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5:21:45

/bag/

몰루일레븐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문서:/vg/ League/팀 목록
[include(틀:링크시 주의, 링크=문서:/bag/ 또는 /bag/ 또는 몰루일레븐)]
/bag/ - Blue Archive General
Constant Moderato
파일:Bag_logo.png
팀 아이콘 파일:50px-bag_icon.png
창단연월 2022년 2월
현재순위 16위 (VGL 23)
역대최고순위 3위 (VGL 22)
역대최저순위 26위 (VGL 21)
매니저 Magicscience
주장 I believe in the happy ending
홈구장 Game Development Department Club Room
1. 소개2. 특징3. 로스터
3.1. 현역3.2. 조건부 현역 / 비현역
4. 자체대항전 - Kivotos Halo Festival: Divegrass Cup
4.1. 자체대항전 팀별 상세
5. 주요 기록
5.1. 대회별 전개

[clearfix]

1. 소개

몰루일레븐 중계방
공식 다시보기
유튜브 재생목록[1]

/vg/ League(이하 VGL)에 참가하는 4chan /vg/ 게시판 내 블루 아카이브 쓰레드 및 대표팀.

일명 '몰루일레븐'으로 2023년 경 블갤블챈에 소개되면서 국내에서 가장 먼저 전래된 /vg/ League팀으로 알려져 있다.

VGL 22 이래로 홈 구장은 게임개발부 부실이며[2] VGL 23 기준으로 전용구는 키사키 만주 인형[3]을 사용한다.
유니폼은 홈과 원정 구분 없이 아비도스 자전거복을 1순위로 입으며, 이외에도 엔지니어부 응원복, 트리니티 체육복을 입기도 한다.[4] 그외에 (전)울프섹스, T9백, 나이스 칵, 철도가키 등 전용 의상을 입고 뛰는 선수들도 존재한다.
VGL22 이래로 경기장 입장 시 앤섬은 RE Aoharu이며[5], 경기 승리 시 앤섬은 Dreaming Trip[6]. 팀 범용 골 혼은 게부라 전투 BGM이다.[7]

/akg/, /alg/와 같은 요스타 배급 게임[8]이여서인지 간혹 /akg/나 /alg/와의 경기는 요스타 더비라 칭해지기도 한다. 그리고 같은 한국 게임 출신인 /lcg//nikg/, /esg/와 경기할 때는 채팅창에 한국전 드립이 나오기도 하며 중계진도 화면에 김정은 사진을 띄우거나 경기전 애국가를 틀어주는 등 드립에 동조해준 적도 있다.

2. 특징

전반적으로 공격진이 강세인 VGL 안에서도 공격진과 수비진의 실력차가 큰 팀이다. 포워드로써 보여줄 수 있는 모든걸 보여주는 아쯔이, 연계 및 해결 능력이 우수하며 활약만 하면 아쯔이와 미친 케미를 보여줬던 울프섹스, 가끔하는 뇌절을 제외하면 깔끔한 마무리를 보여주며, 유별나게 팀이 위기에 처했을 때 득점하는 경우가 많은 호니 앤 스투피드, 2022년 시즌 울프섹스와 함께 전방 공격수로 활동했으나 미드필더로 포변하고도 꾸준히 팀에 헌신하는 나이스 칵 등, 격수진은 우승팀들과 견주어도 준수한 팀이지만 언제나 수비가 그걸 다 깎아먹고 있다. T9백의 슈퍼세이브만 믿기엔 센터백 듀오와 수비진의 축구지능과 수비력이 심각하게 낮다는 게 팀의 문제점. 일례로 게헤노이드는 23년 6월 /uma/와의 예선전에서 자책점을 넣고 팀을 패배로 몰아넣는 초대형 실책을 저지르기도 했다. T9백도 나쁜 골키퍼는 아닌데 실점 위기가 너무 많다 보니 결국 커버를 못치고 욕 먹는 경우가 다반사고 결국 24년 6월 VGL22부터는 텐사이 비쇼조 해커에게 주전 골키퍼 자리를 넘겼지만 텐사이 비쇼조 해커 역시 /domg/전에서 무려 5점이나 실점했다.

그리고 토너먼트 라운드에서 몰루일레븐을 꺾은 팀이 우승한다는 징크스가 현재진행형이다. 이는 비단 /bag/뿐만 아니라 후술할 자체대항전에 출전했던 팀들까지도 마찬가지. VGL19 우승팀 /twg/, New Thread Cup 2 우승팀 /ss13g/, VGL21 우승팀 /2hug/, VGL22 우승팀 /gbfg/ 모두 공통점이 /bag/를 잡고 우승했다는 것이다.[9] /twg/는 VGL19 조별 라운드 첫 경기에서 /bag/에 5:0 완승,[10] /ss13g/는 New Thread Cup 2 8강 조별라운드에선 /bag/에 2:1로 졌지만 결승에서 다시 만났을 때 지난 스코어를 반대로 되돌려주었다. /2hug/는 VGL21 16강에서 /bag/에 2:1로 승리, /gbfg/는 후술한 것처럼 /bag/를 4강에서 승부차기 끝에 승리했다. 이렇다 보니 /bag/는 정작 무관팀이면서 남의 팀 유관 만들기의 희생양으로 불리고 있다.

