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001840><tablebgcolor=#00184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 | |||||
<colcolor=#FFFFFF> 동부 | | | | | | |
중부 | | | | | | |
서부 | | | | | | |
| ||||||
동부 | | | | | | |
중부 | | | | | | |
서부 | | | | | |
| ||||||||||
<colbgcolor=#bd3039><colcolor=#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 ||||||||||
Boston Red Sox | ||||||||||
창단 | 1901년 ([age(1901-01-01)]주년) | |||||||||
연고지 | 매사추세츠 보스턴 | |||||||||
구단명 변천 | 보스턴 아메리칸스 (Boston Americans, 1901~1907) 보스턴 레드삭스 (Boston Red Sox, 1908~) | |||||||||
소속 변천 | 아메리칸 리그 (1901~) - 동부 지구 (1969~) | |||||||||
홈 구장 | 헌팅턴 애비뉴 그라운즈 (Huntington Avenue Grounds, 1901~1911) 펜웨이 파크 (Fenway Park, 1912~)[1] | |||||||||
구단주 | 펜웨이 스포츠 그룹 (Fenway Sports Group) | |||||||||
사장(CEO) | 샘 케네디 (Sam Kennedy)[2] | |||||||||
사장(CBO) | 크레이그 브레슬로 (Craig Breslow) | |||||||||
단장 | 공석 | |||||||||
감독 | 알렉스 코라 (Alex Cora) | |||||||||
역대 한국인 선수 | 조진호 (1998~1999) 이상훈 (2000) 김선우 (2001~2002) 김병현 (2003~2004) | |||||||||
로컬 경기 중계 | NESN (New England Sports Network) | |||||||||
공식 링크 | ||||||||||
약칭 | BOS | |||||||||
월드 시리즈 우승 (9회) | ||||||||||
1903, 1912, 1915, 1916, 1918, 2004, 2007, 2013, 2018 | ||||||||||
아메리칸 리그 우승 (14회) | ||||||||||
1903, 1904, 1912, 1915, 1916, 1918, 1946, 1967, 1975, 1986, 2004, 2007, 2013, 2018 | ||||||||||
지구 우승 (10회) | ||||||||||
1975, 1986, 1988, 1990, 1995, 2007, 2013, 2016, 2017, 2018 | ||||||||||
와일드 카드 (8회) | ||||||||||
1998, 1999, 2003, 2004, 2005, 2008, 2009, 2021 | ||||||||||
포스트시즌 진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d3039> 월드 시리즈 | 1903년, 1912년, 1915년, 1916년, 1918년, 1946년, 1967년, 1975년, 1986년, 2004년, 2007년, 2013년, 2018년 | ||||||||
챔피언십 시리즈 | 1975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9년, 2003년, 2004년, 2007년, 2008년, 2013년, 2018년, 2021년 | |||||||||
디비전 시리즈 | 1995년, 1998년, 1999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3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21년 | |||||||||
와일드카드 시리즈(게임) | 2021년 | }}}}}}}}}}}} | ||||||||
팀 컬러 / 유니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팀 컬러 | |||||||||
빨강색■ 네이비블루■ 흰색□ | ||||||||||
유니폼 | ||||||||||
| }}}}}}}}}}}} | |||||||||
월드 시리즈 우승 연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03년 월드 시리즈 우승 팀 | |||||||||
대회 신설 | → | 보스턴 아메리칸스 | → | 1905 뉴욕 자이언츠 | ||||||
1912년 월드 시리즈 우승 팀 | ||||||||||
1911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 | 보스턴 레드삭스 | → | 1913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
1915년 / 1916년 월드 시리즈 우승 팀 | ||||||||||
1914 보스턴 브레이브스 | → | 보스턴 레드삭스 | → | 1917 시카고 화이트삭스 | ||||||
1918년 월드 시리즈 우승 팀 | ||||||||||
1917 시카고 화이트삭스 | → | 보스턴 레드삭스 | → | 1919 신시내티 레즈 | ||||||
2004년 월드 시리즈 우승 팀 | ||||||||||
2003 플로리다 말린스 | → | 보스턴 레드삭스 | → | 2005 시카고 화이트삭스 | ||||||
2007년 월드 시리즈 우승 팀 | ||||||||||
2006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보스턴 레드삭스 | → | 2008 필라델피아 필리스 | ||||||
2013년 월드 시리즈 우승 팀 | ||||||||||
2012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 보스턴 레드삭스 | → | 2014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2018년 월드 시리즈 우승 팀 | ||||||||||
2017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보스턴 레드삭스 | → | 2019 워싱턴 내셔널스 | }}}}}}}}}}}} | |||||
프랜차이즈 팀 기록 | ||||||||||
최고 승률 | .691 - (1912년, 154경기 105승 47패 2무) | |||||||||
최다 승 | 108승 - (2018년, 162경기 108승 54패) | |||||||||
최다 패 | 111패 - (1932년, 154경기 43승 111패) | |||||||||
최다 관중 | 3,062,699명 - 2009년 | |||||||||
최고 계약 | $331,000,000 - 2023년 라파엘 데버스 |
1. 개요
MLB의 프로야구단. 아메리칸 리그/동부 지구 소속으로 연고지는 보스턴. 과거 보스턴 아메리칸스라는 이름으로 창단해 1908년 보스턴 레드삭스로 팀명을 변경했다.
