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2 11:57:10

모굴리스탄 칸국

모굴 칸국에서 넘어옴
모굴리스탄 칸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몽골의 역사
파일:몽골 휘장_White.svg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0.8px"
<colbgcolor=#f5f5f5,#121212>
고대
월지흉노동호
북흉노/남흉노선비 · 오환
철륵선비
유연북위
서위·동위
아바르 칸국돌궐 제1제국북주북제
서돌궐/동돌궐
사타설연타
돌궐 제2제국
위구르 제국
키르기스 제국
중세
요나라
서하
서요금나라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일 칸국차가타이 칸국오고타이
칸국
원나라
백장 칸국청장 칸국추판 왕조잘라이르 왕조서차가타이
칸국
동차가타이
칸국
(모굴리스탄)
오이라트북원명나라
우량카이 3위 · 카라델
티무르
제국
오스만 제국
카자흐무굴
제국
우즈베크청나라
청나라
치하 몽골
근현대
러시아 제국복드 칸국중화민국
북양정부
<nopad>소비에트 연방<nopad><nopad>
<nopad>
몽골 인민공화국 {{{#!wiki style="margin:-15px -8px -20.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nopad>소비에트 연방
{{{#!wiki style="margin: -35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중화민국
국민정부
}}}}}} 만주국
중화민국<nopad>
<nopad><nopad>
러시아 연방몽골국중화인민공화국
}}}}}}}}} ||

위구르-신장 · 동튀르키스탄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1.2px"
<colbgcolor=#eaf8ff,#3f484c>

토하라인
흉노
월지
흉노
전한 서역도호부
후한 서역도호부
한·위·진 서역장사부 선비
전량 후량 북량 유연
고창국
에프탈
서돌궐

안서도호부
토번 제국 {{{#!wiki style="margin:-40px -10px -18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위구르 제국
카라한 칸국 호탄 왕국 고창회골 하서회골
서요 서하
몽골 제국
차가타이 칸국 오고타이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
{{{#!wiki style="margin:-5px -10px -3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야르칸드 칸국 }}}}}} 호쇼트 칸국
{{{#!wiki style="margin:-10px -10px -2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준가르
예티샤르 왕국 / 둥간 봉기
신강성
중화민국 신장성


중화민국 신장성 신강군벌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동튀르키스탄 망명정부|
동튀르키스탄 망명정부
]]
}}}}}}}}}

<nopad>
<colcolor=#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라즘 트란스옥시아나 페르가나
선사
시대
켈테미나르 문화 원시 유목민
{{{#!wiki style="margin: -50px -10px -1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아파나시에보 문화 }}}}}}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 인도유럽어족의 유입
안드로노보 문화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고대
인도유럽어족의 이주
[[아베스타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서이란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동이란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고대
(박트
리아

