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16:28:45

빌 브루포드

빌 브루포드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40%, #000 60%, #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border-radius:5px;"
파일:킹 크림슨.png


{{{-2 {{{#!folding [ 전 멤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00%;"
{{{#fff,#ff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png
파일:In the Wake of Poseidon.png
파일:Lizard.jpg
파일:Islands.png
파일:Larks' Tongues in Aspic.jpg

1969

1970

1970

1971

1973
파일:Starless and Bible Black.jpg
파일:external/www.vinileshop.it/King-Crimson-Red-Ristampa-2013-Vinile-lp2.jpg
파일:Discipline 커버.jpg
파일:Beat 커버.png
파일:Three of a Perfect Pair.jpg

1974

1974

1981

1982

1984
파일:THRAK.jpg
파일:The ConstruKction of Light.png
파일:The Power to Believe.jpg

1995

2000

200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000, #24822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파일:예스 로고 반전 2.png


{{{-2 {{{#!folding [ 전 멤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00%;"
{{{#79CAD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external/yesworld.com/1969-yesuk.jpg
파일:external/img.maniadb.com/185023_1_f.jpg
파일:external/img.maniadb.com/185025_1_f.jpg
파일:Fragile 커버.jpg
파일:Close To The Edge.jpg

1969

1970

1970

1971

1972
파일:Tales from Topographic Oceans.jpg
파일:Relayer.jpg
파일:external/amassing2.sakura.ne.jp/19293.jpg
파일:external/img.maniadb.com/149224_f_1.jpg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Yes_-_Drama.jpg

1973

1974

1977

1978

1980
파일:90125.jpg
파일:external/www.progarchives.com/cover_2336419102008.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Yes_-_Union.jpg
파일:Talk.jpg
파일:Keys to Ascension.jpg

1983

1987

1991

1994

1996
파일:Keys to Ascension 2.jpg
파일:Open Your Eyes.jpg
파일:The Ladder.jpg
파일:Magnification.jpg
파일:Fly from Here.jpg

1997

1997

1999

2001

2011
파일:Heaven & Earth.jpg
파일:The Quest.jpg
파일:Mirror to the Sky.jpg

2014

2021

2023
}}}}}}}}}}}}
}}}}}}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드러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16년 가장 위대한 드러머를 선정한 순위다.
1위2위3위4위5위
존 본햄 키스 문 진저 베이커 닐 피어트 할 블레인
6위7위8위9위10위
클라이드 스터블필드 & 존 자보 스타크스 진 크루파 미치 미첼 알 잭슨 주니어 스튜어트 코플랜드
11위12위13위14위15위
베니 벤자민 찰리 와츠 D. J. 폰타나 링고 스타 버디 리치
16위17위18위19위20위
빌 브루포드 테리 보지오 지기 모델리스테 토니 윌리엄스 버나드 퍼디
21위22위23위24위25위
이안 페이스 레번 헬름 엘빈 존스 스티브 갯 얼 팔머
26위27위28위29위30위
대니 케리 데이브 그롤 카마인 어피스 칼튼 바렛 클리프톤 제임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로저 호킨스 제임스 갯슨 토니 앨런 미키 하트 & 빌 크로이츠만 프레드 벨로
36위37위38위39위40위
스티브 스미스 제프 포카로 짐 켈트너 티키 펄우드 잭 디조넷
41위42위43위44위45위
카터 보포드 빌 워드 필 콜린스 제리 앨리슨 빌리 코범
46위47위48위49위50위
데이비드 가리발디 데이브 롬바르도 존 프렌치 비니 콜라이우타 코지 파웰
51위부터는 출처 참고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빌 브루포드
Bill Bruford
파일:빌 브루포드 프로필.jpg
<colcolor=#fff><colbgcolor=#000> 본명 윌리엄 스콧 브루포드
William Scott Bruford
출생 1949년 5월 17일 ([age(1949-05-17)]세)
영국 잉글랜드 켄트주 세븐오크스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직업 드러머, 작곡가, 프로듀서
소속
[ 펼치기 · 접기 ]
메이블 그리어스 토이샵
예스
킹 크림슨