'세계 스포츠 구단 가치 순위' 에서 45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월드 시리즈 우승을 아홉 번 차지했다.
이와 함께 아메리칸 리그 우승 14회 그리고 동부 지구 우승 10회를 차지했지만 라이벌 뉴욕 양키스에 비해 전체적으로 우승 횟수가 적은 편이다.[3]1920년 베이브 루스를 양키스에 트레이드한 후 80년 넘게 월드 시리즈 우승과 멀어지면서 밤비노의 저주[4]라고 불리던 시절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던 2000년대 초, 존 헨리 구단주[5]가 들어오면서 테오 엡스타인 단장을 임명한 후 팀이 각성하였고, 드디어 2004년 월드 시리즈 우승으로 결국 86년 만에 밤비노의 저주를 끊어냈다.[6]
이후 2007년과 2013년, 2018년에도 우승을 차지하며 21세기 최초의 월드 시리즈 4회 우승팀에 등극했다.
2. 역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스턴 레드삭스/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스턴 레드삭스/역사#|]][[보스턴 레드삭스/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 역대 시즌
- 문서가 있는 역대 시즌
2.2. 역대 팀 엠블럼
| |||
| | | |
1901 ~ 1907 | 1908 | 1909 ~ 1911 | 1912 ~ 1923 |
| | | |
1924 ~ 1960 | 1961 ~ 1969 | 1970 ~ 1975 | 1976 ~ 2008 |
| |||
2009 ~ |
3. 특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스턴 레드삭스/이모저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스턴 레드삭스/이모저모#|]][[보스턴 레드삭스/이모저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홈 구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펜웨이 파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펜웨이 파크#|]][[펜웨이 파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영구 결번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bd3039> | 보스턴 레드삭스 영구결번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바비 도어 | 조 크로닌 | 자니 페스키 | 칼 야스트렘스키 | |
| | | | |
테드 윌리엄스 | 짐 라이스 | 웨이드 보그스 | 칼튼 피스크 | |
| | | ||
데이비드 오티즈 | 재키 로빈슨 | 페드로 마르티네스 |
보스턴 레드삭스는 영구결번 기준이 까다로운 구단 중 하나다. 원래는 10년 이상 보스턴에서 선수/감독으로 있었어야 했으며, 은퇴를 보스턴에서 해야 하며, 명예의 전당에 들어가야 한다라는 개빡센 조건을 달았다. 그래서 재키 로빈슨의 전 구단 영구결번이 선포된 1997년까지 바비 도어, 조 크로닌, 칼 야스트렘스키, 테드 윌리엄스 단 4명만이 영구결번이 되었다. 그러나 시카고 화이트삭스에서 은퇴한 칼튼 피스크가 2000년에 영구결번이 되면서 '은퇴를 보스턴에서 해야 한다'는 조건은 깨졌으며[7], 자니 페스키가 2008년 영구결번 되면서 '명예의 전당 입성'도 굳이 필요 없어진 상황이 되었다. 거기에 페드로 마르티네즈는 레드삭스에서 7시즌을 뛰었으니 10년 이상 선수/감독 조건도 완화됐다.[8] 그러니까 과거처럼 3개를 다 만족시키기보다는 2개 정도만 달성을 하면 가능한 상황이 되었다. 그러나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지 않고 결번된 선수는 사죄로 인해 결번된 자니 페스키뿐이므로 '명예의 전당 입성' 은 사실상 필수 조건이라고 볼 수 있다. 명예의 전당 입성 조건을 제외한 나머지 두 조건을 만족한 더스틴 페드로이아의 15번, 제이슨 배리텍의 33번, 팀 웨이크필드의 49번이 영구결번되지 않았기 때문.
1. 바비 도어(Bobby Doerr): 2루수로서 보스턴에서만 15년을 뛰면서 활약했던 선수. 1986년 베테랑 위원회의 결정으로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타격 성적은 평범한 편이지만, 좋은 수비력을 가졌던 선수. 1918년 4월생으로 2017년 11월에 타계. 향년 99세. 타계 전까지 마지막으로 남았었던 1930년대 야구선수.
