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고뉴 공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보손 왕조 | |||
정의공 리샤르 | 라울 | 흑색공 위그 1세 | 질베르 | |
<rowcolor=#fff> 로베르 왕조 | 카페 왕조 | |||
오토 | 앙리 1세 | 오토 빌헬름 | 현명공 로베르 1세 | |
<rowcolor=#fff> 카페 왕조 | 카페-부르고뉴 왕조 | |||
앙리 2세 | 노인공 로베르 2세 | 위그 2세 | 적색공 외드 1세 | |
<rowcolor=#fff> 카페-부르고뉴 왕조 | ||||
위그 3세 | 외드 2세 | 위그 4세 | 외드 3세 | |
<rowcolor=#fff> 카페-부르고뉴 왕조 | ||||
위그 5세 | 로베르 3세 | 위그 6세 | 외드 4세 | |
<rowcolor=#fff> 카페-부르고뉴 왕조 |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
필리프 1세 | 호담공 필리프 2세 | 용맹공 장 | 선량공 필리프 3세 | |
<rowcolor=#fff>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용담공 샤를 1세 | 부귀공 마리 1세 | 미남공 필리프 4세 | 샤를 2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 ||||
막시밀리앙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 ||||
필리프 5세 | 이자벨 | 필리프 6세 | 바보공 샤를 3세 | |
알베르 | ||||
<rowcolor=#fff> 부르봉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루이 1세 | 루이 2세 | 샤를 4세 | 마리 2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
조제프 | 레오폴드 | 프랑수아 | }}}}}}}}} |
룩셈부르크 공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룩셈부르크 왕조 | |||
바츨라프 1세 | 태만공 바츨라프 2세 | 욥스트 | 엘리자베트 1세 | |
<rowcolor=#fff>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
앙투안 | ||||
<rowcolor=#fff> 룩셈부르크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엘리자베트 1세 | 엘리자베트 1세 | 엘리자베트 1세 | 라디슬라오 | |
<rowcolor=#fff> 비텔스바흐 왕조 | ||||
장 2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 포디에브래드 왕조 |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
안나 | 엘리자베트 2세 | 조르주 | 선량공 필리프 1세 | |
<rowcolor=#fff> 베틴 왕조 | 야기에우워 왕조 | |||
기욤 2세 | 카지미에시 | |||
<rowcolor=#fff>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용담공 샤를 2세 | 부귀공 마리 1세 | 미남공 필리프 2세 | 샤를 3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 ||||
막시밀리앙 1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 ||||
필리프 3세 | 이자벨 | 필리프 4세 | 바보공 샤를 4세 | |
알베르 | ||||
<rowcolor=#fff> 부르봉 왕조 | 비텔스바흐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필리프 5세 | 막시밀리앙 2세 | 샤를 5세 | 마리 2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
조제프 | 레오폴드 | 프랑수아 | }}} }}}}}} |
브라반트 공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루뱅 왕조 | |||
앙리 1세 | 앙리 2세 | 앙리 3세 | 앙리 4세 | |
루뱅 왕조 | ||||
장 1세 | 장 2세 | 장 3세 | 잔 | |
룩셈부르크 왕조 | ||||
벤세슬라스 | ||||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