내셔널 헬스
제네시스[1]
U.K.
브루포드
브랜드X
어스워크
앤더슨 브루포드 웨이크먼 하우
무소속
종교 무종교 (무신론)
장르 , 프로그레시브 록, 재즈, 퓨전 재즈
사용 악기 드럼, 전자드럼, 퍼커션
활동 기간 1967년2009년 · 2023년 – 현재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
2.1. 예스 (1968 ~ 1972)2.2. 킹 크림슨 (1972 ~ 1974)2.3. 제네시스, 솔로 활동, U.K. (1974 ~ 1980)2.4. 킹 크림슨, 어스워크스 (1981 ~ 1988)2.5. 은퇴 이후, 현재
3. 음악적 스타일 및 평가
3.1. 사용 악기
4. 여담

[clearfix]

1. 개요

영국프로그레시브 록, 재즈 드러머.

예스의 창립 멤버이자, 킹 크림슨의 중후반기 멤버로 유명하며, 재즈 밴드 어스워크스와 U.K. 패트릭 모라즈와의 솔로 협업등 다양한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2. 생애

1949년 5월 17일 잉글랜드 켄트주 세븐오크스에서 태어났다.

13살 무렵 브루포드는 BBC2의 재즈 TV 시리즈인 Jazz 625에서 미국의 재즈 드러머를 본 후 드럼을 치기로 결심하고, 그 무렵 그의 누나가 생일선물로 드럼 브러쉬를 선물로 주었고, 브루포드는 그의 집 다락방에서 이것으로 악기를 연습하였다. 초반엔 스네어 드럼 하나만 주어졌지만, 점차 드럼 키트를 구성해 갔다고 한다. 브루포드는 훗날 이를 "완벽한 교육"이라고 회상했다.

2.1. 예스 (1968 ~ 1972)

학창시절부터 여러 밴드를 거처간 브루포드는 1968년 멜로디 메이커 잡지에 구인 광고를 통해 존 앤더슨크리스 스콰이어의 연락을 받게 된다.

이들은 훗날 토니 케이, 피터 뱅크스와 함께 예스라는 그룹을 결성했으며, 이후 스티브 하우, 릭 웨이크먼이 가입하면서 Fragile, Close to the Edge로 예스는 음악적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그 사이 브루포드는 Harold Land, Yours Is No Disgrace, Heart of the Sunrise, And You and I 곡 작곡에 기여했으며, 변박을 사용한 35초곡 Five Per Cent for Nothing을 단독 작곡하기도 했다.

밴드에서 그의 역할은 베이시스트 크리스 스콰이어가 종종 고음역에서 베이스를 연주할 때 드럼이 "들리게" 하는 것이었고, 이를 바탕으로 특이한 비트 배치와 여러 박자 기호를 포함하는 스타일을 개발했다

멤버들과 출신, 성향 차이, 음악적 견해차이로 멤버들과 갈등을 겪게되어 1972년 Close to the Edge 레코딩이 끝난 직후 예스를 떠나게 되었다.

2.2. 킹 크림슨 (1972 ~ 1974)

위와 같은 이유로 예스를 떠나게 되어 빌 브루포드는 같은 프로그레시브 록밴드인 킹 크림슨으로 오게 된다.

빌 브루포드의 킹 크림슨 가입에 대한 재밌는 일화가 있는데, 당시 빌 브루포드는 예스와의 음악적 견해차이로 힘들어 하고 있었고 기분전환이나 할겸 친구들과 여행을 했다고 한다. 그러다 갑자기 찾아온 폭우때문에 잠시 몸을 말리려 급하게 음악소리가 들리는 어떤 집에 잠시 들어갔는데 그 집이 바로 로버트 프립의 집이었던 것. 당시 한창 잼 세션 중이었던 프립은 빌과 그의 친구들에게 세션에 같이 참여할 것을 요청했고, 거기서 빌이 드럼을 치는 모습을 보고 감명받은 프립은 빌이 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다음날 전화로 빌에게 멤버로 들어올 것을 제안했다고 한다. 그의 극히 건조하고 절제된 드럼 연주는 중반기 이후 킹 크림슨의 음악과 완벽히 부합한다. 로버트 프립이 두 번째로 오래 붙잡아두고 있던 멤버.