4. 조 크로닌(Joe Cronin): 1935~1945년까지 보스턴에서 활약했는데, 준수한 공격력을 자랑했던 유격수였다. 영입 시부터 감독을 겸직해 은퇴 2년 후인 1947년까지 재직한 후, 뒤이어 1959년까지 단장까지 역임해 팀에 헌신했으나 톰 요키(1903~1976) 구단주처럼 지독한 인종주의자라 보스턴의 흑인 선수의 영입이 가장 늦도록 만든 장본인이다. 덕분에 놓친 선수가 저 유명한 호타준족의 상징 윌리 메이스. 그거 아니었으면 밤비노의 저주는 진작 깼을지도 모른다. 어쨌든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면서 영구결번. 1984년 9월 7일 77세의 나이로 매사추세츠에서 타계하였다.
6. 자니 페스키(Johnny Pesky):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지 않았음에도 영구결번을 준 최초의 선수. 1940년대 유격수로 활약하면서 괜찮은 활약을 보여줬다. 다만, 1946년 월드 시리즈 7차전에서 평범한 안타를 송구받아 잠시 방심하는 사이 세인트루이스의 1루주자 에노스 슬로터의 질주로 결승점을 내준 사건으로 인해 두고두고 욕먹기도 했다. 이후 1963년~1964년과 1980년 레드삭스 감독을 맡기도 했다. 2004년 극적인 우승 이후, 60년 가깝게 비난한 것이 맘에 걸렸는지 우측 파울 폴대를 페스키 폴이라고 이름 붙이기도 하고, 영구결번까지 주면서 과거 밑도 끝도 없는 비난에 대해 사죄한 듯. 2012년 8월 13일 93세를 일기로 매사추세츠의 단버스에서 타계하였다.
8. 칼 야스트렘스키(Carl Yastrzemski): 1960~70년대 타자들의 암흑기에 레드삭스 타선을 이끈 최고의 타자이며 바로 뒷번호에 영구결번 된 테드 윌리엄스의 후계자. 미겔 카브레라가 2012년에 달성할 때까지 MLB 최후의 타격 트리플 크라운 달성자였다. 타격 실력도 뛰어났고, 훌륭한 성품을 가진 선수라서 만인의 존경을 한 몸에 받았다. 23년간 레드삭스에서만 뛰며 통산 452홈런 3419안타를 기록했으며, 그린 몬스터 때문에 절대 수비가 쉽지 않은 펜웨이 파크의 좌익수로서 7번의 골드글러브를 차지했을 정도로 수비도 빼어났다. 레드삭스 역대 최초의 공식 캡틴.
9. 테드 윌리엄스(Ted Williams): 타격의 신. 메이저리그 최후의 4할 타자.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 참전으로 한창 전성기였던 5년의 세월을 날리고도 통산 타율 0.344, 521홈런 2654안타, 1839타점이란 대기록을 남겼다. 특히 통산 출루율에서는 그 베이브 루스를 앞서는 유일한 타자다.
14. 짐 라이스(Jim Rice): 최악의 투고타저 시기인 1970년대에 활약한 강타자. 통산 382홈런 2452안타를 기록했다. 1978년 리그 MVP를 기록했고, 2010년 15번째 마지막 투표에서 간신히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야즈의 뒤를 잇는 레드삭스 제2대 캡틴.
26. 웨이드 보그스(Wade Boggs): 1980년대와 90년대를 풍미했던 출루 머신. 총 5번의 아메리칸 리그 수위타자와 6번의 아메리칸 리그 최고 출루율을 기록했으며, 그중 4년 연속 수위타자, 5년 연속 최고 출루율을 달성하며 출루 능력 하나만큼은 역대급 선수. 더불어 3000안타 마일스톤을 최초로 홈런을 기록한 선수이며 2005년 명예의 전당에 첫 턴 입성에 성공했다. 레드삭스의 철천지 원쑤인 뉴욕 양키스에 제 발로 간 경력이 있어서 레드삭스에서의 영구결번은 사실상 받기 힘들어 보였으나 2015년 12월 21일, 레드삭스가 보그스의 26번을 영구결번 처리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27. 칼튼 피스크(Carlton Fisk): 보스턴에서 포수로 활약하며 빼어난 활약을 펼쳤고, 이후 시카고 화이트삭스로 가서 더 원숙한 기량을 선보였으며, 신인 시절부터 양키스의 캡틴 서먼 먼슨과의 맞짱 등 미친 존재감과 리더십으로 현지 올드팬들에게는 전설적인 커맨더(Commander)로 익숙하다. 그래서 두 구단에서 모두 영구결번(화이트삭스에서는 72번)되었고, 명예의 전당에도 입성한 MLB 역대급의 포수다. 비록 선수로서는 시카고에서 은퇴했지만 보스턴에 돌아가 프런트로 재직하고 명예의 전당에 레드삭스 모자를 쓰고 입성한 인연을 들어 영구결번 시켜줬다.[9]
34. 데이비드 오티즈(David Ortiz): 21세기 보스턴 최고의 스타. 비록 이적생 출신이긴 하나 14년간 보스턴의 강타자 및 클럽하우스 리더로서 맹활약했으며 밤비노의 저주를 깬 것을 포함하여 3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허나, 약물 복용자라는 어둠도 존재한다. 또한 약물 복용이 확인된 최초의 명예의 전당 입성자이기도 하다.[10]
42. 재키 로빈슨(Jackie Robinson): 전 구단 영구결번.
