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퇴역하여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퇴역하여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서울 지하철 전동차/현황 보기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열차번호 · 기타 서울 지하철 열차번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적 전 차량번호) | ||||
1000호대 VVVF 저항 - | 2000호대 VVVF | 3000호대 VVVF - | 4000호대 VVVF(상세) - | ||||
5000호대 | 6000호대 | 7000호대 (상세) | 8000호대 | ||||
9000호대 | UL000호대 | SL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저항 · 초퍼 전동차 상세설명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초저항 | 저항 · 초퍼 | GEC 초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 |||
DL000호대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수도권 전철 3호선 전동차/현황 보기 | |
서울교통공사 | 3000호대 전동차 3000호대 VVVF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 3000호대 전동차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f2023>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Seoul Metro 3000 Series Chopper Control EMU | }}} | |||
외부 | |||||
내부 | |||||
차량 정보 (이적 전)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ef7c1c> 이적 전 시기 | 1983 ~ 1993년 | |||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10량 1편성 / 6량 1편성 | ||||
생산량 | 330량 ( 114량 + 216량)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2호선) | | |||
| |||||
(3호선) | | ||||
| |||||
제작사 | | ||||
| |||||
소유기관 |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 ||||
운영기관 | |||||
차량기지 | | ||||
편성번호 | | }}}}}}}}} | |||
차량 정보 (이적 후) | |||||
<colcolor=#ef7c1c> 이적 후 시기 | 1993 ~ 2022년 | ||||
열차 형식 |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10량 1편성 | ||||
생산량 | 480량 (152량 + 328량) | ||||
운행 노선 | | ||||
도입시기 | | | |||
| |||||
| |||||
| |||||
| |||||
제작사 | | ||||
| |||||
소유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운영기관 | |||||
차량기지 | | ||||
편성번호 | | ||||
최종 퇴역 시기 | 2022년 8월 23일 | ||||
차량 제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ef7c1c> 전장 | 19,500㎜ | |||
전폭 | 3,160㎜ | ||||
전고 | 3,750㎜ | ||||
궤간 | 1,435㎜ | ||||
차중 | Tc | 33.0t | |||
M | 41.8t | ||||
M' | 42.21t | ||||
T | 32.0t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 ||||
운전보안장치 | 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 | ||||
제어방식 | | ||||
동력장치 | (G319AZ형) | ||||
제동방식 | | ||||
최고속도 | 영업 | 90㎞/h | |||
설계 | 100㎞/h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 6M 4T (Tc-M-M'-M-M'-T-T-M-M'-Tc) | }}}}}}}}} |
1. 개요2. 편성3. 상세4. 분류
4.1. 이적 전 (1983~1993)
5. 노후화 문제6. 기타4.1.1. 직각형 GEC 초퍼 (1983~1984, 1991)4.1.2. 광폭형 GEC 초퍼 (1985, 1991~1992)
4.2. 이적 후 (1993~2022)4.2.1. 광폭형 GEC 초퍼 (1984~1985, 1990~1993)4.2.2. 개조형 GEC 초퍼 (2010)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운행되었던 GEC제[4] 초퍼제어 전동차.디자인은 다르지만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에 기초하고, 한국 최초로 하부가 광폭형으로 설계되어 차체 폭이 넓고 출입문이 볼록한 형상이다. 전면부에는 비상탈출용 관통문이 설치되었다.
서울 지하철 3호선의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했고, 2022년 9월 30일자로 모든 편성이 퇴역했다.
2. 편성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조성 | |
<colcolor=#ef7c1c> ↑ 구파발·대화 방면 | |
30## (1) | Tc(운전실) |
31## (2) | M(MG, 공기압축기, 축전지) |
32## (3)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3## (4) | M(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4## (5) | M'(팬터그래프, 제어장치) |
35## (6) | T(무동력객차) |
36## (7) | T(무동력객차) |
37## (8) | M(MG, 공기압축기, 축전지) |
38## (9) | M'(팬터그래프, 제어장치) |
39## (10) | Tc(운전실) |
↓ 삼송·수서·오금 방면 |
- ##의 범위
- 광폭형(일반형): 01~48
- 광폭형(개조형): 16~20, 41~44
- 일부 편성은 앞과 뒤가 바뀌는 경우도 있는데, 차륜 편마모 방지를 위해 지축차량사업소의 방향전환용 루프선, 수서차량사업소의 삼각선으로 이용해서 바뀌었던 것이다. 수서차량사업소에서 수서역 출고선, 오금역 출고선, 3호선 본선을 합쳐 삼각선을 이루게 되어 오금출고-수서입고 또는 수서출고-오금입고 다이아로, 그리고 지축출고-오금입고-수서출고-지축입고 크로스다이아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두, 세 번째 다이아는 오금역에서 수서기지 입고 시 가락시장역 부근에서 평면 교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첫 번째 다이아가 빈도수가 조금 더 높다. 과거 수서~오금 연장 개통 전 수서차량사업소는 삼각선이 없었기 때문에 수서기지 소속은 수서출고-지축입고 다이아로 운행 후 지축차량사업소의 루프선을 이용하여 방향전환 후 지축출고-수서입고 다이아로 운행되었다.[5]
3. 상세
기술적인 사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교통공사 광폭형 GEC 초퍼제어 전동차 문서 참고하십시오.1차분에 해당되는 1984년~1985년에 제작된 광폭형 GEC 초퍼제어 차량은 출입문 내부에 손잡이가 있었지만 3~5차분에 해당되는 1990년부터 1993년에 제작된 차량은 출입문 내부에 손잡이가 없었다.
구 428~434편성에 해당되는 2차분은 1994년에 285~291편성으로 개번하면서 2호선으로 이적되었다. 따라서 3호선에는 2차분이 없다. 또 3차분에 한해서만 창문, 출입문 창틀이 금색 쇠창틀로 적용되었다.