3. 로스터

3.1. 현역

VGL 23 시즌 (2024.12 ~ 2025.05) 기준
<rowcolor=#fff> 주전 예비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닉네임 번호 포지션 닉네임
4 GK T9 Bag, Sensei 8 GK Tensai Bishoujo Hacker
1 RB Bing 3 RB ALLERGY DONOR!
11 LB Shupogaki 22 RB Didn't read
15 CB Jumby 6 RB Pakeji
23 CB Ako fan on /bag/ 18 CB KUYASHII
10 DMF 100kg 16 CB Bro? Your Iori?
5 CMF Nice Cock, Sensei 15 LB Vanilla Vitamins
19 CMF Wolfseggs 13 LB No contribution
7 AMF SEX 17 LB Kiki
14 SS Horny AND Stupid 21 DMF DESUWA
69 CF I believe in the happy ending C 12 DMF MINE MENTIONED
2 DMF ATSUI
* 골드 메달 99 스탯, 실버 메달 88 스탯, 이외 일반 선수 77 스탯

VGL23 시즌 로스터는 전반적으로 2022년에 첫 출전했다가 비활성화된 선수 다수가 복귀하였고, 전 시즌에 활약이 좋지 못했던 주전들은 교체로 내려가게 되었다.

3.2. 조건부 현역 / 비현역

팀 존속기간에 비해 비활성화 및 은퇴한 선수가 굉장히 많은 편이다. 여기서는 비록 현재는 비활성화되었지만 /bag/ 로스터에도 여러모로 영향을 끼친 팀인 /pakeji/의 로스터까지 소개한다.

조건부 현역
비현역: /pakeji/ 출신이란 언급이 별도로 없을 시엔 /bag/ 출신

4. 자체대항전 - Kivotos Halo Festival: Divegrass Cup

파일:600px-Kivotoscup.png
Kivotos Halo Festival: Divegrass Cup[17]
공식 다시보기
한국 시각 2024년 3월 17~18일, 24~25일 대회 개최
마침 이 시기가 한국·글로벌 서버의 황륜대제 복각 시즌인데다가 한국·글로벌 서버는 라이브 이벤트도 복각 동안에 진행하는지라 마치 황륜대제 기간동안 축구 경기도 하는 것처럼 그림이 그려졌다.

본래 목표는 각 학교별로 10개 팀을 구성하여 학교대항전을 치르는 것이었고, 이 과정에서 게밀트백 4대 학교는 시즈널 중복 출전이 불가능하다는 제약이 걸려있었으나, 대회 시점에서 시즈널이 아예 없는 발키리와 아리우스는 모브를 동원하더라도 최소인원인 11명도 채울 수 없는 상황이었다 보니 자연스레 서로 다른 컨셉의 팀들이 출전하면서 학교대항전이라는 취지는 무색하게 되었다. 최종적으로 /abydos/, /affection/, /ako/, /BAcommies/, /C&C/, /coomindoom/, /deca/, /gdd/, /gehenna/, /hyakkiyako/, /millennium/, /npc/, /pakeji/, /sechi/, /srt/, /trinity/ 총 16개 팀이 참가했다.
대회 전개는 Ladies Night과 동일하게 4개 팀 씩 4개 조로 그룹 스테이지를 거친 후 8강 토너먼트.

심판진으로는 아로나, 카이텐FX Mk.0, 카이저 제네럴, , 아오이, 사오리, 나체 선생이 참가했다. 옐로 카드는 학생 모집 파랑 봉투.

결승 직후에는 4th PV를 패러디한 특전영상과 함께 4chan Cup 대회들 전통인 /chroma/ 와의 끝판왕전도 열렸다.

이후 /bag/에서 차기 VGL 로스터를 구성할 때에 자체대항전에서 활약했던 선수들을 선발하기도 하였다.

첫 대회의 성공에 힘입어 매년 개최하는 것으로 확정되었던 것이, VGL22 직후 /bag/ 두 매니저가 각종 음해에 시달리면서, 특히 본 자체대항전을 총괄했던 주매니저 Hoshino가 이로 인해 탈주하면서 1회 만에 대회가 폐지되고 말았다. 대신 자체대항전에 출전했던 몇몇 팀들이 다른 마이너 리그에도 출전신청하면서 이 팀들은 계속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백귀야행 팀 매니저가 /bag/의 새 지휘관으로 취임하기도 했다.

