 | → | 스이쿤 | → | 알로라 라이츄 |
Pokémon UNITE의 밸런스형 플레이어블 포켓몬. 포켓몬스터 크리스탈의 타이틀 포켓몬인 스이쿤이다.
1.1. 공식 소개 영상
포켓몬 소개 영상 |
2. 성장 과정
성장 과정 |
|
스이쿤 |
3. 능력치
4. 기술
강화 공격과 모든 기술이 특수공격을 기반으로 하지만, 일반 공격만은 공격을 기반으로 한다.4.1. 일반 공격
|
크리스탈 게이지가 가득 차면 다음 일반 공격이 강화 공격이 된다. 강화 공격은 물을 계속해서 발사하여 데미지를 주고 얼음 상태의 상대편 포켓몬에게는 추가 데미지를 준다.
|
크리스탈 게이지는 5초에 걸쳐 감소하며 게이지 충전 시 가득 차게 된다.
4.2. 특성: 프레셔
|
얼음 상태의 상대 팀의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었을 때 상대 팀의 포켓몬의 HP가 일정 비율 이하라면 즉시 KO 시킨다. 기술을 사용하면 실드 효과를 얻고 크리스탈 게이지를 모은다. 실드 효과는 중첩할 수 있다. (최대 2번) "바다회오리"와 "파도타기"를 사용하면 기술이 통과한 범위를 물로 가득한 에리어로 만든다. 물이 가득한 에리어를 얼렸을 때 에리어 안에 있는 상대편 포켓몬을 얼음 상태로 만든다.
|
4.3. 1·3레벨 선택 기술
4.3.1. 물의파동
|
지정한 방향으로 물의 파동을 발사하여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고 밀쳐낸다. 또한 상대편 포켓몬에게 물에 젖은 마크를 부여한다.
|
4.3.2. 눈사태
|
지정한 장소에 계속해서 눈을 내리게 해 데미지와 감속 효과를 준다. 마지막에 많은 눈을 내리게 해 물로 가득한 에리어를 얼린다. 또한 상대편 포켓몬에게 물에 젖은 마크가 부여되어 있다면 얼음 상태로 만든다.
|
4.4. 5레벨 선택 기술
스이쿤이 5레벨이 되면 1·3레벨에 선택할 수 있는 물의파동을 대체하는 기술을 선택할 수 있다. 11레벨에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4.4.1. 바다회오리
|
지정한 장소에 소용돌이치는 물을 발생시켜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고 소용돌이의 중심으로 끌어온다. 또한 상대편 포켓몬에게 물에 젖은 마크를 부여한다. 이 기술을 다시 사용하면 소용돌이를 지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소용돌이가 통과한 범위를 물이 가득한 에리어로 만든다. 업그레이드 후에는 이 기술의 대기 시간이 짧아진다.
|
바다회오리에 의해 물에 젖은 마크가 부여된 뒤 얼음 상태가 된 상대에게는 마크를 다시 부여할 수 없다.
4.4.2. 파도타기
|
지정한 방향으로 큰 파도를 발생시켜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며 밀쳐내고 물에 젖은 마크를 부여한다. 파도가 통과한 범위를 물이 가득한 에리어로 만든다. "얼어붙은바람"으로 만들어진 고드름에 파도가 명중하면 고드름이 부서지며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준다. 업그레이드 후에는 이 기술로 주는 데미지가 증가한다.
|
4.5. 7레벨 선택 기술
스이쿤이 7레벨이 되면 1·3레벨에 선택할 수 있는 눈사태를 대체하는 기술을 선택할 수 있다. 13레벨에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4.5.1. 냉동빔
|
지정한 방향으로 차가운 빔을 발사하여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와 감속 효과를 준다. 상대편 포켓몬에게 물에 젖은 마크가 부여되어 있다면 얼음 상태로 만든다. 물로 가득한 에리어에 이 기술이 명중하면 물로 가득한 에리어가 얼어붙는다. 기술은 최대 2번까지 충전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후에는 이 기술이 명중했을 때 감속 효과가 강해진다.
|
4.5.2. 얼어붙은바람
|
지정한 장소로 차가운 냉기를 내뿜어 상대편 포켓몬에게 감속 효과를 준다. 냉기가 모이면 고드름을 만들어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와 감속 효과를 준다. 시간이 지나면 고드름은 부서지며 주변에 있는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준다. 고드름이 물이 가득한 에리어에 나타나면 물이 가득한 에리어를 얼어붙게 만든다. 기술은 최대 2번까지 충전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후에는 이 기술의 대기 시간이 짧아진다.
|
4.6. 유나이트 기술: 무진빙극
|
이 기술은 자신이 행동 불가일 때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할 때 자신이 받고 있는 상태 이상을 회복한다.[4] 지정한 방향에 무수히 많은 얼음 가시를 만들어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고 얼음 상태로 만든다. 시간이 지나면 얼음 가시가 부서지며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준다. 습득 레벨 9레벨
|
5. 역사
2025년 3월 1일 이후
스이쿤이 출시되었다.