45. 페드로 마르티네스(Pedro Martinez): 메이저리그 역사상 가장 뛰어난 전성기를 보낸 선수로, 명실상부 현대 야구 최고의 투수 중 한 명이다. 2000년 조정 평균자책점(ERA+)가 291로 단연 1위다. 뿐만 아니라 양키스와의 라이벌리로도 굉장히 유명한 선수.
5.1. 레드삭스 명예의 전당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bd3039> | 보스턴 레드삭스 명예의 전당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1919,#ffffff | 에디 콜린스 | 지미 콜린스 | 조 크로닌 | 바비 도어 | 릭 페럴 |
지미 폭스 | 레프티 그로브 | 해리 후퍼 | 허브 페녹 | 레드 러핑 | |
베이브 루스 | 트리스 스피커 | 테드 윌리엄스 | 칼 야스트렘스키 | 톰 요키 | |
사이 영 | 토니 코니글리아로 | 돔 디마지오 | 프랭크 말존 | 자니 페스키 | |
짐 라이스 | 스모키 조 우드 | 진 R. 요키 | 칼튼 피스크 | 딕 오코넬 | |
멜 파넬 | 리코 페트로첼리 | 딕 래디츠 | 루이스 티안트 | 켄 콜먼 | |
드와이트 에반스 | 래리 가드너 | 커트 가우디 | 재키 젠슨 | 네드 마틴 | |
빌 몬부켓 | 레지 스미스 | 밥 스탠리 | 릭 벌레슨 | 데이브 페리스 | |
루 고먼 | 존 해링턴 | 텍스 휴슨 | 더피 루이스 | 짐 론보그 | |
프레드 린 | 웨이드 보그스 | 빌 캐리건 | 데니스 에커슬리 | 빌리 굿맨 | |
브루스 허스트 | 벤 몬도어 | 피트 러널스 | 헤이우드 설리반 | 딕 브레시아니 | |
엘리스 카인더 | 조 모건 | 제리 레미 | 조지 스캇 | 번 스티븐스 | |
딕 윌리엄스 | 조지 딕비 | 웨스 페럴 | 마이크 그린웰 | 에드워드 F. 케네디 시니어 | |
빌 리 | 에버렛 스캇 | 프랭크 설리반 | 모 본 | 토미 하퍼 | |
에디 카스코 | 짐 피어설 | 존 발렌틴 | 돈 짐머 | 마티 배럿 | |
엘리스 버크스 | 조 돕슨 | 더치 레너드 | 조 무니 | 커트 실링 | |
존 I. 테일러 | 조 카스티길론 | 로저 클레멘스 | 노마 가르시아파라 | 페드로 마르티네스 | |
아이라 플래그스테드 | 래리 루치노 | 제이슨 배리텍 | 팀 에이크필드 | 벅 프리먼 | |
알 그린 | 데릭 로우 | 마이크 로웰 | 케빈 유킬리스 | 빌 디닌 | |
댄 듀켓 | 리치 겟맨 | 데이비드 오티즈 | 매니 라미레즈 | 더스틴 페드로이아 |
5.2. 기타
추가적으로 현재 15번(더스틴 페드로이아), 21번(로저 클레멘스), 33번(제이슨 배리텍), 49번(팀 웨이크필드)은 영구결번 선포만 안 했을 뿐이지 사실상의 비공식 영구결번으로서 더 이상 지급되지 않고 있다.6.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bd3039> | 보스턴 레드삭스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ddd | 1대 지미 콜린스 ★★ 1901~1906 | 2대 칙 스탈 1906 | 3대 사이 영 1907 | 4대 조지 허프 1907 | 5대 밥 엉글라웁 1907 |
6대 디컨 맥과이어 1907~1908 | 7대 프레드 레이크 1908~1909 | 8대 팻시 도노반 1910~1911 | 9대 제이크 스탈 ★ 1912~1913 | 10대 빌 캐리건 ★★ 1913~1916 | |
11대 잭 배리 1917 | 12대 에드 바로우 ★ 1918~1920 | 13대 휴 더피 1921~1922 | 14대 프랭크 찬스 1923 | 15대 리 폴 1924~1926 | |
10대 빌 캐리건 1927~1929 | 16대 헤이니 와그너 1930 | 17대 샤노 콜린스 1931~1932 | 18대 마티 맥마너스 1932~1933 | 19대 버키 해리스 1934 | |