4. 분류
도입 연식 및 창문 사양에 따라 5차로 분류된다.<rowcolor=#ffffff> 분류 | 제어방식 | 도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이적 전 (1983~199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 직각형 (2호선) | ||||
<colbgcolor=#666c71> 3차분 | <colbgcolor=#f7d358>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 <colcolor=#373a3c,#ddd> 1983~1984년 (6량 15편성) | |||
6차분 | 1991년 (4량 6편성) 10량화에 따른 무동력 부수 객차 전량 퇴역 | ||||
광폭형 (3호선) | |||||
1차분 |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 1985년 (6량 25편성) 전량 퇴역 | |||
4차분 | 1991년 (6량 7편성) 순수 6량 증차분 1992년 (4량 6편성) 10량화에 따른 무동력 부수 객차 전량 퇴역 |
이적 후 (1993~2022) | ||
<colcolor=#ffffff> 광폭형 (3호선) | ||
<colbgcolor=#666c71> 1차분 | <colbgcolor=#f7d358>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 1985년 (6량 27편성 + 8량 7편성 + 10량 8편성) 전량 퇴역 |
3차분 | 1990~1991 (10량 6편성) 전량 퇴역 | |
4차분 | 1990~1992년 (4량 27편성) 10량화에 따른 부수 객차 전량 퇴역 | |
5차분 | 1993년 (2량 7편성) 10량화에 따른 무동력 부수 객차 전량 퇴역 |
4.1. 이적 전 (1983~1993)
4.1.1. 직각형 GEC 초퍼 (1983~1984, 1991)
4.1.1.1. 3차분 (1983~1984)
<rowcolor=#ffffff> 구 310편성(현 270편성) |
- 301~315편성(변경 후 261~275편성) (총 6량 15편성)
- 제작사: 대우중공업
- 차량기지: 군자차량사업소
- 운행 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983년~1984년 기준 GEC 초퍼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00A84D> 1983년~1984년 기준 GEC 초퍼 조성(6량)[C]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M) | 5호차 (M') | 6호차 (Tc) | 비고 | |
301편성 | 3001 | 3201 | 3501 | 3203 | 3503 | 3002 | ||
302편성 | 3003 | 3204 | 3504 | 3206 | 3506 | 3004 | ||
303편성 | 3005 | 3207 | 3507 | 3209 | 3509 | 3006 | ||
304편성 | 3007 | 3210 | 3510 | 3212 | 3512 | 3008 | ||
305편성 | 3009 | 3213 | 3513 | 3215 | 3515 | 3010 | ||
306편성 | 3011 | 3216 | 3516 | 3218 | 3518 | 3012 | ||
307편성 | 3013 | 3219 | 3519 | 3221 | 3521 | 3014 | ||
308편성 | 3015 | 3222 | 3522 | 3224 | 3524 | 3016 | ||
309편성 | 3017 | 3225 | 3525 | 3227 | 3527 | 3018 | ||
310편성 | 3019 | 3228 | 3528 | 3230 | 3530 | 3020 | ||
311편성 | 3021 | 3231 | 3531 | 3233 | 3533 | 3022 | ||
312편성 | 3023 | 3234 | 3534 | 3236 | 3536 | 3024 | ||
313편성 | 3025 | 3237 | 3537 | 3239 | 3539 | 3026 | ||
314편성 | 3027 | 3240 | 3540 | 3242 | 3542 | 3028 | ||
315편성 | 3029 | 3243 | 3543 | 3245 | 3545 | 3030 |
4.1.1.2. 6차분 (1991)
- 310~315편성(조성 변경 후 261~263, 270, 272, 275편성) (10량 증결분, 총 4량 6편성)
- 제작사: 대우중공업
- 차량기지: 군자차량사업소
- 운행 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991년에 10량화 된 GEC 초퍼 조성(10량)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00A84D> 1991년에 10량화 된 GEC 초퍼 조성(10량)[C]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M) | 5호차 (M') | 6호차 (T)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310편성 | 3019 | 3228 | 3528 | <colbgcolor=#CCFFFF> 3229 | <colbgcolor=#CCFFFF> 3529 | <colbgcolor=#CCFFFF> 3719 | <colbgcolor=#CCFFFF> 3720 | 3230 | 3530 | 3020 | ||
311편성 | 3021 | 3231 | 3531 | 3232 | 3532 | 3721 | 3722 | 3233 | 3533 | 3022 | ||
312편성 | 3023 | 3234 | 3534 | 3235 | 3535 | 3723 | 3724 | 3236 | 3536 | 3024 | ||
313편성 | 3025 | 3237 | 3537 | 3238 | 3538 | 3725 | 3726 | 3239 | 3539 | 3026 | ||
314편성 | 3027 | 3240 | 3540 | 3241 | 3541 | 3727 | 3728 | 3242 | 3542 | 3028 | ||
315편성 | 3029 | 3243 | 3543 | 3244 | 3544 | 3729 | 3730 | 3245 | 3545 | 3030 |
4.1.2. 광폭형 GEC 초퍼 (1985, 1991~1992)
4.1.2.1. 1차분 (1985)
- 316~340편성(이적 후 316~333, 336~340, 276~277편성) (총 6량 25편성)
- 제작사: 대우중공업
- 차량기지: 지축차량사업소
- 운행 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984~1985년 3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6량)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ef7c1c> 1984~1985년 3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6량)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M) | 5호차 (M') | 6호차 (TC) | 비고 | |
316편성 | 3031 | 3246 | 3546 | 3247 | 3547 | 3032 | ||
317편성 | 3033 | 3248 | 3548 | 3249 | 3549 | 3034 | ||
318편성 | 3035 | 3250 | 3550 | 3251 | 3551 | 3036 | ||
319편성 | 3037 | 3252 | 3552 | 3253 | 3553 | 3038 | ||
320편성 | 3039 | 3254 | 3554 | 3255 | 3555 | 3040 | ||
321편성 | 3041 | 3256 | 3556 | 3257 | 3557 | 3042 | ||
322편성 | 3043 | 3258 | 3558 | 3259 | 3559 | 3044 | ||
323편성 | 3045 | 3260 | 3560 | 3261 | 3561 | 3046 | ||
324편성 | 3047 | 3262 | 3562 | 3263 | 3563 | 3048 | ||