1.18.1.4 패치 이후 / 2025년 3월 19일
바다회오리
대기 시간:
6.5초 →
7.5초 / 너프
냉동빔
기술 횟수 회복 시간:
5초 →
6초 / 너프
대기 시간:
기술 횟수 회복 시간:
6. 평가
긴 사거리에서 날리는 광역 딜링, 하드 CC기와 처형 능력으로 견제 능력이 매우 뛰어나며 접근하는 적을 받아치는 상황과 아군과 함께하는 팀파이트에서 가장 강한 성능을 발휘한다. 전설의 포켓몬이라서 원거리 딜러 주제에 체급도 좋은 편이라서 1대1 상황에서도 들어오는 적을 견제하는 정도는 충분히 가능하다. 하지만 메인딜러로써는 화력이 부족하며 기술이 모두 선딜이 있는 편이라서 어느정도는 예측샷을 필요로 한다. 2025년 3월 기준으로는 잠만보와 함께 메타 꼭대기에 있는 1티어 포켓몬이다. 높은 초반 성능을 활용하기 위해 탑이나 바텀 라인으로 가는것이 좋다.6.1. 장점
- 긴 사거리
기존 밸런스형 중 망나뇽과 더불어 유이하게 사거리가 원거리인 포켓몬이다. 2025년 3월 기준 스이쿤의 주 빌드인 바다회오리 · 냉동빔 빌드는 굉장히 긴 사거리에서 안정적으로 광역 데미지 + 하드 CC를 걸 수 있어, 서브딜러 겸 서포터로서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빌드이다. '얼음'이라는 사기 디버프를 원거리에서 쏴대니 근거리 포켓몬은 접근조차 쉽지 않으며, 물몸 암살자가 대놓고 접근하면 한 대도 못 때리고 스이쿤의 기술 한 사이클에 끔살 당할 수 있다.
- 광역 하드 CC
한 번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바다회오리로 표식을 묻히고 표식이 묻은 포켓몬에게 냉동빔을 사용하면 그대로 얼어버린다. 이렇게 강력한 기술을 단일도 아닌 광역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나이트 기술까지 사용하면 더욱 긴 시간동안 기술에 맞은 상대를 망부석으로 만들어버릴 수 있다.
- 게임 내내 항상 높은 밸류
보통 초반이 강력한 포켓몬은 후반이 약하게 설계되어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스이쿤은 초반과 후반 모두 강하다. 초반 기술인 물의파동과 눈사태로 주 기술을 얻기 전부터 넉백, 슬로우, 얼음 상태이상을 모두 걸 수 있으며 데미지도 강하다. 웬만해서는 상대 미드가 갱을 와도 2대 3구도로 버티기가 어렵지 않으며 같은 라이너가 강하다면 오히려 2대 3구도를 이겨버리는 경우도 나온다.
후반에서는 모든 포켓몬들의 데미지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는 만큼 CC 한 번에 승패가 뒤집힐 수 있는데, 스이쿤은 항상 원거리에서 광역 CC를 걸어대는 탓에 상대는 플레이를 소극적으로 할 수밖에 없게 되며, 후반에 부족한 딜은 '처형'능력으로 어느정도 메꿀 수 있다. 아군과 함께 딜을 하게 되면 처형 능력 터트리기가 훨씬 수월해진다. 종합적으로 소규모(초반 라인전)/대규모 한타(후반 오브젝트 한타) 모두 강한 포켓몬이라 게임 내내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 원거리 딜러임에도 높은 체급
전설의 포켓몬이라서 그런지 스탯이 원거리 메이지 치고 높게 설정되어 있다. 그래서 초반 암살자들이 스이쿤을 쉽게 생각하고 진입했다가 높은 스탯과 견제력에 기술이 다 빠져서 잡지 못하고 후퇴하거나 오히려 역관광당하는 그림도 종종 나온다.
6.2. 단점
- 논타겟이면서 은근히 긴 선딜
기술, 강화평타 모두 즉발이 아니라서 플레이어의 손을 타는 편이며 어느정도 예측샷이 필요하다. 상대가 이동기가 많거나 근접하게 거리를 좁힌 상황이면 기술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
- 메인딜러로써는 부족한 딜량
스이쿤의 딜이 약한 건 아니지만, 설계 자체가 광역 CC를 거는 것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딜러로써 활약하기에는 딜량이 모자르다. 사실 스이쿤은 이미 이정도 딜량으로도 메타의 꼭대기에 서 있으며, 현재 성능에 딜까지 쌨으면 밸런스에 큰 문제가 생길 것을 우려하여 딜량을 조정한 것에 가깝다.
7. 운용
초반 성능이 매우 뛰어나서 탑이나 바텀 라인을 가는것이 좋다. 초반이 강한 딜러와 같이 가면 둘이서도 상대를 골까지 압박할 수 있으며, 탱커랑 같이 라인을 갔다면 아군 미드가 갱을 와줬을 때 아주 쉽게 라인을 밀어버릴 수 있다.아군 미드가 갱을 안 오고 상대가 갱을 와도 기술들이 모두 하드 CC를 동반한 광역기이기 때문에 파비코리를 먹기 어렵지 않다.
혼자 뭘 하는 것보다는 꼭 아군과 같이 다니는 것이 좋다. 버스트를 할 만한 딜량도 안 나오고 브루저 이상 체급 포켓몬은 어차피 스이쿤 기술 1사이클로는 못 잡는다.
중후반에는 그냥 아군과 같이 다니면서 들어오는 상대 견제, 한타가 시작되면 바다회오리 - 냉동빔으로 CC기와 딜을 보조해주면 되며, 일반 기술로 상대를 다 못잡았다 싶으면 궁으로 정리해주면 된다. 아군이 밀리기 전에 궁을 써서 스노우볼을 굴리는 것이 좋다. 2~3인궁만 써도 한타는 거의 터졌다고 보면 된다.
배틀 아이템은 부족한 기동성을 보완할 수 있는 스피드업을 쓰는 것이 좋다. 스피드업을 사용하면 카이팅과 도주하기도 훨씬 쉬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