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20:46:42

스이쿤(Pokémon UNITE)

파일:유나이트_포인트.png Pokémon UNITE플레이어블 포켓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FFF,#191919><nopad> 파일:스프라이트_백솜모카.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푸크린.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마임맨.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해피너스.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후파.png
백솜모카 푸크린 마임맨 해피너스 후파
<nopad> 파일:스프라이트_픽시.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깜까미.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큐아링.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고라파덕.png <nopad> 파일:유나이트_스탬프.png
픽시 깜까미 큐아링 고라파덕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리자몽.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괴력몬.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한카리아스.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루카리오.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달코퀸.png
리자몽 괴력몬 한카리아스 루카리오 달코퀸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망나뇽.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킬가르도.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마릴리.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매시붕.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마기라스.png
망나뇽 킬가르도 마릴리 매시붕 마기라스
<nopad> 파일:스프라이트_핫삼.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우라오스.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자시안.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뮤츠.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번치코.png
핫삼 우라오스 자시안 뮤츠X 번치코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따라큐.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메타그로스.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갸라도스.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대여르.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파라블레이즈.png
따라큐 메타그로스 갸라도스 대여르 파라블레이즈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두드리짱.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스이쿤.png <nopad> 파일:유나이트_스탬프.png
두드리짱 스이쿤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이상해꽃.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피카츄.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알로라나인테일.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윽우지.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개굴닌자.png
이상해꽃 피카츄 알로라
나인테일
윽우지 개굴닌자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에이스번.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가디안.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님피아.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모크나이퍼.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두랄루돈.png
에이스번 가디안 님피아 모크나이퍼 두랄루돈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에브이.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마폭시.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글레이시아.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뮤.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드래펄트.png
에브이 마폭시 글레이시아 드래펄트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샹델라.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인텔리레온.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뮤츠.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미라이돈.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카디나르마.png
샹델라 인텔리레온 뮤츠Y 미라이돈 카디나르마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알로라 라이츄.png <nopad> 파일:유나이트_스탬프.png
알로라
라이츄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야도란.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잠만보.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암팰리스.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거북왕.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맘모꾸리.png
야도란 잠만보 암팰리스 거북왕 맘모꾸리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요씽리스.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대로트.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미끄래곤.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라프라스.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블래키.png
요씽리스 대로트 미끄래곤 라프라스 블래키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칠색조.png <nopad> 파일:유나이트_스탬프.png
칠색조
<nopad> 파일:스프라이트_팬텀.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앱솔.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파이어로.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제라오라.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두트리오.png
팬텀 앱솔 파이어로 제라오라 두트리오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조로아크.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리피아.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마스카나.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다크라이.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가라르날쌩마.png
조로아크 리피아 마스카나 다크라이 가라르
날쌩마
}}}}}}}}} ||

파일:유나이트_포인트.png Pokémon UNITE전설의 포켓몬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매시붕.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우라오스.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자시안.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뮤츠.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미라이돈.png
매시붕 우라오스 자시안 뮤츠 미라이돈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칠색조.png <nopad> 파일:스프라이트_스이쿤.png
칠색조 스이쿤
파일:포켓몬유나이트_스이쿤.png
스이쿤
난이도 중급자용
공격 유형 특수공격
전투타입 밸런스형
원거리
가격 파일:에오스_코인.png 15,000
파일:에오스_젬.png 840
1. 개요
1.1. 공식 소개 영상
2. 성장 과정3. 능력치4. 기술
4.1. 일반 공격4.2. 특성: 프레셔4.3. 1·3레벨 선택 기술4.4. 5레벨 선택 기술4.5. 7레벨 선택 기술4.6. 유나이트 기술: 무진빙극
5. 역사6. 평가
6.1. 장점6.2. 단점
7. 운용8. 추천 빌드
8.1. 기본 빌드
9. 홀로웨어10. 기타

1. 개요

파일:유나이트_포인트.png Pokémon UNITE의 72번째 포켓몬
가라르 날쌩마 스이쿤 알로라 라이츄

Pokémon UNITE의 밸런스형 플레이어블 포켓몬. 포켓몬스터 크리스탈의 타이틀 포켓몬인 스이쿤이다.