325편성 | 3049 | 3264 | 3564 | 3265 | 3565 | 3050 | ||
326편성 | 3051 | 3266 | 3566 | 3267 | 3567 | 3052 | ||
327편성 | 3053 | 3268 | 3568 | 3269 | 3569 | 3054 | ||
328편성 | 3055 | 3270 | 3570 | 3271 | 3571 | 3056 | ||
329편성 | 3057 | 3272 | 3572 | 3273 | 3573 | 3058 | ||
330편성 | 3059 | 3274 | 3574 | 3275 | 3575 | 3060 | ||
331편성 | 3061 | 3276 | 3576 | 3277 | 3577 | 3062 | ||
332편성 | 3063 | 3278 | 3578 | 3279 | 3579 | 3064 | ||
333편성 | 3065 | 3280 | 3580 | 3281 | 3581 | 3066 | ||
334편성 | 3067 | 3282 | 3582 | 3283 | 3583 | 3068 | ||
335편성 | 3069 | 3284 | 3584 | 3285 | 3585 | 3070 | ||
336편성 | 3071 | 3286 | 3586 | 3287 | 3587 | 3072 | ||
337편성 | 3073 | 3288 | 3588 | 3289 | 3589 | 3074 | ||
338편성 | 3075 | 3290 | 3590 | 3291 | 3591 | 3076 | ||
339편성 | 3077 | 3292 | 3592 | 3293 | 3593 | 3078 | ||
340편성 | 3079 | 3294 | 3594 | 3295 | 3595 | 3080 |
4.1.2.2. 4차분 (1991~1992)
- 341~347편성(이적 후 278~284편성) (총 6량 7편성) - 1991년 도입
- 342~347편성(이적 후 279~284편성) (10량 증결분, 총 4량 6편성) - 1992년 도입
- 제작사
- 차량기지: 지축차량사업소
- 운행 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991년 제작분 3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6량)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ef7c1c> 1991년 도입분 3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6량)[K]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M) | 5호차 (M') | 6호차 (TC) | 비고 | |
341편성 | <colcolor=#ef7c1c> 3081 | <colcolor=#ef7c1c> 3296 | <colcolor=#ef7c1c> 3596 | <colcolor=#ef7c1c> 3297 | <colcolor=#ef7c1c> 3597 | <colcolor=#ef7c1c> 3082 | ||
342편성 | <colbgcolor=#CCFFCC> 3083 | <colbgcolor=#CCFFCC> 3298 | <colbgcolor=#CCFFCC> 3398 | <colbgcolor=#CCFFCC> 3299 | <colbgcolor=#CCFFCC> 3599 | <colbgcolor=#CCFFCC> 3084 | ||
343편성 | 3085 | 3300 | 3600 | 3301 | 3601 | 3086 | ||
344편성 | 3087 | 3302 | 3602 | 3303 | 3603 | 3088 | ||
345편성 | 3089 | 3304 | 3604 | 3305 | 3605 | 3090 | ||
346편성 | 3091 | 3306 | 3606 | 3307 | 3607 | 3092 | ||
347편성 | 3093 | 3308 | 3608 | 3309 | 3609 | 3094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992년 10량 증결된 3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10량)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ef7c1c> 1992년 10량 증결된 3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10량)[K]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M) | 5호차 (M') | 6호차 (T)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비고 | |
342편성 | <colbgcolor=#CCFFCC> 3083 | <colbgcolor=#CCFFCC> 3298 | <colbgcolor=#CCFFCC> 3398 | <colbgcolor=#CCFFCC> 3698 | <colbgcolor=#CCFFCC> 3599 | <colbgcolor=#CCFFCC> 3783 | <colbgcolor=#CCFFCC> 3784 | <colbgcolor=#CCFFCC> 3299 | <colbgcolor=#CCFFCC> 3599 | <colbgcolor=#CCFFCC> 3084 | ||
343편성 | 3085 | 3300 | 3600 | 3400 | 3700 | 3785 | 3786 | 3301 | 3601 | 3086 | ||
344편성 | 3087 | 3302 | 3602 | 3402 | 3702 | 3787 | 3788 | 3303 | 3603 | 3088 | ||
345편성 | 3089 | 3304 | 3604 | 3404 | 3704 | 3789 | 3790 | 3305 | 3605 | 3090 | ||
346편성 | 3091 | 3306 | 3606 | 3406 | 3706 | 3791 | 3792 | 3307 | 3607 | 3092 | ||
347편성 | 3093 | 3308 | 3608 | 3408 | 3708 | 3793 | 3794 | 3309 | 3609 | 3094 |
4.2. 이적 후 (1993~2022)
4.2.1. 광폭형 GEC 초퍼 (1984~1985, 1990~1993)
<rowcolor=#ffffff> 동호대교를 건너는 서울메트로 시절 315편성(구. 415편성)[10] | 수서차량기지의 335편성 |
- 1차 도입분
- 301~333, 336~344편성 (총 6량 42편성) - 1984~1985년 도입
- 316~318, 320, 323, 327~330, 332~333, 336, 338~340편성 (10량 증결분, 총 17편성 46량(323, 328~329, 336, 338~340편성: 2량 7편성 + 316~318, 320, 322, 327, 332~333편성: 4량 8편성)) - 1984~1985년 도입
- 2차 도입분
- 3호선에는 없음((285~291편성(변경 전 428~434편성)[11] (총 6량 7편성) - 1989년 도입)에 해당)
- 3차 도입분
- 334~335, 345~348편성[12] (총 6편성, 58량(334~335, 345~347편성: 10량 5편성 + 348편성: 8량 1편성)) - 1990년 도입
- 348편성 (10량 증결분, 총 2량 1편성) - 1991년 도입
- 4차 도입분
- 301~315, 319, 321, 324~326, 330~331, 337, 341~344편성[13] (10량 증결분, 총 4량 27편성) - 1990~1992년 도입
- 5차 도입분
- 323, 328~329, 336, 338~340편성[14] (순수 10량 증결분, 총 2량 7편성) - 1993년 도입
- 제작사
- 차량소속
- 일반석 구조
-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1985년 서울 지하철 3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한 전동차로, 도입 당시 3호선 전동차는 316편성부터, 4호선 전동차는 401편성부터 차호가 부여되었다. 다만 처음에는 3000호대 차량도 4호선에서 운행하는 등 구분이 엄격하지는 않았다. 당시 차호는 316편성은 3030호대, 401편성은 4000호대였다. 이는 2호선 GEC 초퍼 전동차가 301~315편성으로 부여되었기 때문이었다.