앙투안 | 장 4세 | 필리프 1세 | 선량공 필리프 2세 | |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용담공 샤를 1세 | 부귀공 마리 1세 | 미남공 필리프 3세 | 샤를 2세 | |
합스부르크 왕조 | ||||
막시밀리앙 | ||||
합스부르크 왕조 | ||||
필리프 4세 | 이자벨 | 필리프 5세 | 바보공 샤를 3세 | |
알베르 | ||||
부르봉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
필리프 6세 | 샤를 4세 | 마리 2세 | 조제프 |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 |||
레오폴드 | 프랑수아 | 레오폴드 2세 | 레오폴드 | |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 벨기에 왕조 | |||
레오폴드 3세 | 레오폴드 3세 | 보두앵 | 필리프 | |
<rowcolor=#ffcc00> 벨기에 왕조 | ||||
엘리자베트 | }}} 브라반트 공작 · 벨기에인의 왕 }}}}}} |
<colbgcolor=#FFE0B2><colcolor=#000> 부르고뉴 여공작 마리 드 부르고뉴 Marie de Bourgogne | |
이름 | 마리 드 부르고뉴 (Marie de Bourgogne) |
출생 | 1457년 2월 13일 |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브라반트 공국 브뤼셀 | |
사망 | 1482년 3월 27일 (향년 25세) |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플란데런 백국 위넨데일 성 | |
재위 | 부르고뉴 공국의 여공작 |
1477년 1월 5일 ~ 1482년 3월 27일 | |
배우자 | 막시밀리안 1세 (1477년 결혼) |
자녀 | 펠리페 1세, 마르가레테 |
아버지 | 부르고뉴 공작 샤를 1세[1] |
어머니 | 부르봉의 이자벨[2] |
종교 | 가톨릭 |
[clearfix]
1. 개요
저지대 국가와 프랑슈콩테의 여성 통치자이다. 아버지 용담공 샤를이 다스리던 부르고뉴 지방은 계승 과정에서 프랑스에게 넘어갔으나 명목상으로 부르고뉴 공국의 여공작을 칭했다.[3] 별명은 '부귀공' 또는 '부유공'으로 번역되는 'la Riche'이다. 이외에도 당대 유럽에서 손꼽히게 부유한 부르고뉴 공국의 유일한 상속녀였기에 '황금의 신부'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2. 생애
부르고뉴 공작 용담공 샤를의 무남독녀로서 부르고뉴의 유일한 추정상속인이었다. 1477년에 아버지 샤를이 부르고뉴 전쟁 도중에 전사하자 약관의 나이로 아버지의 영토를 상속받았다. 이 당시 부르고뉴 공국, 특히 플랑드르를 위시로 한 저지대 일대는 유럽 내에서도 손꼽히게 풍요로운 곳이라 각국의 유력자들은 서로 마리와 결혼해 부르고뉴를 상속받고 싶어했다.특히 마리와 같은 발루아 왕조이자 명목상의 종주국이었던 프랑스의 루이 11세는 남자 계승자가 없으니 왕자령[4]을 회수한다는 명분으로 부르고뉴를 침공했고, 저지대의 네덜란드인들을 선동하여 당시 7살밖에 안 된 자신의 아들 샤를 8세와의 결혼을 거부한 마리를 겐트 성에 가둬버렸다.[5][6] 이에 마리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막시밀리안 1세에게 심복을 보내 구원을 요청했고, 막시밀리안은 즉시 사비를 털어 용병을 모아 겐트로 가서 마리를 구출한 뒤 그녀와 결혼했다.[7] 이후 막시밀리안은 프랑스의 침공을 막아줬고, 부르고뉴 지방만 프랑스에게 넘기는 것으로 정리했다.(아라스 조약, 상리스 조약)
마리는 남편 막시밀리안과의 사이에서 필리프와 마르가레테를 낳았지만, 1482년에 3번째 아이를 임신한 채 즐겨하던 사냥을 하다가 낙마 사고를 당해 향년 25세로 사망했다. 마리의 영지는 4살짜리 아들 필리프 4세가 물려받아 막시밀리안이 섭정했고, 궁극적으로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 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마리의 아들 필리프는 스페인 왕국의 전신이 되는 카스티야 왕국와 아라곤 왕국의 상속녀 후아나 1세와 결혼하여 카스티야 국왕 펠리페 1세가 되었고, 그 결과 마리는 비록 젊은 나이에 안타깝게 요절했지만 후손은 굉장히 번성해서 이후의 오스트리아계 합스부르크 왕조와 스페인계 합스부르크 왕조는 모두 마리의 후손이다.