20대 조 크로닌 ☆ 1935~1947 | 21대 조 맥카시 1948~1950 | 22대 스티브 오닐 1950~1951 | 23대 루 보드로 1952~1954 | 24대 핑키 히긴스 1955~1959 | |
25대 루디 욕 1959 | 26대 빌리 저게즈 1959~1960 | 27대 델 베이커 1960 | 24대 핑키 히긴스 1960~1962 | 28대 조니 페스키 1963~1964 | |
29대 빌리 허만 1964~1966 | 30대 피트 루넬스 1966 | 31대 딕 윌리엄스 ☆ 1967~1969 | 32대 에디 포포스키 1969 | 33대 에디 카스코 1970~1973 | |
32대 에디 포포스키 1973 | 34대 대럴 존슨 ☆ 1974~1976 | 35대 돈 짐머 1976~1980 | 28대 조니 페스키 1980 | 36대 랄프 하욱 1981~1984 | |
37대 존 맥나마라 ☆ 1985~1988 | 38대 조 모건 1988~1991 | 39대 버치 홉슨 1992~1994 | 40대 케빈 케네디 1995~1996 | 41대 지미 윌리엄스 1997~2001 | |
42대 조 캐리건 2001 | 43대 그래디 리틀 2002~2003 | 44대 테리 프랑코나 ★★ 2004~2011 | 45대 바비 발렌타인 2012 | 46대 존 패럴 ★ 2013~2017 | |
47대 알렉스 코라 ★ 2018~2019 | 48대 론 로니키 2020 | 47대 알렉스 코라 2021~ | | ||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 아메리칸 리그 우승(월드 시리즈 미개최) |
7. 논란 및 사건사고
7.1. 두 번의 사인 훔치기 스캔들
2017년 9월 5일, 가을야구를 향해 달리던 보스턴 레드삭스를 뒤흔들만한 대형 악재가 터졌다. 사인 훔치기가 적발된 것인데, 이게 그냥 훔친거면 '사인 훔치려 들다 당하는 놈들이 바보다' 내지는 '걸린 놈들이 바보다'로 넘어갈런지 몰라도 애플 워치를 이용한 사인 훔치기가 적발되어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주요 피해구단은 역시나 뉴욕 양키스라고. 특히나 모범생이자 클럽하우스 리더로 칭송받던 더스틴 페드로이아도 연루된 것이 알려져서..... (뉴욕타임스 보도) 참고로 이후 사무국은 "구단주나 프런트가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며 보스턴에게 벌금 징계만 내렸다.#2019년에 발각된 것은 2019 MLB 사인 훔치기 스캔들 문서로.
8. 계약 중인 마이너리그 구단
8.1. 트리플 A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24>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24><colcolor=#fff> 투수 | 32 풀머 · 47 웹 · 48 셀루치 · 52 반 벨 · 53 올즈 · 55 아다메스 · # 밀스 · # 갬브렐 · # 드로한 · # 캠벨 · # 해리스 · # 앤더슨 · # 메디나 · # 가르시아 · # 애덤스 · # 모란 · # 뉴컴 · # 스탁 · # 크루즈 | |
포수 | # 콜로스배리 · # 자발라 | ||
내야수 | 5 퍼거슨 · 15 맥도노우 · 29 비넬라스 · 31 토로 · 32 밀러 · # 마이어 | ||
외야수 | 2 로시어 · 19 앤서니 · 36 캠벨 · 64 사익스ㆍ98 이튼 | ||
''' | |||
| }}}}}}}}} |
| |
우스터 레드삭스 | |
Worcester Red Sox | |
창단 | 2021년 |
계약년도 | 2021년 |
소속리그/지구 | 인터내셔널 리그 동부지구 |
연고지 | 매사추세츠 주 우스터 |
홈 구장 | 폴라 파크 |
1973년부터 2020년까지는 매사추세츠 주 포터켓(Pawtucket)에 위치했으나 2021년에 우스터로 연고를 옮겼다.