1993~1995년 4호선 4000호대 GEC 초퍼 전동차가 2~3호선으로 이적했다. 이와 함께 2호선 GEC 초퍼 전동차도 261~275편성으로 변경되었다. 4호선의 GEC 초퍼제어 전동차가 2, 3호선으로 이동한 이유는 4호선이 사당역 이남 구간이 연장되었기 때문이다. 과천정부청사, 서울대공원(서울랜드), 과천경마공원 연계 교통 확보와 평촌신도시 건설로 인해 과천선이 생겼고, 금정역 이남은 안산선과 직결운행하면서 산본신도시, 그리고 안산시와 연계되는 광역전철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4호선은 새로운 방식인 VVVF 제어 전동차를 새로 도입하여 운행하는 것이 결정되었고 남은 차량들을 2~3호선 시격 단축 목적으로 이동시킨 것이다. 그렇게 1994년경부터 301~315, 334~335, 341~348편성이 4호선에서 유입되어 총 25편성이 늘어난 48편성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일부 차량의 2호선 양도가 겹치면서 본래 3호선에서 다니던 차량은 316~333, 336~340편성으로 23편성에 불과했다.
1984~1985년산 차량들은 1985~2010년까지 25년 동안 운행했다.
2005년 전에는 제동완해음 소리가 굉장히 시끄러웠으나 그 이후에는 소음기 장착으로 조용해졌다.
1984~1985년 도입분과 1989~1993년(모델명: DEC-07, DEC-12) 도입분은 출입문 개폐 속도에 차이가 있었다.
<rowcolor=#ffffff> 내장재 교체 전 내부[15] (가연재) |
<rowcolor=#ffffff> 335편성 대화 - 수서 구동음 |
4.2.2. 개조형 GEC 초퍼 (2010)
<rowcolor=#ffffff> 서울메트로 시절 구 320편성 | 지축차량기지의 구 318편성 |
<rowcolor=#ffffff> 수서차량기지의 구 341편성 | 동호대교를 건너는 구 343편성 |
초기에는 2호선 광폭형 GEC 초퍼 276~277편성 부수객차 중 T차는 3호선 개조형 GEC 초퍼 전동차의 TC칸으로 개조할 예정이었고 M차는 개조형 GEC초퍼 전동차의 중간객차로 쓰일 예정이었다. 원래 내구연한이 남은 M차 54량, T차 68량 중 M차 2량과 T차 36량이 조기폐차될 예정이었으나 추후 276~277편성 부수객차가 조기폐차로 변경이 되면서 기존 3호선 GEC초퍼 부수객차 조기폐차 예정이었던 M차 2량과 T차 36량 중 M차 2량과 T칸 4량은 해당 계획에서 빠지게 되었다.
새로 편성하면서 랜덤으로 조합한 탓에 번호를 개번하기 전 어느 편성에서 가져왔는지 알기 꽤 복잡해졌는데, 아래의 조성을 보면 이해할 수 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개조 GEC 초퍼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ef7c1c> 개조 GEC 초퍼 조성 | |||||||||||
개번 전 차호 기준이며, 빨간색은 부수객차를 운전석으로 개조한 차량이다. 모든 차량이 1990년 이후 제작된 고무창틀 차량이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M) | 5호차 (M') | 6호차 (T)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소속 | |
316편성 | <colbgcolor=#CCFFCC> 3501 | <colbgcolor=#CCFFCC> 3303 | <colbgcolor=#CCFFCC> 3403 | <colbgcolor=#CCFFCC> 3302 | <colbgcolor=#CCFFCC> 3402 | <colbgcolor=#CCFFCC> 3506 | <colbgcolor=#CCFFCC> 3606 | <colbgcolor=#CCFFCC> 3304 | <colbgcolor=#CCFFCC> 3404 | <colbgcolor=#CCFFCC> 3601 | 지축차량사업소 | |
317편성 | 3512 | 3305 | 3405 | 3307 | 3407 | 3513 | 3613 | 3308 | 3408 | 3612 | ||
318편성 | 3523 | 3309 | 3409 | 3310 | 3410 | 3514 | 3614 | 3311 | 3411 | 3623 | ||
319편성 | 3529 | 3301 | 3401 | 3306 | 3406 | 3521 | 3621 | 3321 | 3421 | 3629 | ||
320편성 | 3528 | 3319 | 3419 | 3330 | 3430 | 3515 | 3615 | 3315 | 3415 | 3628 | ||
341편성 | 3536 | 3312 | 3412 | 3313 | 3413 | 3525 | 3625 | 3325 | 3425 | 3636 | 수서차량사업소 | |
342편성 | 3538 | 3314 | 3414 | 3324 | 3424 | 3526 | 3626 | 3326 | 3426 | 3638 | ||
343편성 | 3539 | 3331 | 3431 | 3337 | 3437 | 3541 | 3641 | 3341 | 3441 | 3639 | ||
344편성 | 3540 | 3342 | 3442 | 3343 | 3443 | 3544 | 3644 | 3344 | 3444 | 3640 |
- 344편성 중 무동력차 2량(3544, 3644호)은 2010년에 중간차만 잔존하면서 개번없이 그대로 운행했다.
- 3309, 3409, 3313, 3413, 3513, 3613, 3314, 3414, 3514, 3614는 개조 전에는 CRT 모니터가 없었다가 개조 후에는 CRT 모니터가 장착되었다.
기존 대비 애매하게 개량된 부분이 있어서 영국형 GEC와도 부품이 호환되지 않고, 그 때문에 관리 방법에도 차이가 있다. 다만 보이지 않는 부분이 알게 모르게 약간 개량된 것뿐이었고, 차량의 성능 자체는 1984년 그대로였다. 이에 반입 이후 계속 최후순위 예비차 애물단지 신세였다. 현업에서도 "어차피 10년 쓰고 또 신차로 교체할 거 뭐 이런 걸 개조했냐"는 평이 주를 이루었다.
2020년 12월부터 노후화 및 폐차를 이유로 조성이 일부 변경되었다.
2020년 12월, 317편성의 3017, 3917호와 320편성의 3020, 3920호가 서로 변경되었다.
2021년 2월, 317편성의 3717, 3817호와 318편성의 3318, 3418호가 서로 변경되었다.
2022년 3월, 320편성의 3120~3420호와 344편성의 3144~3444호가 서로 변경되었다.
