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04 06:32:50

성충(백제)


백제 삼충신
성충 흥수 계백

파일:성충.jpg
이름 성충(成忠), 정충(淨忠), 선중(善仲)[1]
성씨 미상[2]
출생 미상
사망 656년 3월
관등 좌평(佐平)
국적 백제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에서

1. 개요

16년 봄 3월에 왕이 궁녀들을 데리고 음란과 향락에 빠져서 술 마시기를 그치지 않으므로 좌평 성충이 적극 말렸더니, 왕이 노하여 그를 옥에 가두었다. 이로 말미암아 감히 간하려는 자가 없었다. 성충은 옥에서 굶주려 죽었는데, 그가 죽을 때 왕에게 글을 올려 말했다. “충신은 죽어도 임금을 잊지 않는 것이니 한 마디 말만 하고 죽겠습니다. 제가 항상 형세의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전쟁은 틀림없이 일어날 것입니다. 무릇 전쟁에는 반드시 지형을 잘 선택해야 하는데 상류에서 적을 맞아야만 군사를 보전할 수 있습니다. 만일 다른 나라 군사가 오거든 육로로는 침현(沈峴)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수군은 기벌포(伎伐浦)의 언덕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십시오. 험준한 곳에 의거하여 방어해야만 방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왕은 이를 명심하지 않았다.
삼국사기》권 제28 <백제본기> 제6 의자왕

백제의 군인, 장군, 관료이자 사망 직전까지 오로지 백제의 영광과 군사력 강화와 영토 팽창만을 위해 일하고 달렸던 충신. 정충(淨忠)이라고도 하며 일본 등씨가전에서는 선중(善仲)으로도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자(이름)였을 가능성이 있다. 의자왕 시대 백제의 대들보 역할을 했던 최고의 지략가이며, 조선상고사에 따르면 대야성을 함락시킨 명장 윤충과 형제이다.

2. 생애

성충의 말을 듣지 않다가 이렇게까지 된 것을 후회한다.
悔不用成忠之言 以至於此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무너뜨리자 내뱉은 한탄. 《삼국사기》에서 발췌.

기록에는 백제의 당시 최고 관직이었던 좌평이었던 것으로 나온다. 의자왕은 타락하기 전까지는 몹시 유능한 성충을 중용하며 매우 아꼈으나, 656년 3월 부로 의자왕이 이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타락하여 정사는 멀리 한 채 사치와 향락에 빠지자 적극적으로 말렸지만, 이에 의자왕이 분노해 끝내 투옥되면서 조정에서 의자왕에게 충언을 하는 자들은 전부 사라지게 된다.

단식하다가[3] 끝내 옥중에서 숨을 거두게 되는데, 사망 직전 자신의 로 의자왕에게 마지막 간언을 지어 올린다[4].
충신은 죽어도 임금을 잊지 않는 것이니 한 말씀 아뢰고 죽겠습니다. 신이 항상 형세의 변화를 관찰하였는데 반드시 전쟁은 일어날 것입니다. 무릇 전쟁에서는 반드시 지형을 잘 살펴 선택해야 하는데 상류에서 적을 맞아야만 나라를 보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일 다른 나라 병사가 오거든 육로로는 침현(沈峴)을 지나지 못하게 하고, 수군은 기벌포(伎伐浦)의 언덕에 들어오지 못하게 하여, 험준한 곳에 의거하여야만 막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의자왕은 이조차 듣지 않았고, 또다른 충신 흥수도 옥중에서 비슷한 간언을 했지만 이 또한 의자왕이 무시해[5] 결국 나당연합군이 쳐들어왔을 때 험한 지형에서 방어하는 대신 벌판에서 막으려다 끝내 참패했고, 의자왕은 뒤늦게 성충의 말을 듣지 않아 이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이 후회스럽다고 탄식했지만, 이미 버스는 지나간 뒤였다.

당시 일본역사서 등씨가전(藤氏家傳)에 나온 평가를 보자면 '신라에는 김유신, 백제에는 성충, 고구려에는 연개소문, 당나라에는 위징과 더불어 당대의 준걸로서 이름을 만리에 진동시켰다'라는 언급이 있다. 즉, 당대에 백제를 대표하는 명신으로 평가받았다는 뜻이다. 기록 부족으로 묻혀서 그렇지 당대 네임드와 어깨를 견주는 위상을 가지고 있던 정치가라고 할 수 있다.