·
소그
디아나

·
토하리
스탄
)
아케메네스 제국
헬레니즘 제국
셀레우코스 왕조 {{{#!wiki style="margin: 0px -10px -5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 -40px -10px -5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tablebordercolor=#121212><tablewidth=100%> 스키타이 }}}}}}
파르티아 {{{#!wiki style="margin: -40px -10px -2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
대월지
[[토하라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10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쿠샨 왕조 }}}}}}
{{{#!wiki style="margin: -40px -9.9px -2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사산 왕조
[[아프리그 왕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쿠샨-사산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유목민 집단 · 서역 소국들
[[강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대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오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38px -9.9px -2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키다라/시온
에프탈
사산 왕조
[[아프리그 왕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돌궐 제국
[[서돌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중세
(마와라
안나흐르)
정통 칼리파 시대 투르게쉬 칸국
우마이야 왕조
안서도호부
아바스 왕조
타히르 왕조
{{{#!wiki style="margin: -5px -10px -5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 -25px -10px -1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사만 왕조 }}}}}} 카라한 칸국
가즈니 왕조
셀주크 제국
{{{#!wiki style="margin: -15px -10px -5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서요
(카라 키타이)
호라즘 제국
(아누쉬테긴 왕조)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쿵그라트 왕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차가타이 칸국
서차가타이 칸국 동차가타이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
근대 {{{#!wiki style="margin: -15px -10px -5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 -35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티무르 제국 }}}}}}
{{{#!wiki style="margin: -15px -10px -3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 -35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tablebordercolor=#000><tablewidth=100%> }}}}}}
우즈베크 칸국
히바 칸국 부하라 칸국
아프샤르 왕조
[[히바 칸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부하라 칸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630; font-size: .8em"
히바 칸국 부하라 칸국 코칸트 칸국
부하라 토후국
러시아 제국
[[히바 칸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D01; font-size: .8em"
투르키스탄 자치국
현대 호라즘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우즈베크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nopad>
}}}}}}}}} ||
카자흐스탄의 역사
<colcolor=#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우랄 일대 카스피해 연안 아랄해 연안 대초원 지대 제티수 · 알타이
선사시대 {{{#!wiki style="margin:-10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켈테미나르 문화 {{{#!wiki style="margin:-15px -50px -2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 }}}}}} {{{#!wiki style="margin:-10px -10px -8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 }}}}}}
{{{#!wiki style="margin:-15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보타이 문화
{{{#!wiki style="margin:-10px -50px -20px 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20px -10px -8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 }}}}}}
아바셰보 문화 {{{#!wiki style="margin:-23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원시 유목민 }}}}}}
신타슈타 문화
안드로노보 문화
상고대 베가지-단디바이 문화 카라수크 문화
타스몰라 문화 파지릭 문화
스키타이
사카 · 마사게타이 · 다하에
원시 유목민
고대 월지
흉노
훈족 유목민 부족들 열반국
오노구르계 유목민족
불가르 · 세케이 · 우티구르 · 아바르?
에프탈
중세 돌궐 제1제국
서돌궐 제국
캉가르 연맹 카를루크
{{{#!wiki style="margin:-40px -10px -2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하자르 }}}}}} 오구즈 야브구국 키메크-킵차크 연맹
페체네그 {{{#!wiki style="margin:-40px -10px -2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오구즈 야브구국 }}}}}}
쿠만-킵차크 연맹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차가타이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
티무르 제국
근대 노가이 칸국 우즈베크 칸국
{{{#!wiki style="margin:0px -10px -5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50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카자흐 칸국 }}}}}} 준가르
{{{#!wiki style="margin:-15px -10px -20px -4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청나라
소주즈 중주즈 대주즈
러시아 제국
[[자카스피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D01; font-size: .8em"
현대 알라시 자치국 투르키스탄 자치국
키르기즈 · 카자흐 ASSR 투르키스탄 ASSR
카자흐스탄 공화국
}}}}}}}}} ||

키르기스스탄의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대
스키타이 (사카)훈족아바르 족사비르 족불가르 족에프탈 (백 훈족)유연 / 철륵돌궐 제국서돌궐위구르 제국
중세
카를루크예니세이 키르기스카라한 왕조서요 (카라키타이)화레즘 샤 왕조 (호라즘 왕조)몽골 제국오고타이 칸국차가타이 칸국모굴리스탄 칸국티무르 제국
근세~현대
코칸트 칸국카자흐 칸국카라 키르기스 칸국청의 지배(동부지역)러시아 제국분리독립운동시기소련키르기스스탄 공화국키르기스스탄 공화국
소비에트 키르기스튤립 혁명(2005)레몬 혁명(2010)}}}}}}}}}

<colbgcolor=#54bf6f><colcolor=#fff>
모굴리스탄 칸국
ᠮᠣᠩᠭᠤᠯᠢᠰᠲᠠᠨ | مغولستان
Khanate of Moghulistan
파일:FGee4vTX0AAdG031.jpg
유누스 칸 시기의 최대 강역, 15세기 중반.
1347년 ~ 1462년 (통일)
1462년 ~ 1705년 (서부) · 1462년 ~ 1669년 (동부)
성립 이전 멸망 이후
차가타이 칸국 준가르
야르칸드 칸국
투르판 칸국
[[쿠물 칸국|
쿠물 칸국
]]
수도 알말리크
일리발릭, 베쉬발릭
정치 체제 세습 군주제
유목 국가, 부족연맹체
군주 칭호
주요 군주 투글루크 티무르 (1347~1363)
에센 부카 2세 (1429~1462)
유누스 칸 (1462~1487)
민족 몽골인, 위구르인
언어 중세 몽골어
차가타이 몽골어/튀르크어
종교 텡그리 신앙이슬람(수니파), 수피즘