<rowcolor=#ffffff> 편성 | 교체 시기 | 교체투입된 차량 | 편성제외된 차량 | |
<colcolor=#ef7c1c> 320 | 2020년 | 12월 | 3017, 3917 | 3020, 3920 |
318 | 2021년 | 2월 | 3717, 3817 | 3318, 3418 |
344[344편성] | 2022년 | 3월 | 3120~3420 | 3144~3444 |
5. 노후화 문제
5.1. 퇴역
2009년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가 기존 1984~1985년산 초퍼 차량 대차용으로 도입되면서 2009년 6월부터 지축차량사업소 소속 301편성(2009년 6월 14일 마지막 운행)을 시작으로 폐차 및 부품 해체 작업을 시작했고, 2009년 7월 중순부터 수서차량사업소 소속도 321편성을 시작으로 폐차되기 시작하면서 2010년 9월까지 1984~1985년산 GEC차량이 전부 폐차되었다. 2010년 5월 24일까지 모두 퇴역했지만 사실상 오금으로 연장된 이후부터는 거의 운행에 나오지 않았다. 나오더라도 단다이어나 예비차, 출퇴근 시간대 탄력배차를 위한 증편으로 나오는 정도였다. 매각 업체 계약 지연으로 일부 후기 편성은 한동안 지축차량사업소에 유치되어 있었다.확인되는 기록상으로 3호선의 1차분 GEC 전동차 마지막 운행 기록은 2010년 4월 30일 S3095 열차 수서행으로 운행한 333편성이며, 개조 GEC 전동차는 2022년 4월 14일 S3404열차 구파발행으로 운행한 344편성을 끝으로, 2차분 GEC는 2022년 8월 23일 S3101열차 수서행으로 운행한 345편성을 끝으로 운행하지 않았다.
2009년 철도안전법 개정에 따라 정밀안전진단 시행 결과에 따라 사용기한 연장이 가능해졌고 이에 1990년 제작 영국형 GEC 전동차 6개 편성은 2015년에 폐차되지 않고 2번의 사용기한 연장을 통해 2022년까지 운행했다. 하지만 초퍼 사이리스터 소자를 비롯한 대부분의 주요 부품이 단종된 데다가 신차가 도입되어 2023년을 넘기지 못하고 폐차되었다.
수서차량사업소 배속 전동차도 폐차는 지축차량사업소에서 진행된다. 대다수의 차량들이 제3860열차(수서역 → 구파발역 임시다이아)로 공차회송을 하기도 했지만, 일부 차량들은 수서역에서 행선기에 구파발행을 표시하고 수서발 구파발행으로 달리면서 구파발역까지 마지막 영업 운행을 하며 마지막 손님들을 모신 직후 지축차량사업소의 주공장에서 부품 적출, 이후 폐차되었다.
2009~2010년 대폐차 후로 NH시간대에는 운행을 하지 않아도 될 만큼 개체수가 줄었으며, 이에 평일 RH시간대 단거리 위주로 운행하거나 예비차 또는 비상대기용으로 사용되었다.
대폐차 이후 남은 차량들의 운행 종료 및 폐차 내역은 아래와 같다.
<rowcolor=#ffffff> 연도 | 해당차량 | |
2020년 | 12월 | 320편성 3020호 및 3920호 |
2021년 | 1월 | 317편성 3117~3817호 8칸 |
2월 | 316편성의 10칸, 318편성의 3318, 3418호 | |
4월 | | |
5월 | 348편성 3448, 3848호 316~317편성 | |
11월 | 320편성 | |
12월 | 318편성 10칸(운행종료) | |
2022년 | 2월 | 341~343편성 30칸(운행종료) |
3월 | 319~320, 348편성 30칸(운행종료) | |
4월 | 344편성 10칸(운행종료) | |
5월 | 335편성(5월 2일 운행종료) 320, 344편성(폐차) | |
7월 | 334편성, 347편성(운행종료) | |
9월 | 345편성, 346편성(운행종료) | |
10월 | 345편성, 347편성(폐차) | |
2023년 | 1월 | 334편성, 346편성(폐차) |
- 348편성의 3448호와 3848호도 사용기한 만료로 2021년 2월 임시로 휴차되었다. 다만 318편성은 317편성 부수칸 중 정밀안전진단 기한이 유효한 객차로 조성 변경 이후 운행에 복귀했고, 316~317편성이 진단기한이 만료됨에 따라 예비차 확보를 위해 기존 수서차량사업소 소속이었던 344편성이 2021년 2월 말부터 지축차량사업소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4월 휴차되었던 320편성은 317편성의 Tc와 재조합, 중정비 시행 후 운행에 복귀했다. 동년 11월에는 320편성의 1991년산 객차(2~5호차)가 정밀안전진단이 시행되었다. 2~5호차를 제외한 다른 6칸은 1992년 제작분이라 2022년까지 사용 가능했기에 조성 변경 사항은 없었다.[17]
- 2021년 5월 348편성은 정밀안전진단 시행과 동시에 지축차량기지의 예비차 확보를 위해 지축소속으로 변경되었다.
- 316~317편성은 지축소속 개조 GEC 전동차 중 최초로 폐차되었다.
- 2022년 3월 319~320, 348편성 30칸의 운행 종료로 인해 지축차량사업소 차량 부족으로 335편성이 지축차량사업소로 배속 변경되었으며, 318, 342~343편성이 폐차되었다. 이후 318~319, 341~343, 348편성은 차적에서 삭제되었다.
- 2022년 4월 344편성 10칸의 운행이 종료되면서 개조 초퍼는 더 이상 운행하지 않았다. 동년 5월 320편성과 344편성이 폐차되면서 개조 GEC 초퍼는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사실상 차적이 삭제된 셈이며, 이후 335편성마저 차적에서 삭제되었다.
- 2022년 5월에는 이전까지 그나마 다녔던 초퍼제어 전동차들마저도 운행을 거의 하지 않거나 한 대 정도 짧게만 운행했다. 이미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들이 2/3 이상 다녀서 특수한 상황을 빼면 운행하지 않았다.