브루포드는 킹 크림슨 초반 같은 멤버로 있던 프리 재즈 성향이 강한 드러머 제이미 뮤어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훗날 뮤어가 Larks' Tongues in Aspic 제작 직후 갑작스럽게 탈퇴 했을때, 브루포드의 드럼 세트에는 뮤어 스타일에 퍼커션 세트가 대폭 추가되었다.

1974년 Starless and Bible BlackRed 발매 이후 더 이상 킹 크림슨 활동의 흥미를 잃은 리더 로버트 프립은 킹 크림슨을 해산 시킨다. 훗날 브루포드는 자신에 연주가 만족스럽게 녹음된 음반중 Red를 뽑기도 했다.

2.3. 제네시스, 솔로 활동, U.K. (1974 ~ 1980)

킹 크림슨 해체 직후 브루포드는 잠시 여러 밴드를 거쳐 활동을 이어갔다.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의 드러머 로리 앨런이 마약소지 문제로 체포 당하면서 그를 대신해 공의 투어에서 드럼을 잠시 연주하기도 했으며, 예스의 전 동료 크리스 스콰이어의 솔로 음반 Fish Out of Water과 싱어 로이 하퍼의 음반 HQ과 제네시스필 콜린스가 참여했던 재즈 퓨전 밴드 Brand X에서 게스트 뮤지션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이를 인연으로 당시 제네시스에서 탈퇴한 피터 가브리엘 대신 드러머 필 콜린스가 리드 보컬을 담당한 첫음반인 A Trick of the Tail의 투어에서 게스트 멤버로 참여했다. 당시 실황은 Genesis : In Concert라는 콘서트 영화로 개봉되었다.

제네시스 투어를 마치고 브루포드는 본격적으로 작곡을 시도하면서 솔로음반을 준비한다. 이 음반엔 기타의 앨런 홀즈워스, 베이시스트 제프 벌린, 키보드 데이브 스튜어트가 참여했으며, 이 네 사람은 함께 뭉쳐서 브루포드의 이름을 딴 브루포드 라는 이름의 풀타임 밴드가 되었는데 , 여기에는 보컬의 애넷 피콕, 플루겔호른을 맡은 케니 휠러 , 리듬 기타를 맡은 존 굿솔 도 포함되어 있었다.

밴드 브루포드의 첫 음반 Feels Good to Me은 1978년 발매되었는데, 평론가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지금까지도 퓨전 재즈 명반으로 인정 받고 있다.

이후 홀즈워스와 함께 킹 크림슨에서 같이 활동했던 존 웨튼, 록시 뮤직 출신 키보디스트 에디 좁슨과 함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U.K.를 결성해서 동명의 음반을 발매 했다. 이 음반은 영국 차트 43위까지 진입했다. 하지만 1집 활동 직후 홀즈워스와 U.K.를 탈퇴했고, 밴드 브루포드의 활동을 제게해서 음반 One of a Kind, Gradually Going Tornado를 발매했다.

2.4. 킹 크림슨, 어스워크스 (1981 ~ 1988)

2.5. 은퇴 이후, 현재

2009년 음악계에서 은퇴를 선언한 이후 자서전을 작성했으며, 2016년에는 서리 대학교에서 음악학 박사학위를 따기도 했으며, 다양한 기사, 책, 라이너 노트를 작성하고, 유럽과 북미의 대학, 각종 음악 기관에서 초대 강의를 다니는 등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다.

2017년 예스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현액되어 시상식에 참석했지만, 따로 수상 소감이나 기념 공연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2021년 들어 공식 유튜브 채널을 개설해서 추가적인 "생각과 일화"와 함께 예스, 킹 크림슨, 어스위크스, 솔로 작업 등등 여러 활동들 부터 레슨 영상들 까지 자료들을 공유하고 있다. 프록 팬이나 브루포드의 팬이라면 한번쯤은 볼 가치가 있으니 들어가 봐도 좋다.