1. 개요2. 역사
2.1. 모굴리스탄(동투르키스탄)2.2. 14세기 중반 : 모굴리스탄 칸국의 탄생2.3. 14세기 후반 : 티무르 제국의 등장2.4. 15세기 : 전성기와 분열의 시작2.5. 16세기 : 완전한 분열2.6. 17세기 및 18세기 : 호자 가문의 득세와 멸망
3. 역대 군주4. 둘러보기

1. 개요

1347년부터 1705년까지 존재했던 차가타이 칸국의 동부지역을 차지했던 국가.[1] 톈산 산맥 북쪽의 모굴리스탄과 남쪽의 타림 분지를 지배했다. 강역은 중세 카라한 칸국의 영토와 유사하다.

2. 역사

2.1. 모굴리스탄(동투르키스탄)

모굴리스탄은 톈산 산맥(천산 산맥) 북쪽의 발하슈 호이식쿨 호의 중간에 있는 초원, 스텝 지대를 의미한다. 현재의 카자흐스탄 동남부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북서부 쿨자 지역이 이에 해당된다. 해당 지역은 몽골의 정복 이후 차가타이 칸국에 소속되었으며, 이주해 온 몽골인들은 전과 그대로 유목생활을 이어나가며 토착 튀르크계와 혼혈되었고, 모굴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2.2. 14세기 중반 : 모굴리스탄 칸국의 탄생

1346년, 차가타이 칸국의 카잔 칸이 카자간에 의하여 살해되었고, 이 때부터 차가타이 칸국의 칸은 실권을 잃게 되었다. 1347년, 칸국의 동쪽에서 유목생활을 고수하며 지내던 모굴인들은 카자간의 명령을 따르기를 거부하고 차가타이의 후손인 투글루크 티무르를 칸으로 추대했다.

1358년, 카자간도 살해되면서 트란스옥시아나 지역은 무정부 상태가 되었고, 반면에 모굴리스탄 지역은 투글루크 티무르 칸이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등 튀르크계에 대한 포섭을 성공하여 점차 안정을 찾아갔다. 또한 두 번에 걸친 원정으로 옛 차가타이 칸국 영토를 통일했으며, 아들인 일리아스 호자에게 서쪽 지역을 맡기고 모굴리스탄으로 복귀했다.

2.3. 14세기 후반 : 티무르 제국의 등장

1363년 아미르 티무르와 아미르 후세인이 일리아스 호자를 몰아내고 서 차가타이 칸국을 차지했다. 그러나 1370년, 아미르 후세인을 제거한 티무르는 티무르 제국을 세워 여러 차례의 원정을 통해 중앙아시아의 패권을 잡았다.

한편, 모굴리스탄으로 쫓겨난 일리아스 호자는 1368년에 두글라트부의 카마르 앗딘에게 칸위를 찬탈당했다. 하지만 1390년 티무르가 모굴리스탄에 들어와 찬탈자인 카마르 앗딘을 내쫓자, 두글라트부 카마르 앗딘의 조카인 후다이다드(Khudaidad)가 투글루크 티무르의 다른 아들 히르즈 호자를 지원하여 옹립함으로써 왕조가 복구될 수 있었다. 이후 후다이다드는 큰 권력을 행사했고, 실질적으로 카슈가르 일대를 지배하면서 이를 자신의 두글라트부 후손들에게 물려주었다.