8.2. 더블 A
| |
포틀랜드 시도그스 | |
Portland Sea Dogs | |
창단 | 1994년 |
계약년도 | 2003년 |
소속리그/지구 | 이스턴 리그 동부지구 |
연고지 | 메인 주 포틀랜드 |
홈 구장 | 헤드록 필드 |
8.3. 하이 싱글 A
| |
그린빌 드라이브 | |
Greenville Drive | |
창단 | 1977년 |
계약년도 | 2005년 |
소속리그/지구 | 사우스 애틀랜틱 리그 남부지구 |
연고지 |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그린빌 |
홈 구장 | 시립 그린빌 스타디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1830> | 그린빌 드라이브 역대 감독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신시내티 레즈 산하 (1977~1978) | ||||
1대 짐 레트 (1977~1978) | |||||
피츠버그 파이리츠 산하 (1979~1980) | |||||
2대 톰 짐머 (1979) | 3대 조 프리시나 (1980) | ||||
뉴욕 메츠 산하 (1981~2004) | |||||
4대 대니 몬존 (1981) | 5대 리치 밀러 (1982) | 6대 존 타마고 (1983) | 7대 리치 밀러 (1984) | 8대 버드 해럴슨 (1985) | |
9대 리치 밀러 (1985) | 10대 터커 애시포드 (1986) | 11대 버치 홉슨 (1987~1988) | 12대 빌 스타인 (1989~1990) | 13대 팀 블랙웰 (1991~1992) | |
14대 론 워싱턴 (1993~1994) | 15대 하워드 프렐링 (1995~1996) | 16대 더그 만솔리노 (1997) | 17대 존 스티븐슨 (1997) | 18대 더그 데이비스 (1998) | |
19대 데이브 엔젤 (1999) | 20대 존 스티븐슨 (2000) | 21대 켄 오버크펠 (2001) | 22대 토니 티헤리나 (2002~2003) | 23대 잭 린드 (2004) | |
보스턴 레드삭스 산하 (2005~) | |||||
24대 채드 에퍼슨 (2005) | 25대 루이스 알리세아 (2006) | 26대 게이브 캐플러 (2007) | 27대 케빈 볼스 (2008~2009) | 28대 빌리 맥밀런 (2010~2011) | |
29대 카를로스 페브레스 (2012~2013) | 30대 대런 펜스터 (2014~2017) | 31대 이기 수아레즈 (2018~) |
8.4. 로우 싱글 A
| |
세일럼 레드삭스 | |
Salem Red Sox | |
창단 | 1968년 |
계약년도 | 2009년 |
소속리그/지구 | 캐롤라이나 리그 남부지구 |
연고지 | 버지니아 주 세일럼 |
홈 구장 | 세일럼 메모리얼 볼파크 |
8.5. 루키
| |
FCL 레드삭스 | |
Florida Complex League Red Sox | |
창단 | 1989년 |
계약년도 | 1989년 |
소속리그/지구 | 플로리다 컴플렉스 리그 남부지구 |
연고지 | 플로리다 주 윈터헤이븐 |
홈 구장 | 제트블루 파크 엣 펜웨이 사우스 |
9. 1라운드 지명선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bd3039> | 보스턴 레드삭스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65년 ~ | ||||
1965 빌리 코니글리아로 외야수 / 전체 5번 | 1966 켄 브렛 투수 / 전체 4번 | 1967 마이크 가먼 투수 / 전체 3번 | 1968 톰 마가드 외야수 / 전체 20번 | 1969 노엘 젠키 외야수 / 전체 13번 | |
1970 3루수 / 전체 16번 | 1971 짐 라이스 외야수 / 전체 15번 | 1972 조엘 비숍 유격수 / 전체 16번 | 1973 테드 콕스 유격수 / 전체 17번 | 1974 에디 포드 유격수 / 전체 20번 | |
1975 오티스 포스터 1루수 / 전체 15번 | 1976 브루스 허스트 투수 / 전체 22번 | 1977 앤드류 마덴 투수 / 전체 13번 | FA 마이크 토레즈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FA 스티브 렌코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
FA 스킵 록우드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81 스티브 라이온스 유격수 / 전체 19번 | 1981[1] 케빈 버렐 포수 / 전체 25번 | 1982[2] 샘 혼 1루수 / 전체 16번 | 1982 밥 파킨스 투수 / 전체 18번 | |
1982[3] 제프 레드베터 1루수 / 전체 26번 | 1983 로저 클레멘스 투수 / 전체 19번 | 1984 존 마자노 포수 / 전체 14번 | 1985 댄 가브리엘리 투수 / 전체 21번 | 1986 외야수 / 전체 14번 | |
1987 레지 해리스 투수 / 전체 26번 | 1987[4] 밥 주픽 외야수 / 전체 32번 | 1988 톰 피셔 투수 / 전체 12번 | 1989[5] 그렉 블로서 외야수 / 전체 16번 | 1989 모 본 1루수 / 전체 23번 | |
1989[5] 케빈 모튼 투수 / 전체 29번 | FA 토니 페냐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91 애런 셀레 투수 / 전체 23번 | 1991[7] J.J. 존슨 외야수 / 전체 37번 | 1991[8] 스캇 해티버그 포수 / 전체 43번 | |
FA 프랭크 바이올라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93 트롯 닉슨 외야수 / 전체 7번 | 1994 노마 가르시아파라 유격수 / 전체 12번 | 1995 앤디 욘트 투수 / 전체 15번 | 1995[9] 코리 젠킨스 외야수 / 전체 24번 | |
1996 조시 개럿 투수 / 전체 26번 | 1996[10] 크리스 레이츠마 투수 / 전체 34번 | 1997 존 커티스 투수 / 전체 17번 | 1997[11] 마크 피셔 외야수 / 전체 35번 | 1998 애덤 에버렛 유격수 / 전체 12번 | |