4.1. 자체대항전 팀별 상세

파일:KHFDGC_Thumbnail.jpg

5. 주요 기록

[ 펼치기 · 접기 ]
* VGL Ladies Night (2022.02) - 5위(8강)
  • VGL18 (2022.06) - 6위(8강)
  • VGL19 친선전 (2022.09) - 3전 2승 1패
  • VGL19 (2022.12) - 48위(그룹 스테이지 전패 탈락)
  • MobaBowl 2023 (2023.01) - 9위(패자조 3라운드 탈락)
  • VGLX-2 친선전 (2023.03) - 2전 1승 1패
  • VGLX-2 (2023.06) - 22위(서바이벌 라운드 1라운드 탈락)
  • VGL21 친선전 (2023.9) - 3전 2승 1패
  • New Thread Cup 2 (2023.10) - 준우승
  • VGL21(2023.12) - 12위(16강)
  • MobaBowl 2024: End of Service (2024.01) - 12위(패자조 3라운드 탈락)
  • VGL22 친선전(2024.03) - 2전 1승 1패
  • VGL22 (2024.06) - 3위
  • New Thread Cup 3 (2024.09) - 4위
  • VGL23 친선전 (2024.10) - 3전 1승 2패
  • VGL23 (2024.12) - 46위(그룹 스테이지 전패 탈락)
  • VGL Luigi Circuit 3 (2025.02)
  • VGL24 친선전(2025.04) - n전 n승 n패