- 2022년 6월 이후로는 거의 기지에서만 방치되어 있어 사실상 퇴역 수순을 밟는 정도였다. 그 탓에 폐차 직전 초퍼를 보기 위해 수서기지로 가는 철도 동호인도 있었다. 사실상 운행은 종료되었지만 퇴역은 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 그러나 신 347, 348편성의 대차 문제로 운행에 투입이 늦어지자 구 345, 346편성이 7월 말 ~ 8월 말까지 퇴역을 앞두고 계속 단다이아 운행에 투입되어 운행했다. 하지만 하루 한 번 정도로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는 탓에 우연의 일치로만 볼 수 있었다. 9월에는 두 편성 모두 한 번도 투입되지 않고 있다가 9월 30일을 끝으로 사용 중지되면서 전 편성이 퇴역했다. 2022년 8월 23일 S3101(구파발→수서) 열차로 운행한 345편성이 마지막 운행이었다. 파란색 일색이던 3호선 초퍼제어 전동차의 운행중지와 함께 수도권 전철 3호선에 운행 중인 열차의 도색이 개통 37년만에 노선 색상인 주황색으로 단일화되었다.
5.2. 보존
1차 생산분 초기 편성 중 301편성(반입 당시 4호선 401편성)은 당시 서울메트로에서 신정차량기지 보관을 거쳐 후에 설립될 지하철 박물관에 전시할 매우 구체적인 보존 계획이 있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무산되고 결국 폐차 매각반출되었다. 301편성을 비롯한 1984년 제작 전동차들은 4호선 출신에다 내구 연한도 내장재 개조를 발주한 시점으로부터 4~5년밖에 남지 않아, 시트 모켓만 불연재로 교체 후 2009년 퇴역시까지 운행했다.[19]<colbgcolor=#EF7C1C> 마지막까지 운행되었던 구 346편성. 일부 부품을 빼고는 결국 보존없이 폐차되었다. |
1차 생산분인 1984년산 308편성(반입 당시 4호선 408편성) TC 3008호 1량은 퇴역 후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으로 운송되어 2009년부터 2014년까지 극저온실험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다가, 2014년 12월 27일에 제2의 사용 목적을 다하고 인입선을 통해 의왕역 구내로 나와 의왕측선에서 트레일러에 실려 고철로 반출되어 사라졌다. 최후의 내장재 미개조인 가연재 GEC 차량인 셈이다.
1차 생산분에 해당되는 1985년산 차량들 중 일부는 매각반출 후 폐차되지 않고, 2010년에 경기 안성시 삼죽면 마전리 금수원(317,318,319,333편성), 전북 남원시 덕과면 용산리 舊 덕과초등학교 덕과북분교 부지(316, 318, 320편성), 경북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舊 길안초등학교 묵계분교 부지(316, 340, 341, 343, 344편성)세 군데[20]로 나뉘어 보존을 위해 운송되었으나, 금수원 부지와 덕과초교 부지는 세월호 이후 점진적으로 모두 철거되어 현재 3호선출신 차량은 금수원에 3833호 단 1량밖에 남아있지 않고, 묵계초교 부지는 아직 철거된 전동차 없이 현재도 약 20량 가량이 대차를 포함하여 보존 중이나, 서울메트로 공식 블로그에 올라왔던 해당 차량들의 반출운송 과정 사진을 미루어 볼 때, 대차는 이미 산소절단 등으로 분리되었고, 보존된 위치에서는 단순히 대차 위에 얹어만 놓은 것으로 보인다.
2차 생산분에 해당되는 1990년산 제작 차량인 335편성(반입 당시 4호선 440편성)의 TC 3035호 1량은 2022년 퇴역 후 개인이 구매하여 경기도 양평군에 차체가 원형 보존되었다. 이 차량은 현재 미디어 촬영용으로 대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고, 차량 소유주 측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CCTV와 보안장치가 가동중이니, 절대로 접근 및 출입하지 말 것을 당부했으며, 단순 철도 동호인들의 개인적인 촬영목적의 방문은 받지 않는다고 한다. 2,3호선 전체 GEC차량을 통틀어 1990년산 금속창틀이 적용되었던 일부 차량들 중 유일하게 보존된 차량이다.
개조분에 해당되는 차량들은, 선두칸은 전량 매각 및 폐차반출 후에도 추가적인 보존 없이 해체된 것으로 보이며, 해당건을 낙찰했던 업체 중 한 곳의 로드뷰를 찾아보면 이례적으로 차체와 하부기기, 상부기기 및 팬터그래프를 분리하지 않고 온전한 모습으로 실려간 개조316편성의 모습이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개조316편성의 원형매각 또는 보존을 시도했거나 시도하려고 했으나 어떠한 이유로든 무산되고 나중에는 결국 해체한 것으로 보인다. 선두칸 이외에는 개조341편성의 부수칸 1량이 해당 사업장에 현재도 잔존중이며, 개조317편성의 부수칸 3량 정도가 주소만 다른 경상북도 김천시 인근의 같은 계열사 사업장 내부에 보존된 것을 트럭 기사가 확인했다.[21]
현재 남아있는 3000호대 GEC 전동차는 금수원에 1량, 안동 폐교에 약 20량(선두칸 9량), 양평 세트장에 1량(선두칸), 고철업체에 아직 해체되지 않은 차량 약 4량으로, 총 약 26량(선두칸 10량) 정도가 보존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동태보존 형식으로는 아쉽게도 단 한 대도 남지 않게 되었다.
1990년대와 2000년~2010년대까지만 해도 이 열차는 3호선의 상징이고 얼굴이었다. 2호선과 마찬가지로 이제는 VVVF 차량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다만 그래도 2022년까지 운행을 해서 아직도 해당 자료나 사진으로는 많이 찾아볼 수 있다.
6. 기타
<rowcolor=#ffffff> 열차번호 표시기 미개조 차량 | 열차번호 표시기 개조 차량 |
2002년 차내 천장에 CRT 모니터를 설치해 엠튜브(現 한국이동방송) 사에서 이동방송을 내보냈는데, 초창기에는 한일 월드컵 중계방송을 객실 내에서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했다가[22] 이후에는 인기 드라마를 틀어주는 등 좋은 평가를 얻었다. 단, 구 309, 313~314, 318편성에는 설치되지 않았으며, 운행 말기에는 주로 서울교통공사 관련 광고 및 기타 광고 표출 용도로만 사용되다가 광고판에 스티커로 광고를 하거나 송출을 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한국이동방송사와 이동방송의 계약이 만료되었기 때문이다. CRT 모니터가 오래된 탓인지 일부 칸 객실은 뜨지 않는 경우가 있었고, 화면 하단 검은색 바탕에 자막이 뜨지 않을 때도 있었으며, 전자총 고장으로 일부 색이 나오지 않거나 화면의 위치가 맞지 않는 곳도 있었다. CRT 모니터는 1차분 VVVF 차량에서 객실 중앙의 LCD 모니터로 계승되어 사용되고 있다.