지략이 무척 뛰어나서 단재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서도 그의 비범한 행적이 서술되어 있다. 어린 시절[6] 적국에서 선물로 음식을 보내자 사람들이 기뻐하며 열어보려는데, 적장이 갑자기 선물을 보낸 게 뭔가 수상하다고 생각한 뒤 다 불태우라고 지시하자 그렇게 했는데, 안에는 많은 양의 무서운 땡삐(땅벌)들이 불에 타 죽어 있었고, 그 다음에도 선물이 오자 또 속을 줄 아냐며 불 속에 집어던지려고 하자 이번엔 그냥 열어보게 했는데, 거기엔 폭발물들인 유황과 염초가 들어있었다. 그 다음에도 선물이 오자 이번에는 톱으로 켜게 했는데, 그러자 그 안에서 사람의 비명소리와 함께 핏자국이 나왔다. 그 안에 있던 것의 정체는 칼을 쥔 자객으로, 톱질로 인해 허리가 끊어져 죽어 있었다고 한다. 만일 멋모르고 열었다면 성충은 그 놈에 의해 개죽음을 당하고도 남았을 일.[7]

3. 기타

4. 대중매체에서

백제 최후에 활약한 신하이자 마지막 충신다운 모습을 보이고 사망했기에 당대를 그린 작품에는 거의 빠짐없이 등장한다.
폐하... 신 성충 마지막으로 폐하께 아뢰옵나이다. 신라의 김춘추는 백제에 원한이 많은 인물이옵니다. 머지 않아 그 자는 당나라의 세력을 업고 우리 백제로 올 것이옵니다. 우리 백제는 육지로는 탄현과 바닷길로는 백강의 기벌포를 지키면 능히 한 사람이 일만의 대군을 상대할 수 있을 것이옵니다. 부디 지금이라도 고구려와 동맹을 재삼 확인하며 굳건히 하시고 탄현과 기벌포를 지키시오소서. 그 길만이 9백년 대백제의 사직을 온전하게 보전하는 길이 될 것이옵니다. 폐하! 신 성충이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씀이옵니다. 부디... 부디... 다시 성군의 길을 찾으시오소서!
연개소문 95화 中


[1] 일본 등씨가전의 기록. 백중숙계자(이름)에 많이 쓰였으므로 자가 기록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그는 형제 중 둘째였다는 것이 된다. 마찬가지로 보면 계백의 경우 그가 맏이였다는 뜻이 된다.[2]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서는 백제 왕족과 같은 부여씨로 기록하고 있지만, 다른 사료와 교차되지 않는 부분이라 불명. 다만 좌평에 올랐으므로 왕족 혹은 대성팔족이었을 가능성이 크다.[3] 스스로 단식한 게 아니라 의자왕이 음식을 일절 못 주게 하였다는 설도 있다.[4] 혈서가 아니라 종이에 붓으로 글씨를 썼다는 설도 있다.[5] 다만 완전히 무시했다기보다는 투옥되어 나라에 앙심을 품은 자의 의견이라 믿을 수 없다는 다른 대신들의 상소 때문에 결정을 내리는 게 늦어져서 저렇게 되었다는 추측이 있다. 실제 사료에서 흥수가 간언을 하자 무시하기는커녕 성충과 똑같은 얘기 아니냐면서 빨리 저대로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의자왕이 다급해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 어쨌든 중요한 건 자국에서 손꼽히는 브레인이자 충신 2명이 제시한 작전을 결국 못 써먹었다는 거다.[6] 다만 일설에 의하면 어린 시절이 아니라 중노년 시절이었다는 얘기도 있다.[7] 곽재우임진왜란 당시 이런 비슷한 작전을 썼다는 기록이 있다. 아마 단재 신채호가 참고한 야사의 저자가 곽재우의 전설을 차용하여 성충의 일대기를 지은 것으로 보인다. 신채호는 열정과 달리 가난한 형편으로 인해 정밀한 사료 비평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조선 후기나 구한말에 발간된 야사들이 대거 조선상고사 등에 실리게 되었다.[8] 의자왕 역의 길용우와 성충 역의 김갑수는 현재 같은 후너스엔터테인먼트 소속이다.[9] 언급을 보면 몇 년 동안의 수위나 장마로 인한 변수까지 싹 다 고려한 철두철미한 방어 계획이었다. 권력 불안이라는 이유로 채택 안한 의자왕과 당시 왕당파들이 한심해 보일 지경.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