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2531a2>관련 문서 | 역사 · 계승 · 왕사 · 인물 · 지리 · 경제 · 행정구역 · 문화 · 종교 · 유민 · 부흥운동 |
유적과 유물 | 개심사 · 니콜라예프카 성터 · 상경용천부 · 인계리토성 · 정효공주묘 · 정혜공주묘 · 크라스키노 토성 · 발해왕릉 · 영안 흥륭사 발해석등 | |
관련 틀 | 발해 · 역대 국왕 · 역대 태자 · 역대 재상 · 대외관계 · 대외전쟁 · 무기 · 행정구역 · 교역로 · 고구려 유민 지도자 겸 말갈족 추장 · 부흥운동 · 부흥운동 군주 · 발해/디자인 | }}}}}}}}} |
1. 개요
발해의 불교에 대한 문서이다.2. 상세
발해의 불교는 불교(특히 대승 불교)의 삼보인 불, 법, 승이 전래되어 발전하였다. 불은 부처의 혼과 정신을 뜻하고 법은 부처의 말씀을, 승은 석가모니의 뜻을 앞장서 따르는 승려를 뜻한다. 이러한 불교는 당ㆍ일본ㆍ신라처럼 발해의 사회, 정치, 문화,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끼쳤다.발해 불교는 크게 2가지인 관음신앙(상경)과 법화신앙(동경)으로 나뉘어진다. 관음신앙은 '관세음보살'을 반복해서 염불하고, '화엄경', '법화경' 등 여러 경전을 활용한다. 또한 발해의 수도였던 상경성 주위에서 천여개의 불상이 출토되었다. 법화신앙은 '법화경' 중심의 회삼귀일, 이불병좌상을 만들어 숭배하였고 발해 동경지역에서 이불병좌상이 다수 발견됐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발해에서 불교가 융성하였다는 점은 이미 고구려 때부터 전해져 온 전통이 큰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이미 고구려는 372년, 소수림왕 때 중국 화북 지역에 있었던 5호 16국 중 하나였던 전진을 다스린 부견이 보낸 순도에 의해 불교를 수용하였고, 불교를 실행해 온 고구려의 대조영 집안도 영주로 이주되고 난 이후, 발해 건국까지 불교를 호국이념으로 삼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초기에는 불교를 믿는 사람이 적었으나, 발해 구법승들(석인정,석정소 등)의 당과 일본, 신라, 베트남, 페르시아 등 국제적인 영향을 끼치는 활약에 힘입어 성장했고, 도교와 경교(네스토리우스교)도 전파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