<rowcolor=#ffffff> LCD 모니터 |
334편성의 3534, 3634호는 일명 '짝짝이 출입문'이 존재했다. 출입문 1개가 고무 패킹으로 되어 있었다. 또 346편성은 3호선 전 차량 중 유일하게 내부디자인 시범 교체 차량으로 키낮이 손잡이가 연두색으로 되어 있었다. 348편성 3448, 3848호는 1991년 한진중공업 제작으로, 유일하게 타 제작사 차량이 끼어있었다.
2011년 중반기에 미개조 차량의 전면부 중앙에 있는 비상문을 수선했다. 서울메트로 로고와 호차번호 형태를 스티커로 바꾸었다.
<rowcolor=#ffffff> 초록색 손잡이 |
<rowcolor=#ffffff> 표시 프로그램 오류로 인해 Windows 10에서 자체적으로 경고 메시지가 표출되었다. |
이 전동차는 한국철도공사 구간 역들의 부역명을 안내하지 않는다.
<rowcolor=#ffffff> 구 302편성 주행 영상(옥수→압구정) |
<rowcolor=#ffffff> 2010년 오금 연장 직후 대화→삼송 안내방송이다. |
2002년 11월 말에 성탄열차가 다닌 적 있다.
퇴역분 중 일부가 공사현장 사무실로 쓰이는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25]
319편성은 2010년 런닝맨 15회에 출연했다.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기 운행 당시 출발 시, 그리고 정차 시 약간의 브레이크 마찰 같은 소리가 났었고, 제동완해음도 워낙에 컸었다. 하지만 소리가 큰 데다가 소음으로 간주되어서 2000년대 중후반쯤 개조해서 더 이상 그런 소리는 나지 않게 되었다.
<rowcolor=#ffffff> 2004년에 촬영된 옥수역에 진입/발차하는 구 306편성.[26] |
6.1. 개번 이력
<rowcolor=#ffffff> 편성 번호 개번 | ||
<rowcolor=#ffffff> 개번 시기 | 개번 전 | 개번 후 |
1993년 | <rowcolor=#00a84d> 301~315편성 | 261~275편성 |
<colcolor=#EF7C1C> 316~338편성 | <colcolor=#EF7C1C> 316~333, 336~340편성 | |
339~347편성 | 276~284편성 | |
424~427편성 | 341~344편성 | |
1994년 | 401~415편성 | 301~315편성 |
1995년 | 436~441편성 | 334~335, 345~348편성 |
6.2. 내장재 불연재화 개조
내장재 개조는 2004년 이후 대부분 차량에 실시되었으나, 1984년 11월 5일부터 1984년 12월 28일까지 도입된 301~314편성까지는 제외되었고, 일부 객차는 시트 재질만 난연재 모켓시트로 교체해 내구 연한이 도래되는 2010년까지 운행하고 폐차되었다. 구 301~309편성의 경우 84년 제작 객차들의 과반수가 시트 재질 교체 없이 도입 당시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2009년부터 퇴역했다. 이들 특징은 주로 과거 4호선에서 운행하다가 3호선 공백 편성을 채웠으며, 각각 1990년대 도입된 4량만 내장재 개조를 실시했다. 당시 손님들은 내장재를 개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트 재질이 푹신하다는 점 특성상 84년식 객차들만 골라 착석하기도 했다.<rowcolor=#ffffff> 구 303편성 |
<rowcolor=#ffffff> 두 대의 GEC 초퍼제어 차량 |
개조를 담당한 회사가 흥일기업, 로윈(現 다원시스)이었는데, 흥일기업은 2009~2010년 대폐차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1990년 도입분 334~335, 345~348편성을 대상으로 실시했고, 나머지는 로윈이 실시했다.
<rowcolor=#ffffff> 분류 | 편성 | 객차번호 |
<colbgcolor=#EF7C1C><colcolor=white> 흥일기업 개조 (2004년) | ||
광폭형 (GEC) | <colcolor=#EF7C1C> 334 | 3034-3134-3234-3334-3434-3534-3634-3734-3834-3934 |
335 | 3035-3135-3235-3335-3435-3535-3635-3735-3835-3935 | |
345 | 3045-3145-3245-3345-3445-3545-3645-3745-3845-3945 | |
346 | 3046-3146-3246-3346-3446-3546-3646-3746-3846-3946 | |
347 | 3047-3147-3247-3347-3447-3547-3647-3747-3847-3947 | |
348 | 3048-3148-3248-3348-3448-3548-3648-3748-3848-3948 | |
로윈 개조 (2005년) | ||
광폭형 (GEC) | 301 | 3301-3401-3501-3601 |
302 | 3302-3402-3502-3602 | |
303 | 3303-3403-3503-3603 | |
304 | 3304-3404-3504-3604 | |
305 | 3305-3405-3505-3605 | |
306 | 3306-3406-3506-3606 | |
307 | 3307-3407-3507-3607 | |
308 | 3308-3408-3508-3608 | |
309 | 3309-3409-3509-3609 | |
310 | 3310-3410-3510-3600 | |
311 | 3311-3411-3511-3611 | |
312 | 3312-3412-3512-3612 | |
313 | 3313-3413-3513-3613 | |
314 | 3314-3414-3514-3614 | |
315 | 3015-3115-3215-3315-3415-3515-3615-3715-3815-3915 | |
316 | 3016-3116-3216-3316-3416-3516-3616-3716-3816-3916 | |
317 | 3017-3117-3217-3317-3417-3517-3617-3717-3817-3917 | |
318 | 3018-3118-3218-3318-3418-3518-3618-3718-3818-3918 | |
319 | 3019-3119-3219-3319-3419-3519-3619-3719-3819-3919 | |
320 | 3020-3120-3220-3320-3420-3520-3620-3720-3820-3920 | |
321 | 3021-3121-3221-3321-3421-3521-3621-3721-3821-3921 | |
322 | 3022-3122-3222-3322-3422-3522-3622-3722-3822-3922 | |
323 | 3023-3123-3223-3323-3423-3523-3623-3723-3823-3923 | |
324 | 3024-3124-3224-3324-3424-3524-3624-3724-3824-3924 | |
325 | 3025-3125-3225-3325-3425-3525-3625-3725-3825-3925 | |
326 | 3026-3126-3226-3326-3426-3526-3626-3726-3826-3926 | |
327 | 3027-3127-3227-3327-3427-3527-3627-3727-3827-3927 | |
328 | 3028-3128-3228-3328-3428-3528-3628-3728-3828-3928 | |