1999[12] 릭 아사두리안 외야수 / 전체 17번 | 1999[12] 브래드 베이커 투수 / 전체 40번 | 1999[14] 케이시 포섬 투수 / 전체 48번 | FA 호세 오퍼맨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0 필 더마트레 투수 / 전체 22번 | |
FA 매니 라미레즈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FA 자니 데이먼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3 데이비드 머피 외야수 / 전체 17번 | 2003[15] 맷 머튼 외야수 / 전체 32번 | FA 키스 폴크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
2005[16] 자코비 엘스버리 외야수 / 전체 23번 | 2005[17] 크레이그 헨슨 투수 / 전체 26번 | 2005[18] 클레이 벅홀츠 투수 / 전체 42번 | 2005[16] 제드 라우리 2루수 / 전체 45번 | 2005[17] 마이클 보우덴 투수 / 전체 47번 | |
FA 에드가 렌테리아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6 제이슨 플레이스 외야수 / 전체 27번 | 2006[21] 다니엘 바드 투수 / 전체 28번 | 2006[21] 크리스 존슨 투수 / 전체 40번 | 2006[23] 케일럽 클레이 투수 / 전체 44번 | |
2007[24] 닉 하가돈 투수 / 전체 55번 | 2007[25] 라이언 덴트 유격수 / 전체 62번 | FA 훌리오 루고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8 케이시 켈리 유격수 / 전체 30번 | 2008[26] 브라이언 프라이스 투수 / 전체 45번 | |
2009 레이 푸엔테스 중견수 / 전체 28번 | 2010 콜브린 비텍 2루수 / 전체 20번 | 2010[27] 브라이스 브렌츠 좌익수 / 전체 36번 | 2010[28] 앤서니 레나도 투수 / 전체 39번 | 2011[29] 맷 반스 투수 / 전체 19번 | |
2011[30] 블레이크 스와이하트 포수 / 전체 26번 | 2011[29] 헨리 오웬스 투수 / 전체 36번 | 2011[30] 재키 브래들리 주니어 외야수 / 전체 40번 | FA 칼 크로포드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12 데븐 마레로 유격수 / 전체 24번 | |
2012[33] 브라이언 존슨 투수 / 전체 31번 | 2012[33] 팻 라이트 투수 / 전체 37번 | 2013 트레이 볼 투수 / 전체 7번 | 2014 마이클 체이비스 유격수 / 전체 26번 | 2014[35] 마이클 코펙 투수 / 전체 33번 | |
2015 앤드류 베닌텐디 외야수 / 전체 7번 | 2016 제이 그룸 투수 / 전체 12번 | 2017 태너 하우크 투수 / 전체 24번 | 2018 트리스턴 카서스 3루수 / 전체 26번 | 사치세 초과로 인한 지명권 후퇴 | |
2020 닉 요크 2루수 / 전체 17번 | 2021 마르셀로 마이어 유격수 / 전체 4번 | 2022 미키 로메로 유격수 / 전체 24번 | 2023 카일 틸 포수 / 전체 14번 | 2024 브레이든 몽고메리 외야수 / 전체 12번 | |
* | }}}}}}}}} |
[1] FA 짐 다이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FA 프랭크 타나나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FA 조 루디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4] 그렉 맥머티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5] FA 브루스 허스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7] FA 래리 앤더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8] FA 마이크 보디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9] FA 데이먼 베리힐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0] FA 에릭 핸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1] FA 로저 클레멘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2] FA 모 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2] [14] FA 그렉 스윈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5] FA 클리프 플로이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6] FA 올랜도 카브레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7] FA 데릭 로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8] FA 페드로 마르티네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6] [17] [21] FA 자니 데이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1] [23] FA 빌 밀러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4] FA 알렉스 곤잘레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5] FA 키스 폴크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6] FA 에리크 가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7] FA 빌리 와그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8] FA 제이슨 베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9] FA 빅터 마르티네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0] FA 아드리안 벨트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9] [30] [33] FA 조나단 파펠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3] [35] FA 자코비 엘스버리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10. 