5.1. 대회별 전개



[1] 하이라이트 채널 폐쇄로 인해 일부 경기 영상만 제공 중[2] 팀 초창기에는 VGL에선 /vn/ 홈 구장으로 분류하며, 여러 미소녀 게임 팀이 거쳐간 바 있는 아키하바라에 얹혀살다가 VGL X-2, 21 시즌에는 색채에 물든 페로로지라카이텐FX mk.∞가 싸우며 폐허가 된 D.U.시라토리구 고가도로를 Every Sensei's Dream 이란 이름으로 홈 구장 삼았다.[3] 이전에는 선생의 머리를 쓰기도 했다.[4] 데뷔 시절인 Ladies Night 때는 시로코 기본 복장을 입었으며, 2023년부터는 1년에 한 번 정도 마시로 기본 복장을 입는다.[5] 이전에는 Constant Moderato, Goal Wo Nerae!, Our New Story 등이 나오기도 했다. RE Aoharu는 VGLX-2 때 쓰였다가 22 들어와 재채택된 케이스.[6] 이전에는 Clear Morning, Usagi Flap, Up to 21°C 등이 나오기도 했다.[7] 이전에는 Sakura Punch Hard Arrange, Ark in the Blood Sky, Kaiten Hurricane!!! 등이 쓰이기도 했다.[8] 블루 아카이브 일본·중국 서버와 명일방주 한국·일본·글로벌 서버, 벽람항로 일본·글로벌 서버가 요스타 배급이다.[9] /twg/는 VGL19에 이어 VGLX-2에서도 우승했는데 이때는 서바이벌 라운드에서 /hgg2d/를 만나 탈락한 /bag/를 만나지 못했다.[10] 이때 /bag/는 3전 전패로 그룹 스테이지 탈락.[11] 우승경험이 있는 T9백과 달리 우승 경험이 없어서[12] VGLX-2 진행 당시 글로벌 서버에서 1부 최종편이 진행되고 있었다.[13] 일섭과 6개월 차이기 때문에 한섭글섭에는 2025년 1월 하순이다.[14] VGL21 결승 직후 번외 끝판왕전의 끝판왕 팀이 재즈잭 신비한 캬루콘 시리즈 팀인 /kyot/였는데, 이때 뛴 Syerika를 그대로 데려왔다. VGL21에서 /bag/는 우승팀인 /2hug/에게 16강에서 패했고, 아무리 우승팀이라도 끝판왕팀은 이길 수가 없다 보니 세리카가 친정팀 복수를 해준 셈.[15] 일섭에선 왓삐[16] 사오리 시절 기준으로 SHE가 아즈사고 ME가 사오리라고 해석할 수도 있으나, 해설들이 말하는 걸로 봐서는 SHE가 사오리고 ME가 선생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17] 황륜대제: 침대축구컵[18] 헤일로는 세리카 것을 초록색으로 팔레트 스왑[19] 닉네임 밈에 대해선 해당 문서 참조[20] 선수단 전원이 아코는 아닌데, 노래부르는 천젤 이오리콘 Gook Iori와, 눈을 사시로 뜬 히나 Queen of /bag/가 로스터에 있다.[21] 4챈에 누군가 Gook Ako라는 이름으로 보급한 것이다. 비슷한 사례로 재즈잭의 신비한 캬루콘과 디얍의 라비의 치즈가게, 도로롱 등이 양웹에 널리 보급되었고, 특히 신비한 캬루콘은 전술한 고백투/pcrg/ 처럼 아예 팀을 꾸릴 수 있을 정도로 다른 VGL 팀들에도 선수 모델로 많이 적용되었다.[22] 딱 한명은 청세치 그림체 아코로 되어있다.[23] 역시 세이아만 있는 건 아니고, 선생도 네 발로 기어다니는 세이아를 타고 다니는 Horseia, 세이아를 공주들기 하면서 뛰는 I believe in the happy ending 으로 두 명 참가한다.[24] 다리가 없는 비나는 입을, 호드는 촉수를 발 삼는다[25] 토너먼트 때는 탱크를 타지 않고 이로하 머리에 이부키가 업힌 채로 뛰는 Ninjas are so cool! 이라는 별개 선수로 출전했다.[26] 유얼 메즈 나우(세리나)와 닉이 중복인데 느낌표 유무로 구분한다.[27] 한국어에선 "존나 멋있으니까..."로 나온 대사.[28] 이브이마냥 어떤 선배로든 진화할 수 있다는 밈[29] 2023년 8월에 열린 AGL7 기준 주요 출전팀으로 /llsifg/에서 아쿠아만 출전하는 /aqours/, /gbpen/과 /revue/ 등의 합동팀 /bushi/, /alg/에서 에섹스 파생캐만 출전하는 /essex/, 듀크 뉴켐 원맨팀 /kickem/, 한국 문화 전반을 다루는 /kr/, 야구선수들이 축구를 하는 /LAD/, /2hug/ 자체대항전 Genso cup에 참가하는 2군 팀 /marisa/, 에픽세븐 팀 /rabi/, /skg/ 2군 /sk2/, 봇치 더 록! 팀 /ぼざろ/ 등[30] 전반전 종료 후 세이아가 선생을 조롱함에도 불구하고 선생이 어른의 카드를 써서 학생들을 행복하게 만들어줄 것이라는 특전영상이 재생되었다.[31] 최근 대회인 2022년 12월에 열린 DBC4 기준 주요 출전팀으로 프로레슬링 게임 전반을 다루는 /pwv/, 버추얼 유튜버 대회인 /vt/ League에 참가하는 홀로라이브 프로레슬링 대회 HoloFightZ 팀 /hfz/, /2hug/ 2군팀들인 /marisa/·/honk/·/2huremix/, /bushi/와 /d4dj/, /rwby/, /sega/ 등[32] 이즈나, 와카모, 카호, 히비키는 이 팀에서도 출전한다. 이즈나만 앨러지 도너가 아닌 Arujidono! Nin-nin!이란 닉으로 바뀌었으며 나머지는 전술한 로스터 닉네임 그대로 나온다.[33] 그리고 /gbfg/는 결승에서 예선부터 결승까지 압도적 퍼포먼스로 우승후보로 급부상한 /gfg/까지 접전끝에 3:2로 승리하고 우승을 차지했다.[34] 경기 시작 전에 4강전에 출전해서 10 선방을 기록했음에도 패배한 유관의 기운 T9백의 컨디션이 최악으로 떨어져버린 것에 시청자들이 공감하는 지경에 이르렀다.[35] 한편 /bag/를 4강에서 꺾은 /mjg/은 결승에서 /llsifg/를 상대로 4:3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거머쥐었다. /mjg/도 지난 뉴쓰레드컵2의 우승팀 /ss13g/와 같은 행보로 조별땐 /llsifg/에게 패했으나 결승에서 되갚아주었다.[36] VGL21와 22를 담당한 매니저들이 한 시즌만에 사임하고 VGL23까지 오면서 매니저나 케어테이커없이 팀이 방치되었다가 VGL23 개막을 앞두고 부랴부랴 매니저부터 정했을 뿐, 주최 측에 로스터, 전술, 모델을 제때 제출하지 못하면서 중징계를 받았기에 아예 제대로 대회를 치르지 못했다.[37] 아무리 같은 조에 /uma/라는 강팀이 있다고 하지만 /uma/는 커녕, /psg/와 /alg/에게 굴욕적인 경기력을 보여주었고 심지어 팀 득점도 고작 1골뿐이었다.[38] 전술한대로 아쯔이를 VGL22에서 우승 못했다고 서머컵부터 내치고 해피엔딩을 밀어준 것부터가 오판이었다. 해피엔딩이 VGL22에서 분명 아쯔이 다음 가는 활약을 보여줬지만 /vg/대표팀으로 승선한 서머컵, 어텀 배비컵에서는 팀의 조별광탈도 있었지만 포메이션에서부터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으며, 아쯔이가 아직 현역이던 NTC3와 VGL23 친선전까지는 드러나지 않았던 문제점이 아쯔이가 벤치로 내려간 VGL23 본선에서 터진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