1.1. 공식 소개 영상

포켓몬 소개 영상

2. 성장 과정

성장 과정
파일:스이쿤유나이트1.png
스이쿤
스이쿤은 게임 내내 진화하지 않는다.

3. 능력치

4. 기술

강화 공격과 모든 기술이 특수공격을 기반으로 하지만, 일반 공격만은 공격을 기반으로 한다.

4.1. 일반 공격

파일:PokeUnite_NormalAttack.png
크리스탈 게이지가 가득 차면 다음 일반 공격이 강화 공격이 된다. 강화 공격은 물을 계속해서 발사하여 데미지를 주고 얼음 상태의 상대편 포켓몬에게는 추가 데미지를 준다.
[ 세부 정보 ]
일반 공격 데미지: 공격의 100%
강화 공격 데미지(4회): 특수공격의 25% + 110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0.25초마다
강화 공격 회당 얼음 상태 상대 대상 추가 데미지: 특수공격의 10% + 44

크리스탈 게이지는 5초에 걸쳐 감소하며 게이지 충전 시 가득 차게 된다.

4.2. 특성: 프레셔

파일:유나이트_스이쿤_프레셔.png
얼음 상태의 상대 팀의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었을 때 상대 팀의 포켓몬의 HP가 일정 비율 이하라면 즉시 KO 시킨다. 기술을 사용하면 실드 효과를 얻고 크리스탈 게이지를 모은다. 실드 효과는 중첩할 수 있다. (최대 2번) "바다회오리"와 "파도타기"를 사용하면 기술이 통과한 범위를 물로 가득한 에리어로 만든다. 물이 가득한 에리어를 얼렸을 때 에리어 안에 있는 상대편 포켓몬을 얼음 상태로 만든다.
[ 세부 정보 ]
즉시 KO: 최대 HP의 15%에 해당하는 트루 데미지 / 상대의 HP가 최대 HP의 10% 이하일 때
데미지(얼음 상태): 특수공격의 25% + 7×(레벨-1) + 100
실드: 특수공격의 50% + 200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5초 · 최대 3회 중첩
크리스탈 게이지 증가: 1스택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5초 · 최대 2스택
물로 가득한 에리어: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5초
물에 젖은 마크: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3초 / 상대가 얼음 상태가 되지 않고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3초 동안 물로 가득한 에리어에 있을 때
물로 가득한 에리어 동결 · 상대 얼음 상태: 물로 가득한 에리어에 "눈사태", "냉동빔", "얼어붙은바람" 사용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1초 후

4.3. 1·3레벨 선택 기술

4.3.1. 물의파동

파일:유나이트_스이쿤_물의파동.png
지정한 방향으로 물의 파동을 발사하여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고 밀쳐낸다. 또한 상대편 포켓몬에게 물에 젖은 마크를 부여한다.

파일:포켓몬유나이트_ranged.png 원거리
파일:포켓몬유나이트_hindrance.png 방해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6초
[ 세부 정보 ]
데미지: 특수공격의 40% + 4×(레벨-1) + 320
밀쳐내기: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0.5초
물에 젖은 마크: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3초

4.3.2. 눈사태

파일:유나이트_스이쿤_눈사태.png
지정한 장소에 계속해서 눈을 내리게 해 데미지와 감속 효과를 준다. 마지막에 많은 눈을 내리게 해 물로 가득한 에리어를 얼린다. 또한 상대편 포켓몬에게 물에 젖은 마크가 부여되어 있다면 얼음 상태로 만든다.

파일:포켓몬유나이트_area.png 범위
파일:포켓몬유나이트_hindrance.png 방해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6초
[ 세부 정보 ]
데미지(3회): 특수공격의 20% + 2×(레벨-1) + 160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1.5초에 걸쳐
데미지(마지막): 특수공격의 30% + 3×(레벨-1) + 240
이동 속도 감소: 이동 속도의 30%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2초

4.4. 5레벨 선택 기술

스이쿤이 5레벨이 되면 1·3레벨에 선택할 수 있는 물의파동을 대체하는 기술을 선택할 수 있다. 11레벨에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4.4.1. 바다회오리

파일:유나이트_스이쿤_바다회오리.png
지정한 장소에 소용돌이치는 물을 발생시켜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고 소용돌이의 중심으로 끌어온다. 또한 상대편 포켓몬에게 물에 젖은 마크를 부여한다. 이 기술을 다시 사용하면 소용돌이를 지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소용돌이가 통과한 범위를 물이 가득한 에리어로 만든다.