2.4. 15세기 : 전성기와 분열의 시작

티무르 사후, 티무르의 손자 울루그 베그가 사투크 칸이라는 명목상의 칸을 내세워 모굴리스탄 칸국으로 쳐들어왔다. 1429년, 우웨이스 칸이 이를 막다가 전사했고 모굴리스탄 칸국은 혼란에 빠졌다. 하지만 티무르 제국의 지배에 대한 반발이 여기저기서 일어났고, 에센 부카 2세가 이를 통합하여 사투크 칸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 티무르 제국의 침입으로 인한 혼란을 수습한 에센 부카 2세가 역공에 나서 타슈켄트를 공격하고 그 근방을 약탈하면서 모굴리스탄 칸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티무르 제국은 자국에 의탁 중이던 에센 부카 2세의 동생인 유누스 칸을 부추겨 모굴리스탄을 공격하게 하는 것으로 대응했다.

1462년, 에센 부카 2세가 죽고 아들 도스트 무함마드 칸이 즉위하자, 유누스 칸이 다시 쳐들어왔다. 도스트 무함마드는 아크수에 주둔했고, 유누스 칸은 카슈가르의 아미르인 두글라트부의 지지를 받고 있었다. 1468년, 도스트 무함마드가 죽고 어린 아들 케벡 술탄이 즉위하자 유누스 칸은 곧바로 아크수를 점령하고 케벡 술탄을 몰아냈다. 케벡 술탄은 투르판으로 도망쳤으나 부하들의 배신으로 곧 죽었고, 유누스 칸이 모굴리스탄의 유일한 칸이 되었다.

1484년 유누스 칸은 티무르 제국의 내분에 개입, 타슈켄트를 점령했다. 유누스 칸은 도시에서 오래 생활했기 때문에 도시 생활을 원했고, 타슈켄트에서 여생을 보내다 사망했다. 하지만 모굴리스탄의 부족들은 유목 생활에 익숙해 있었기 때문에 유누스 칸을 따르지 않고 그의 아들 아흐마드 알라크를 따라 떠났다. 유누스 칸의 세력은 그의 사후 장남 마흐무트 칸에게 계승되었으며 이로 인해 칸국은 다시 동서로 분열되었다.

2.5. 16세기 : 완전한 분열

16세기 들면서 무함마드 샤이바니가 이끄는 우즈베크족이 남하해왔다. 1503년, 이에 위협을 느낀 마흐무트 칸과 아흐마드 알라크는 힘을 합쳐 샤이바니와 전투를 벌이나 패배하고 둘 다 포로로 잡히고 말았다. 샤이바니는 둘을 석방해주었으나, 아흐마드 알라크는 그 해에 바로 동쪽 아크수에서 죽었고, 만수르 칸이 칸위를 계승했다. 5년 뒤, 서쪽에서 마흐무트 칸이 죽고 사이드 칸이 즉위하자 만수르 칸은 사이드 칸을 공격하여 몰아내고 모굴리스탄을 다시 통일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후 북쪽으로 향해 오이라트를 원정해서 승리를 거두었다.

1513년 만수르 칸은 동쪽으로는 하미 일대의 카라델 왕국을 정복하였다. 카라델 왕국의 왕은 충성 대상을 명나라 황제에서 모굴리스탄의 칸으로 바꾸었다. 이후 만수르 칸의 군대는 당시 명나라의 영토였던 감주와 숙주를 약탈하였으나, 명나라 측에서 조공무역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대응하자 공격을 중단하였다. 한편 서쪽에서는 1514년, 만수르 칸에 패해 도망쳤던 사이드 칸은 다시 모굴리스탄으로 진입해 두글라트부 아미르가 다스리던 카슈가르와 그 일대를 공격해 점령했다. 만수르 칸은 사이드 칸과 협상에 나섰고, 2년 뒤인 1516년 사이드 칸은 카슈가르 일대, 만수르 칸은 투르판 일대를 지배하기로 합의하였다. 이 합의 이후 모굴리스탄 칸국은 일시적인 경우를 빼고는 분열의 상태를 지속했다. 서쪽 정권을 서모굴리스탄 칸국, 카슈가르 칸국, 야르칸드 칸국[2] 등으로 부르며, 동쪽 정권을 위구르스탄 칸국, 투르판 칸국, 동모굴리스탄 칸국 등으로 부른다.