남편인 막시밀리안 1세는 아름답고 부유하며 잘 배운 여성이었던 마리를 매우 사랑했고, 그녀의 사후에도 평생 마리를 그리워하며 살아갔다고 한다. 마리가 젊은 나이에 사망한 후 그녀의 시신이 고향인 벨기에에 매장되자, 훗날 오스트리아에 묻힐 자신의 시신에서 심장을 꺼내 마리 곁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길 정도. 물론 마리의 사후 두 번 더 재혼하긴 했지만[8] 후계자가 될 아들이 펠리페 1세 한 명뿐인 상황에서도 마리 이외에 다른 여성과의 사이에서 후사를 보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 그래서 펠리페 1세가 젊은 나이에 장티푸스로 세상을 떠났던 걸 생각하면 펠리페 1세가 죽기 전에 손자 카를 5세를 남기지 않았다면 후사가 끊겼을 수도...
마리의 결혼으로 저지대 국가가 합스부르크 가문으로 넘어가게 되면서 프랑스는 벨기에의 북해 해안가 및 그 주변 지역 정도에 해당되는 플란데런 영토를 상실했다. 물론 프랑스가 공식적으로도 상실한 것을 인정한 것은 1525년 파비아 전투의 패배에 따른 1526년 마드리드 조약의 결과였으므로, 마리의 결혼부터 마드리드 조약까지의 한동안은 합스부르크 가의 실효지배 상태이되 법적으로는(de jure) 여전히 프랑스의 일부였던 애매한 상태였다. 프랑스는 신성 로마 제국이 중세 후기 이후로 분열되어 가는 것을 잘 활용하고, 때로는 30년 전쟁 당시 리슐리외-마자랭의 외교정책처럼 분열을 조장하기도 하면서 신성 로마 제국의 서부 영역을 잠식해 동진했는데[9] 유일하게 중세에 비해서 영토가 수축된 부분이 바로 이 플란데런이다. 프랑스의 영역 확대 과정에서 1480년 이전 지도와 이후 지도를 비교해 보면 중세 내내 북쪽으로 뾰족했던 프랑스의 영역 플란데런이 온데간데 없어진 것을 볼 수 있다.
3. 가족
3.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마리 드 부르고뉴 (Marie of Burgundy) | <colbgcolor=#fff3e4,#331c00> 부르고뉴 공작 샤를 1세 (Charles I, Duke of Burgundy) | <colbgcolor=#ffffe4,#323300>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3세 (Philippe III, Duke of Burgundy) | |
부르고뉴 공작 장 1세 (Jean I, Duke of Burgundy) | |||
바이에른의 마르가레테 (Margarete of Bavaria) | |||
포르투갈의 이자벨 (Isabel of Portugal) | |||
주앙 1세 (João I) | |||
랭커스터의 필리파 (Philippa of Lancaster) | |||
부르봉의 이자벨 (Isabel of Bourbon) | |||
부르봉 공작 샤를 1세 (Charles I, Duke of Bourbon) | |||
부르봉 공작 장 1세 (Jean I, Duke of Bourbon) | |||
오베르뉴 여공작 마리[10] (Marie, Duchess of Auvergne) | |||
부르고뉴의 아녜스 (Agnès of Burgundy) | |||
부르고뉴 공작 장 1세 (Jean I, Duke of Burgundy) | |||
바이에른의 마르가레테 (Margarete of Bavaria) |
3.2.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자녀 |
1남 | 펠리페 1세 (Felipe I, King of Castile) | 1478년 7월 22일 | 1506년 9월 25일 | 후아나 1세 슬하 2남 4녀[11] |
1녀 | 사보이아 공작부인 마르게리타 (Margarete, Duchess of Savoy) | 1480년 1월 10일 | 1530년 12월 1일 | 아스투리아스 공 후안[12] |
사보이아 공작 필리베르토 2세 |
4. 기타
- 상단의 초상화에서 마리가 쓴 고깔 모양의 모자는 에냉(Hennin)이라고 불린다. 그녀가 즐겨 쓰던 모자로 특히 부르고뉴와 프랑스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 동화 라푼젤의 모델이라는 설이 있다. 마리가 막시밀리안에게 청혼하며 편지에 자신의 머리카락을 잘라 보낸 것이 상상력을 불러일으켜 이야기의 모태가 되었다는 의견이다. 고립된 상황의 미녀라는 점에서 동일한 면모를 보인다.