업그레이드 후에는 이 기술의 대기 시간이 짧아진다.

파일:포켓몬유나이트_area.png 범위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7.5초
[ 세부 정보 ]
데미지(4회): 특수공격의 18% + 3×(레벨-1) + 93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1초마다
데미지(재배치): 특수공격의 34% + 4×(레벨-1) + 180
물에 젖은 마크: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3초
재사용 가능 제한 시간: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4초
바다회오리+ 대기 시간 감소: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1초

바다회오리에 의해 물에 젖은 마크가 부여된 뒤 얼음 상태가 된 상대에게는 마크를 다시 부여할 수 없다.

4.4.2. 파도타기

파일:유나이트_스이쿤_파도타기.png
지정한 방향으로 큰 파도를 발생시켜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며 밀쳐내고 물에 젖은 마크를 부여한다. 파도가 통과한 범위를 물이 가득한 에리어로 만든다. "얼어붙은바람"으로 만들어진 고드름에 파도가 명중하면 고드름이 부서지며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준다.

업그레이드 후에는 이 기술로 주는 데미지가 증가한다.

파일:포켓몬유나이트_ranged.png 원거리
파일:포켓몬유나이트_hindrance.png 방해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5초
[ 세부 정보 ]
파도타기 데미지: 특수공격의 55% + 4×(레벨-1) + 270
파도타기+ 데미지: 특수공격의 66% + 5×(레벨-1) + 270
파도 준비 시간: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0.75초
물에 젖은 마크: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3초

4.5. 7레벨 선택 기술

스이쿤이 7레벨이 되면 1·3레벨에 선택할 수 있는 눈사태를 대체하는 기술을 선택할 수 있다. 13레벨에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4.5.1. 냉동빔

파일:유나이트_스이쿤_냉동빔.png
지정한 방향으로 차가운 빔을 발사하여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와 감속 효과를 준다. 상대편 포켓몬에게 물에 젖은 마크가 부여되어 있다면 얼음 상태로 만든다. 물로 가득한 에리어에 이 기술이 명중하면 물로 가득한 에리어가 얼어붙는다. 기술은 최대 2번까지 충전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후에는 이 기술이 명중했을 때 감속 효과가 강해진다.

파일:포켓몬유나이트_ranged.png 원거리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6초, 0.5초[1]
[ 세부 정보 ]
데미지: 특수공격의 75% + 5×(레벨-1) + 380
냉동빔 이동 속도 감소: 이동 속도의 20%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2초
냉동빔+ 이동 속도 감소: 이동 속도의 30%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2초

4.5.2. 얼어붙은바람

파일:유나이트_스이쿤_얼어붙은바람.png
지정한 장소로 차가운 냉기를 내뿜어 상대편 포켓몬에게 감속 효과를 준다. 냉기가 모이면 고드름을 만들어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와 감속 효과를 준다. 시간이 지나면 고드름은 부서지며 주변에 있는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준다. 고드름이 물이 가득한 에리어에 나타나면 물이 가득한 에리어를 얼어붙게 만든다. 기술은 최대 2번까지 충전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후에는 이 기술의 대기 시간이 짧아진다.

파일:포켓몬유나이트_area.png 범위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5초, 0.5초[2]
[ 세부 정보 ]
데미지: 특수공격의 75% + 3×(레벨-1) + 360
데미지(고드름 부서짐): 특수공격의 30% + 6×(레벨-1) + 180
냉기 발산: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0.5초
이동 속도 감소: 이동 속도의 20%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2초[3]
고드름 파괴: 생성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4초 후
얼어붙은바람+ 대기 시간 감소: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1초

4.6. 유나이트 기술: 무진빙극

파일:유나이트_무진빙극.png
이 기술은 자신이 행동 불가일 때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할 때 자신이 받고 있는 상태 이상을 회복한다.[4] 지정한 방향에 무수히 많은 얼음 가시를 만들어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주고 얼음 상태로 만든다. 시간이 지나면 얼음 가시가 부서지며 상대편 포켓몬에게 데미지를 준다.

