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무용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시대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고려 | 조선 |
종류 | 무척 | 수연장 | ||||
금척 | 헌선도 | |||||
가척 | 한량무 | 몽금척 | ||||
탁무 | 검무 | |||||
부여 무용 | 기악무 | 처용무 | ||||
<colbgcolor=#ffe5e7,#341011>동맹 · 영고 · 무천 · 지서무(지서가) · 호선무 · 광수무 · 고구려무(고려무) · 가지서무 | ||||||
백제 | 백제무악 · 탁무 · 기악무 · 별신제 · 도당굿 · 호선무 | |||||
신라 | 대금무 · 소경무 · 회소가무 · 도솔가무 · 무무 · 검무 · 황창랑무 · 대면무 · 속독무 · 산예무 · 금환무 · 월전무 · 처용무 | |||||
발해 | 발해악 · 발해무(고려무) · 답추 | |||||
고려 | 무고 | |||||
조선 | 처용무 · 공막무 · 고구려무 · 승무 | |||||
현대 | 부채춤 · 오고무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2531a2>관련 문서 | 역사 · 계승 · 왕사 · 인물 · 지리 · 경제 · 행정구역 · 문화 · 종교 · 유민 · 부흥운동 |
관련 틀 | 발해 · 역대 국왕 · 발해 왕실 · 역대 태자 · 역대 재상 · 대외관계 · 대외전쟁 · 무기 · 행정구역 · 교역로 · 고구려 유민 지도자 겸 말갈족 추장 · 부흥운동 · 부흥운동 군주 · 발해/디자인 | |
주요 국왕 | 대조영 · 무왕(발해) · 문왕(발해) · 선왕(발해) | |
주요 전투 | 천문령 전투 · 발해-당 전쟁 · 발해-요 전쟁 · | |
주요 인물 | 걸걸중상 · 장문휴 · 양태사 · 왕효렴 · 배정(발해) · 배구(발해) · 석인정 | |
유적과 유물 | 개심사 · 니콜라예프카 성터 · 상경용천부 · 인계리토성 · 정효공주묘 · 정혜공주묘 · 크라스키노 토성 · 발해왕릉 · 영안 흥륭사 발해석등 | |
기타 | 답추 · 야청도의성 · 자자분 · 홍라녀 녹라녀 전설 · 우성망족 | }}}}}}}}} |
1. 개요
踏鎚발해인들 사이에서 유행하였던 춤. 현재는 그 형태와 모습이 대부분 멸실되었기 때문에 그 모습을 알기 힘들다.
2. 상세
그나마 답추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는데, 이 기록에 따르면 그 모습은 아래와 같다.“세시 때마다 사람들이 모여 노래를 부르며 논다. 먼저 노래와 춤을 잘 하는 사람을 여러 명 앞에 내세우고 그 뒤를 남녀가 따르면서 서로 화답해 노래 부르며 빙빙 돌고 구르는데 이를 답추라 한다”
'契丹國志' 24권. 王沂公行程錄
현재 이와 같은 기록이 전부이지만, 현재 발해와 관련된 기록이 무척이나 적다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이만큼이라도 남아있는 것이 다행인 상황이다. 위의 기록을 통해서 발해의 백성들 사이에서는 춤추고 노래 부르는 집단 무용과 같은 형태가 있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契丹國志' 24권. 王沂公行程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