- 벨기에에서는 그녀에게 헌정하는 의미로 만들어진 '뒤셰스 드 부르고뉴(Duchesse de Bourgogne, 부르고뉴 여공작)'라는 이름의 맥주가 있다.
[1] 흔히 용담공 샤를로 잘 알려져 있다.[2] 부르봉 공작 샤를 1세의 딸.[3] 마리의 고손녀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 역시 남편 생전 주권자로서 저지대 국가와 프랑슈콩테를 통치했으며 명목상 부르고뉴 여공작을 칭했기에 유일한 여성 통치자는 아니다. 마리아 테레지아도 저지대 국가의 여성 주권자였으나 현지에서 직접 통치하지는 않았고 총독을 통해 다스렸다. 주권자가 아니라 총독으로 통치한 인물까지 포함하면 마리의 딸 마르가레테, 마리의 손녀 마리아 등도 여성 통치자에 해당한다. 이사벨과 마리아 테레지아는 네덜란드 독립 전쟁으로 인해 네덜란드 공화국이 독립해 나간 저지대 국가를 다스렸으나 마리와 마르가레테, 마리아는 독립 전쟁이 벌어지기 이전 온전했던 저지대 국가를 다스렸다.[4] 부르고뉴 공국은 이 당시에는 사실상의 독립국이었지만 몇 대 전에만 해도 왕의 동생의 자격으로 프랑스 왕실 본가로부터 왕자령(appanage)으로서 봉분받은 영토가 그 뿌리였다.[5] 당시 20대였던 마리는 당연히 이 혼담을 거절했고, 분노한 루이 11세는 마리를 영원히 성에 가둬 굶겨죽이려 했다. 프랑스의 위협이 목전에 다가왔고 공국 내에서 도와줄 이는 아무도 없게 되자, 보호자가 필요했던 마리는 아버지의 유언대로 생판 모르는 오스트리아 대공에게 도움을 요청한다.[6] 의외인 건 마리의 할아버지 선량공 필리프 시절만 하더라도, 알자스를 두고 부르고뉴와 오스트리아가 대립 중이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부르고뉴 공국에게 더 큰 위협이 되었던 것은 프랑스였기에, 샤를은 마리에게 자신이 죽으면 오스트리아에 도움을 요청하라는 유언을 남겼다.[7] 마리를 구출한 다음 날 막시밀리안은 마리의 이니셜 M모양의 다이아몬드 반지를 선물하며 청혼했다고 한다. 이 반지를 후대의 결혼 반지의 유래로 보는 견해도 있다.[8] 물론 두 번째 아내인 안 드 브르타뉴와의 결혼은 신부 얼굴도 못 보고 샤를 8세에게 납치혼당해 혼인이 무효화 되어 실질적인 부부는 아니었고 세 번째 아내인 비앙카 마리아 스포르차도 거의 별거에 가까운 생활을 했다.[9] 중세 초중기의 서프랑크 및 카페 왕조 시기의 영토를 찾아보면, 거의 정육각형(L'Hexagone)에 가까운 근현대 프랑스의 영토에 비해서 서쪽으로 많이 찌그러져 있다.[10] 베리 공작 장의 4녀.[11] 포르투갈과 프랑스의 왕비 엘레오노르, 카를 5세,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왕비 엘리사베트, 페르디난트 1세,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비 마리어, 포르투갈의 왕비 카타리나 등[12] 이사벨 1세와 페란도 2세의 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