1533년, 야르칸드 칸국에서 사이드 칸이 죽고 압둘 라시드 칸이 즉위했으며, 1548년에 위구르스탄에서 만수르 칸이 죽고 샤 칸이 즉위했다. 압둘 라시드 칸 때에 수피즘 종교 지도자인 아흐마드 카사니가 카슈가르에 도착했으며, 그의 후손들은 '호자(Khoja)'라는 이름으로 이후 이 지역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했다. 위구르스탄에선 샤 칸의 동생이 하미(쿠물)를 차지하고 자립했으며, 이 후 하미(쿠물) 칸국은 청나라에 복속하면서 1930년까지 지속했다.

야르칸드 칸국과 위구르스탄 칸국으로 분열된지 3대째에 접어들면서 서로간의 합의는 깨지기 시작했다. 압둘 라시드 칸의 장남으로 야르칸드의 칸이 된 압둘 카림 칸은, 위구르스탄의 샤 칸이 죽자, 자신의 동생 코라이쉬를 보내 위구르스탄을 공격했다. 코라이쉬는 샤 칸의 아들들을 물리치고 위구르스탄을 차지한 후 자립을 선언했다. 이에 압둘 카림 칸은 다른 동생인 무함마드를 보내 코라이쉬를 쫓아냈으며, 코라이쉬는 무굴 제국으로 도망쳤다. 압둘 카림 칸이 죽은 뒤 무함마드는 야르칸드의 칸이 되었고, 위구르스탄에선 무함마드의 동생인 압둘 라임이 칸이 되었다. 이로써 야르칸드와 위구르스탄 칸국 모두 압둘 라시드 칸의 자손들이 칸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2.6. 17세기 및 18세기 : 호자 가문의 득세와 멸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야르칸드 칸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야르칸드 칸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야르칸드 칸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무함마드 칸 대에는 주변국과의 교류가 활발했다. 가장 인상적인 사건은 1603년에 예수회 선교사 벤투 드 고이스가 명나라로 가는 길에 야르칸드 칸국에 체류한 것이었다. 한편 무함마드 칸은 아흐마드 카사니의 아들인 호자 이샤크 왈리를 후원했고, 이들의 세력은 이후 야르칸드를 중심으로 흑산당을 형성했다. 1638년, 압둘라 칸은 아흐마드 카사니의 손자 무함마드 유수프에게 카슈가르 근처의 마을을 하사했고, 이들은 무함마드 유수프의 아들 아팍 호자를 중심으로 백산당을 형성했다. 칸의 후원을 통해 성장한 백산당과 흑산당의 호자 가문은 아예 칸을 옹립함으로써 실권을 행사하고자 싸우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칸의 권력은 유명무실하게 되어 버렸다. 점차적으로 타림 분지 도시들에 대한 지배권은 느슨해졌고, 도시 귀족들의 영향권도 강화되었다.[3]

1670년, 흑산당의 지원을 받아 칸에 오른 이스마일 칸은 아팍 호자가 이끄는 백산당을 내쫓았다. 아팍 호자는 준가르의 갈단 칸에게 지원을 요청했고, 준가르의 갈단 칸은 군대를 보내 야르칸드를 공격했다. 준가르는 야르칸드를 점령, 이스마일 칸을 생포한 후 라시드 칸을 칸으로 만들고 돌아갔다.[4] 이 때의 원정으로 모굴리스탄은 사실상 준가르의 영향권 안으로 들어갔다. 갈단 칸이 돌아간 이후, 아팍 호자는 라시드 칸을 제거하고 야르칸드를 지배했다. 1690년, 투르판의 무함마드 아민 칸이 야르칸드로 진입하여 아팍 호자를 몰아냈으나, 얼마 안 있어 아팍 호자가 카슈가르에 있던 아들 야흐야 호자의 지원으로 복귀, 무함마드 아민 칸을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차가타이 계통의 경쟁자들을 제거한 이후 아팍 호자는 아들인 야흐야 호자를 칸에 추대했다.[5] 1694년 아팍 호자가 죽고, 1년 뒤 1695년에 야흐야 호자도 암살당하자 차가타이 계통의 아크바쉬 칸이 다시 즉위했다. 하지만 아크바쉬 칸은 1705년에 인도로 망명했고, 차가타이 계통 칸의 모굴리스탄 지배는 마무리되었다.[6][7]