329 | 3029-3129-3229-3329-3429-3529-3629-3729-3829-3929 | |
330 | 3030-3130-3230-3330-3430-3530-3630-3730-3830-3930 | |
331 | 3031-3131-3231-3331-3431-3531-3631-3731-3831-3931 | |
332 | 3032-3132-3232-3332-3432-3532-3632-3732-3832-3932 | |
333 | 3033-3133-3233-3333-3433-3533-3633-3733-3833-3933 | |
336 | 3036-3136-3236-3336-3436-3536-3636-3736-3836-3936 | |
337 | 3037-3137-3237-3337-3437-3537-3637-3737-3837-3937 | |
338 | 3038-3138-3238-3338-3438-3538-3638-3738-3838-3938 | |
339 | 3039-3139-3239-3339-3439-3539-3639-3739-3839-3939 | |
340 | 3040-3140-3240-3340-3440-3540-3640-3740-3840-3940 | |
341 | 3041-3141-3241-3341-3441-3541-3641-3741-3841-3941 | |
342 | 3042-3142-3242-3342-3442-3542-3642-3742-3842-3942 | |
343 | 3043-3143-3243-3343-3443-3543-3643-3743-3843-3943 | |
344 | 3044-3144-3244-3344-3444-3544-3644-3744-3844-3944 |
6.3. 조성 변경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1년 2월 기준 GEC 초퍼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f7c1c><rowcolor=#ffffff> 편성 | 교체투입된 차량 | 편성제외된 차량 |
<colcolor=#ef7c1c> 318 | 3717, 3817 | 3318, 3418 | |
320 | 3017, 3917 | 3020, 3920 |
<colcolor=#ffffff><colbgcolor=#ef7c1c> 2021년 2월 기준 GEC 초퍼 조성 | |||||||||||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타 차량으로부터 편입된 부수객차는 색깔 표시했다. 연두색 바탕은 1990년 이후 제작된 고무창틀 차량이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M) | 5호차 (M') | 6호차 (T)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소속 |
318편성 | <colbgcolor=#CCFFCC> 3018 | <colbgcolor=#CCFFCC> 3118 | <colbgcolor=#CCFFCC> 3218 | <colbgcolor=#CCFFCC> 3717 | <colbgcolor=#CCFFCC> 3817 | <colbgcolor=#CCFFCC> 3518 | <colbgcolor=#CCFFCC> 3618 | <colbgcolor=#CCFFCC> 3718 | <colbgcolor=#CCFFCC> 3818 | <colbgcolor=#CCFFCC> 3918 | 지축 |
320편성 | 3017 | 3120 | 3220 | 3320 | 3420 | 3520 | 3620 | 3720 | 3820 | 3917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022년 3월 기준 GEC 초퍼 조성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f7c1c><rowcolor=#ffffff> 편성 | 교체투입된 차량 | 편성제외된 차량 |
<colcolor=#ef7c1c> 344[344편성] | 3120~3420 | 3144~3444 |
<colcolor=#ffffff><colbgcolor=#ef7c1c> 2022년 3월 기준 GEC 초퍼 조성 | |||||||||||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타 차량으로부터 편입된 부수객차는 색깔 표시했다. 연두색 바탕은 1990년 이후 제작된 고무창틀 차량이다. | |||||||||||
<rowcolor=#ffffff> 편성 / 호차 | 1호차 (TC) | 2호차 (M) | 3호차 (M') | 4호차 (M) | 5호차 (M') | 6호차 (T) | 7호차 (T) | 8호차 (M) | 9호차 (M') | 10호차 (TC) | 소속 |
344편성 | <colbgcolor=#CCFFCC> 3044 | <colbgcolor=#CCFFCC> 3120 | <colbgcolor=#CCFFCC> 3220 | <colbgcolor=#CCFFCC> 3320 | <colbgcolor=#CCFFCC> 3420 | <colbgcolor=#CCFFCC> 3544 | <colbgcolor=#CCFFCC> 3644 | <colbgcolor=#CCFFCC> 3744 | <colbgcolor=#CCFFCC> 3844 | <colbgcolor=#CCFFCC> 3944 | 지축[344편성] |
[1] 341~347편성(10량 증결분 제외)[2] 348편성의 3448, 3848호[3] 2010~2022년 차호[4]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에서 기술이전 생산[5] 정방향으로 운행 중인 348편성(2008.09.15.), 출처: 네이버 블로그[C]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연두색 바탕은 1989년~1990년 제작분인 고무창틀 객차이며 하늘색 바탕은 최창틀 객차, 녹색은 증결분 신조객차, 굵은 글씨체는 전부 3분할 개폐식 창문이 적용된 차량임을 알린다.[C] [K] [K] [10] 2009년 12월 폐차[11] DEC-04[12] DEC-07[13] DEC-07[14] DEC-12[15] 해당 열차는 가연재 당시 녹색 바닥이었기 때문에 4호선에서 운행을 하다가 3호선으로 이적된 차량이다.[344편성] 2022년 소속변경: 수서→지축[17]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18]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19] 관련 게시글: 「ソウル地下鉄3号線」[20] 모두 유병언 사유지이다.[21] 두쪽 다 상부기기와 대차는 없으며 그냥 열차칸만 덩그러니 맨땅에 올려져있는 상태이다.[22] 「[2002년 뉴스]MBC 지하철 3호선 월드컵 경기 생중계」, 출처: 유튜브[23]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24] 관련 게시글: 「3号線イベント列車【2001年】」, 2001년 5월 3일[25] 관련 영상, 출처: 유튜브[26] 서울메트로로 사명이 바뀌기 전인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시절에 운행한 것이다.[344편성] [344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