파일:포켓몬유나이트_ranged.png 원거리
파일:포켓몬유나이트_hindrance.png 방해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112초
습득 레벨 9레벨
[ 세부 정보 ]
데미지: 특수공격의 100% + 6×(레벨-1) + 500[5]
얼음 가시 파괴: 생성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2초 후

유나이트 기술로 인한 능력 상승 ·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6초
이동 속도 증가: 이동 속도의 30%
대기 시간 감소: 대기 시간의 30%
실드: 최대 HP의 20%

5. 역사

파일:포켓몬유나이트_스이쿤.png

2025년 3월 1일 이후
스이쿤이 출시되었다.

1.18.1.4 패치 이후 / 2025년 3월 19일

파일:유나이트_스이쿤_바다회오리.png 바다회오리
대기 시간: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6.5초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7.5초 / 너프

파일:유나이트_스이쿤_냉동빔.png 냉동빔
기술 횟수 회복 시간: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5초 파일:포켓몬유나이트_cooldown.png 6초 / 너프

6. 평가

긴 사거리에서 날리는 광역 딜링, 하드 CC기와 처형 능력으로 견제 능력이 매우 뛰어나며 접근하는 적을 받아치는 상황과 아군과 함께하는 팀파이트에서 가장 강한 성능을 발휘한다. 전설의 포켓몬이라서 원거리 딜러 주제에 체급도 좋은 편이라서 1대1 상황에서도 들어오는 적을 견제하는 정도는 충분히 가능하다. 하지만 메인딜러로써는 화력이 부족하며 기술이 모두 선딜이 있는 편이라서 어느정도는 예측샷을 필요로 한다. 2025년 3월 기준으로는 잠만보와 함께 메타 꼭대기에 있는 1티어 포켓몬이다. 높은 초반 성능을 활용하기 위해 탑이나 바텀 라인으로 가는것이 좋다.

6.1. 장점

6.2. 단점

7. 운용

초반 성능이 매우 뛰어나서 탑이나 바텀 라인을 가는것이 좋다. 초반이 강한 딜러와 같이 가면 둘이서도 상대를 골까지 압박할 수 있으며, 탱커랑 같이 라인을 갔다면 아군 미드가 갱을 와줬을 때 아주 쉽게 라인을 밀어버릴 수 있다.
아군 미드가 갱을 안 오고 상대가 갱을 와도 기술들이 모두 하드 CC를 동반한 광역기이기 때문에 파비코리를 먹기 어렵지 않다.

혼자 뭘 하는 것보다는 꼭 아군과 같이 다니는 것이 좋다. 버스트를 할 만한 딜량도 안 나오고 브루저 이상 체급 포켓몬은 어차피 스이쿤 기술 1사이클로는 못 잡는다.

중후반에는 그냥 아군과 같이 다니면서 들어오는 상대 견제, 한타가 시작되면 바다회오리 - 냉동빔으로 CC기와 딜을 보조해주면 되며, 일반 기술로 상대를 다 못잡았다 싶으면 궁으로 정리해주면 된다. 아군이 밀리기 전에 궁을 써서 스노우볼을 굴리는 것이 좋다. 2~3인궁만 써도 한타는 거의 터졌다고 보면 된다.

배틀 아이템은 부족한 기동성을 보완할 수 있는 스피드업을 쓰는 것이 좋다. 스피드업을 사용하면 카이팅과 도주하기도 훨씬 쉬워진다.

8. 추천 빌드

8.1. 기본 빌드

9. 홀로웨어

10. 기타



[1] 각각의 스택이 쌓이는 대기 시간이 6초, 냉동빔을 사용한 뒤 다시 사용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0.5초이다.[2] 각각의 스택이 쌓이는 대기 시간이 5초, 얼어붙은바람을 사용한 뒤 다시 사용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0.5초이다.[3] 냉기를 내뿜을 때, 고드름을 만들 때 각각 적용되는 이동 속도 감소 효과다.[4] 상태 이상 회복 후에는 기술이 끊길 수 있으며, 끊길 시 유나이트 기술 게이지의 90%를 돌려받는다.[5] 얼음 가시를 만들 때와 얼음 가시가 부서질 때 각각 들어가는 데미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