3. 역대 군주


<colbgcolor=#54bf6f><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b868 0%, #54bf6f 20%, #54bf6f 80%, #4db86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rowcolor=#000> 투글루크 티무르 일리야스 호자 카마르 웃 딘
<rowcolor=#fff> 제4대 제5대 제6대
<rowcolor=#000> 키즈르 호자 샴시 자한 무함마드 칸
<rowcolor=#fff> 제7대 제8대 제9대
<rowcolor=#000> 나크쉬 자한 우와이스 칸 셰르 무함마드
<rowcolor=#fff> 복위 제10대 제11대
<rowcolor=#000> 우와이스 칸 사투크 칸 에센 부카 2세
<rowcolor=#fff> 제12대 제13대 제6대
<rowcolor=#000> 유누스 칸 마흐무드 칸 (서부)
아흐마드 알라크(동부)
술탄 사이드 칸 (서부)
만수르 칸 (동부)
}}}}}}}}}}}} ||

4. 둘러보기

위구르-신장 · 동튀르키스탄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1.2px"
<colbgcolor=#eaf8ff,#3f484c>

토하라인
흉노
월지
흉노
전한 서역도호부
후한 서역도호부
한·위·진 서역장사부 선비
전량 후량 북량 유연
고창국
에프탈
서돌궐

안서도호부
토번 제국 {{{#!wiki style="margin:-40px -10px -18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위구르 제국
카라한 칸국 호탄 왕국 고창회골 하서회골
서요 서하
몽골 제국
차가타이 칸국 오고타이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
{{{#!wiki style="margin:-5px -10px -3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야르칸드 칸국 }}}}}} 호쇼트 칸국
{{{#!wiki style="margin:-10px -10px -2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준가르
예티샤르 왕국 / 둥간 봉기
신강성
중화민국 신장성


중화민국 신장성 신강군벌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동튀르키스탄 망명정부|
동튀르키스탄 망명정부
]]
}}}}}}}}}

중앙아시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1.2px"

옥수스 문명 / 안드로노보 문화
스키타이 사카
다하에 / 마사게타이 스키타이 사카 흉노
아케메네스조 페르시아
헬레니즘 제국 알렉산드로스의 정복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강거
대월지 (토하라인)
쿠샨 왕조 (월지 계) 열반
사산 조 페르시아 {{{#!wiki style="margin:-20px 0px -30px -2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에프탈(백 훈족)
에프탈 공국 돌궐 제국
서돌궐
라쉬둔 칼리파
우마이야 왕조 안서도호부
투르게쉬 칸국 안서도호부
{{{#!wiki style="margin:-20px -10px -18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타히르 왕조 / 사파르 왕조
사만 왕조
가즈니 왕조 카라한 칸국
셀주크 제국 동 카라한 칸국
서요 (카라 키타이)
호라즘 왕조 서요


~

몽골 제국
차가타이 칸국 킵차크 칸국
티무르 제국 모굴리스탄 칸국
{{{#!wiki style="margin:-2px -10px -3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부하라 칸국 야르칸드 칸국 투르판 칸국
히바 칸국
히바 칸국
멘셰비키 투르키스탄 자치국 알라시 자치국 투르키스탄 자치국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 ||


<nopad>
<colcolor=#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라즘 트란스옥시아나 페르가나
선사
시대
켈테미나르 문화 원시 유목민
{{{#!wiki style="margin: -50px -10px -1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아파나시에보 문화 }}}}}}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 인도유럽어족의 유입
안드로노보 문화
[[박트리아-마르기아나 문화|{{{#!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고대
인도유럽어족의 이주
[[아베스타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서이란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동이란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고대
(박트
리아

