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4 22:33:52

보웅

진서(晉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ece5b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기(帝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1권 「선제기(宣帝紀)」 2권 「경제문제기(景帝文帝紀)」 3권 「무제기(武帝紀)」
사마의 사마사 · 사마소(昭) 사마염
4권 「혜제기(惠帝紀)」 5권 「회제민제기(懷帝愍帝紀)」 6권 「원제명제기(元帝明帝紀)」
사마충(衷) 사마치 · 사마업 사마예 · 사마소(紹)
7권 「성제강제기(成帝康帝紀)」 8권 「목제애재폐제기(穆帝哀帝廢帝紀)」
사마연(衍) · 사마악 사마담 · 사마비 · 사마혁
9권 「간문제효무제기(簡文帝孝武帝紀)」 10권 「안제공제기(安帝恭帝紀)」
사마욱 · 사마요 사마덕종 · 사마덕문
※ 11권 ~ 30권은 志에 해당. 진서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6><tablewidth=100%><tablebgcolor=#800080> 31·32권 「후비전(后妃傳)」 ||
[ 재기(戴記) ]
||<tablewidth=100%><tablebgcolor=#800080><width=33%> 101권 「유원해재기(劉元海戴記)」 ||<-2><width=34%> 102권 「유총재기(劉聰戴記)」 ||<width=33%> 103권 「유요재기(劉曜戴記)」 ||
유원해 ,유화 · 유선, 유총 ,유찬 · 진원달, 유요
104 · 105권 「석륵재기(石勒戴記)」 106 · 107권 「석계룡재기(石季龍戴記)」
석륵 ,석홍 · 장빈, 석계룡 ,석세 · 석준 · 석감 · 염민,
108권 「모용외재기(慕容廆戴記)」 109권 「모용황재기(慕容皝戴記)」
모용외 ,배억 · 고첨, 모용황 ,모용한 · 양유,
110권 「모용준재기(慕容儁戴記)」 111권 「모용위재기(慕容暐戴記)」
모용준 ,한항 · 이산 · 이적, 모용위 ,모용각 · 양무 · 황보진,
112권 「부홍등재기(苻洪等戴記)」 113 · 114권 「부견재기(苻堅戴記)」 115권 「부비등재기(苻丕等戴記)」
부홍 · 부건 · 부생 ,왕타, 부견 ,왕맹 · 부융 · 부랑, 부비 · 부등 ,삭반 · 서숭,
116권 「요익중등재기(姚弋仲等戴記)」 117 · 118권 「요흥재기(姚興戴記)」 119권 「요홍재기(姚泓戴記)」
요익중 · 요양 · 요장 요흥 ,윤위, 요홍
120권 「이특등재기(李特等戴記)」 121권 「이웅등재기(李雄等戴記)」
이특 · 이류 · 이상 이웅 ·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122권 「여광등재기(呂光等戴記)」
여광 · 여찬 · 여륭
123권 「모용수재기(慕容垂戴記)」 124권 「모용보등재기(慕容宝等戴記)」
모용수 모용보 · 모용성 · 모용희 · 모용운
125권 「걸복국인등재기(乞伏國仁等戴記)」
걸복국인 · 걸복건귀 · 걸복치반 · 풍발 ,풍소불,
126권 「독발오고등재기(禿髪烏孤等戴記)」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 독발녹단
127권 「모용덕재기(慕容徳戴記)」 128권 「모용초재기(慕容超戴記)」
모용덕 모용초 ,모용종 · 봉부,
129권 「저거몽손재기(沮渠蒙遜戴記)」 130권 「혁련발발재기(赫連勃勃戴記)」
저거몽손 혁련발발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00080><tablebgcolor=#800080> ||
}}} ||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步熊
(? ~ 304)

서진의 인물. 자는 숙비(叔羆). 기주(冀州) 양평군(陽平郡) 발간현(發干縣) 출신.

2. 생애

젊어서부터 점술과 음양오행의 술수를 좋아하였고, 제자들을 매우 많이 두었다. 어느 날, 그의 학당 옆에서 한 사람이 불에 타 죽었는데, 관리가 이를 실화로 의심하여 보웅의 제자들을 잡아들이려 하였다. 이때 보웅이 관리에게 말하길
"이미 경을 위해 범인을 점으로 찾았소. 길 남쪽으로 따라가다 보면 불의 주인을 찾았는지 물어보는 사람이 있을 것이니, 그를 잡도록 하시오."
라고 하였다. 이에 관리가 보웅의 말대로 하니, 실제로 밭을 갈던 사람이 나타나 자백하였다. 그는 풀밭을 태우려고 불을 질렀는데, 갑작스러운 바람으로 인해 멀리까지 불이 번졌던 것이고, 풀밭에 사람이 있을 줄은 몰랐다고 진술하였다.

또 한번은, 이웃의 한 아이가 멀리 여행을 떠났는데, 누군가 그들에게 그 아이가 죽었다고 전해주었다. 그 부모는 슬퍼하며 상복을 입고 통곡했지만, 보웅이 점을 쳐서 그 아이가 정해진 날에 돌아올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서 그 날이 되자, 실제로 아이가 돌아왔다고 한다.

얼마 뒤, 조왕 사마륜이 보웅의 명성을 듣고 그를 소환하였다. 보웅이 제자들에게 말했다.
"조왕은 오래 살지 못할 것이다. 그를 따를 필요는 없다."
이에 사마륜은 분노하여 병사들을 보내 보융의 학당을 여러 겹으로 포위하였다. 보웅은 제자들에게 자신의 겉옷을 입혀, 남쪽으로 도망치게 하고, 자신은 북쪽으로 빠져나가 탈출하였다. 이후 성도왕 사마영이 보웅을 초빙하여 그에게 점을 보게 하였고, 보웅의 점궤는 빗나간 적이 없었다고 한다.

영흥 원년(304년) 12월, 혜제 사마충이 환궁하면서 권력을 잃은 성도왕 사마영은 업(鄴)을 버리고 관중으로 달아났다. 이리하여 업을 진수하게 된 평창공 사마모는 보웅을 사마영의 도당으로 여겨 주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