2023년 존 웨튼의 추모 공연에서 특별출연해 공연을 하기도 했으며, 2024년 최근 Pete Roth Trio에 합류하면서 약 15년 만에 라이브 드러머로 복귀하게 되었다.

3. 음악적 스타일 및 평가


최고의 프로그레시브 록 드러머이자 동시에 명실상부한 최고의 드러머중 한명으로 꼽힌다.

브루포드는 가장 영향을 받은 드러머로서 맥스 로치, 아트 블래키, 조 모렐로 그리고 진저 베이커를 언급한 바 있다. 여기서 보여지듯이 그의 스타일은 재즈에 영향을 짙게 받았으며 즉흥연주적인 성향이 짙었다.

그의 드러밍의 가장 큰 특징은 정박과 엇박을 자유롭게 구현하는 특유의 정교하고 절재된 그루브와 파라디들이며 이러한 그의 스타일은 그가 몸담았던 예스킹 크림슨의 음악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브루포드의 이러한 드러밍 방식은 이후 러시닐 피어트, 사운드가든, 펄 잼의 맷 캐머런, 드림 시어터마이크 포트노이, 의 대니 케리등 수많은 후대 드러머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3.1. 사용 악기

빌 브루포드의 스네어 드럼은 다른 드러머들의 연주에선 들을수 없는 독특한 톤을 가지고 있다.[2] 브루포드의 웹사이트에 따르면 드럼이 마이크가 울리기 전 다른 앰프 악기들과 밸런스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인해 꽤 꽉 조율된 스네어의 헤드 중앙과 림 사이의 중간 지점에서 림샷을 두드려 더 많은 울림을 냈다고 한다.

브루포드는 각 연주 마다 다양하고 독특하게 드럼세트을 배치하는것으로 유명하다. 시기 별로 사용된 배치가 궁금하면 그의 공식 웹사이트에 직접 정리한 자료를 참조하라.

1960년대 70년대 초창기 예스, 킹 크림슨시절부터 브루포드는 루드윅 14x 6½ 스네어와 Zildjia, Paiste 심벌과 댜양한 메이커의 드럼을 이용해 왔다. 이후 킹 크림슨 시절 제이미 뮤어에 영향으로 , 우드블록, 토킹 드럼 같은 여러 다양한 특수 타악기들을 사용했다.

1980년대부터 브루포드는 육각형 드럼으로 유명한 Simmons 전자드럼을 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실제 브루포드는 Simmons SDS5를 BBC 방송에서 직접 시연할 정도로 Simmons를 많이 애용했으며, 킹 크림슨의 Waiting Man에서 SDS5를 프로그래밍해 작곡하기도 했다. 이후 1980년대 말 어스워크스나 예스의 재결성인 앤더슨 브루포드 웨이크먼 하우에서는 스네어와 심벌, 공을 제외하고는 모두 Simmons SDX 전자 드럼 키트를 배치할 정도로 광범위하게 사용했다.[3]

하지만 1990년대 후반 브루포드가 킹 크림슨을 탈퇴한 시점 부터 다시 어쿠스틱 드럼 세팅으로 돌아왔다. 브루포드 웹사이트에 따르면 당시 전자 드럼 메이커들이 전문적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전자드럼보단 내장 사운드 위주의 입문용 가정용 전자드럼을 생산한다는 사실에 좌절했으며, 당시 Simmons가 파산했고, 유지 관리 문제와 프로그래밍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고 한다.

4. 여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8
, 3.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1976년 제네시스가 장기 세션 드러머를 구하는 1년 동안 대신 라이브 세션 맴버로 활동했었다.[2] 당장 예스의 명곡 Roundabout만 들어도 그의 독특한 드러밍과 스네어 연주를 느낄수 있다.[3] Simmons SDX는 당시 무려 4만달러나 호가했던 가장 비쌌던 드럼 키트로 Fairlight CMI 같은 샘플러 방식의 거의 유일한 워크스테이션 전자드럼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