·
소그
디아나

·
토하리
스탄
)
아케메네스 제국
헬레니즘 제국
셀레우코스 왕조 {{{#!wiki style="margin: 0px -10px -5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 -40px -10px -5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tablebordercolor=#121212><tablewidth=100%> 스키타이 }}}}}}
파르티아 {{{#!wiki style="margin: -40px -10px -2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
대월지
[[토하라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10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쿠샨 왕조 }}}}}}
{{{#!wiki style="margin: -40px -9.9px -2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사산 왕조
[[아프리그 왕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쿠샨-사산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유목민 집단 · 서역 소국들
[[강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대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오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38px -9.9px -2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키다라/시온
에프탈
사산 왕조
[[아프리그 왕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돌궐 제국
[[서돌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중세
(마와라
안나흐르)
정통 칼리파 시대 투르게쉬 칸국
우마이야 왕조
안서도호부
아바스 왕조
타히르 왕조
{{{#!wiki style="margin: -5px -10px -5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 -25px -10px -1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사만 왕조 }}}}}} 카라한 칸국
가즈니 왕조
셀주크 제국
{{{#!wiki style="margin: -15px -10px -5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서요
(카라 키타이)
호라즘 제국
(아누쉬테긴 왕조)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쿵그라트 왕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차가타이 칸국
서차가타이 칸국 동차가타이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
근대 {{{#!wiki style="margin: -15px -10px -5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 -35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티무르 제국 }}}}}}
{{{#!wiki style="margin: -15px -10px -3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 -35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tablebordercolor=#000><tablewidth=100%> }}}}}}
우즈베크 칸국
히바 칸국 부하라 칸국
아프샤르 왕조
[[히바 칸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부하라 칸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630; font-size: .8em"
히바 칸국 부하라 칸국 코칸트 칸국
부하라 토후국
러시아 제국
[[히바 칸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D01; font-size: .8em"
투르키스탄 자치국
현대 호라즘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우즈베크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
<nopad>
}}}}}}}}} ||
[1] 이 때문에 모굴리스탄 칸국은 동(東) 차가타이 칸국이라 불리기도 한다.[2] 17년 뒤인 1533년에 사이드 칸은 야르칸드로 근거지를 옮겼고, 그의 후손들은 대부분 야르칸드에 거주했다.[3] 봉건제와 유사하게, 야르칸드나 투르판의 칸이 자신의 일족을 각 지방 도시의 지배자로 임명했으며, 이들은 사실상 독립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칸의 계승 문제로 인해 각 도시의 왕족들 간의 다툼이 발생하면, 도시 귀족이 쿠릴타이를 통해 칸을 선출, 중재자의 역할을 행사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도시 귀족의 권한도 강화되었다.[4] 투르판은 이전에 미리 준가르에 복속해 군대를 보냈다[5] 몽골 제국 성립 이후 중앙아시아에서 칸은 징기스 칸의 후예들만 칭할 수 있었다. 때문에 티무르 제국의 티무르도 아미르를 칭했으며 칸을 칭한 적은 없었다. 호자 가문은 그 동안 이러한 관례 때문에 명목상의 칸을 내세웠는데 이제는 이러한 관례도 지키지 않겠다는 뜻이다.[6] 차가타이 계통의 칸은 하미(쿠물)에 남아 있었으며, 이들은 이후 청나라의 준가르 정복에 협력해 청나라에 복속된 상태로 중화민국 때인 1930년까지도 존속했다.[7] 이후 백산당은 카슈가르, 흑산당은 야르칸드에서 각자 호자를 칸으로 내세워 대립하다가, 1713년 양 쪽 모두 다시금 준가르에 복속되었다. 1752년 흑산당의 반란이 일어나 준가르에게서 독립했으나, 얼마 뒤인 1759년 청나라에 정복됐으며, 1760년 이 지역에 청나라의 행정구역인 남로(南路)가 설치되었다. 투르판 일대에는 1756년에 북로(北路)가 설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