유망주 순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d3039> | MLB.com 선정 보스턴 레드삭스 2025 유망주 TOP 3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 <rowcolor=#ffffff> 1위 (전체 2위) | 2위 (전체 7위) | 3위 (전체 12위) | 4위 (전체 75위) | 5위 |
로만 앤서니 (OF) | 크리스찬 캠벨 (2B/SS/OF) | 마르셀로 마이어 (SS) | 프랭클린 아리아스 (SS/2B) | 루이스 페랄레스 (RHP) | |
<rowcolor=#fff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조스틴손 가르시아 (OF) | 요엘린 세스페데스 (SS/2B) | 도리안 소토 (SS) | 데이비드 샌들린 (RHP) | 코널리 얼리 (LHP) | |
<rowcolor=#fff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요페리 로드리게스 (OF) | 미키 로메로 (SS/2B) | 미겔 블레이스 (OF) | 헌터 도빈스 (RHP) | 리차드 피츠 (RHP) | |
<rowcolor=#fff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저스틴 곤잘레스 (1B/OF) | 페이튼 톨 (LHP) | 콘래드 카슨 (RHP/SS) | 후안 발레라 (RHP) | 달빈손 레예스 (RHP) | |
<rowcolor=#fff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제딕손 파에스 (RHP) | 넬리 테일러 (OF) | 앨런 카스트로 (OF) | 조르다니 모네그로 (RHP) | 나잔 잔텔로 (SS) | |
<rowcolor=#fff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요안프란 가르시아 (C) | 루이스 게레로 (RHP) | 블레이크 위헌트 (RHP) | 조조 인그라시아 (LHP) | 브랜든 클라크 (LHP) | |
출처 |
11. 40인 로스터 목록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bd3039>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bd3039><colcolor=#ffffff> 투수 | 0 뷸러 · 19 뉴컴 · 22 휘틀록 · 25 윈코스키 · 31 헨드릭스 · 32 윌슨 · 35 크로셰 · 43 산도발IL-60 · 44 채프먼 · 50 크로포드IL-15 · 54 지올리토IL-15 · 57 와이서트 · 63 슬레이튼 · 64 크리스웰40인 · 66 베요 · 67 펜로드IL-60 · 72 머피IL-60 · 73 도빈스40인 · 76 켈리40인 · 80 피츠IL-15 · 83 버나디노 · 89 하우크 · 93 페랄레스40인 · 99 게레로40인 | |
포수 | 12 웡IL-10 · 18 세이볼 · 75 나바에스 | ||
내야수 | 2 브레그먼 · 5 그리솜40인 · 10 스토리 · 11 데버스 · 17 해밀턴 · 20 소가드40인 · 23 곤잘레스 · 28 캠벨 · 36 카서스 | ||
외야수 | 3 라파엘라 · 7 요시다IL-10 · 16 듀란 · 30 레프스나이더 · 52 아브레우 · 91 가르시아40인 | ||
'''''' | |||
|
12. 관련 링크
13. 둘러보기
계열 스포츠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bd303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보스턴 레드삭스 | 리버풀 FC | 피츠버그 펭귄스 | RFK 레이싱 |
2004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선정 올해의 스포츠맨들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팀 던컨 데이비드 로빈슨 | → | 보스턴 레드삭스 | → | 톰 브래디 | }}}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213459><tablewidth=320><tablebgcolor=#213459>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NFL | MLB | NBA |
| | | |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 | 보스턴 레드삭스 | 보스턴 셀틱스 | |
NHL | MLS | MLR | |
| | | |
보스턴 브루인스 |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 뉴잉글랜드 프리잭스 |
[1]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보스턴 브레이브스, 1933년부터 1936년까지 NFL 보스턴 레드스킨스, 1963년부터 1968년까지 NFL 보스턴 패트리어츠와 공용.[2] 흔히 크레이그 브레슬로를 사장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 케네디의 직함이 President&CEO이므로 케네디를 사장이라 보는 것이 맞다. 그러나 브레슬로 또한 CBO라는 직함으로 야구 전반을 책임지므로 실질적으로는 스포츠 마케팅 등 야구 외적 부분의 사장은 샘 케네디, 야구에 관한 부분의 사장은 브레슬로라 보는 것이 타당할 듯 하다.[3] 물론 이건 보스턴의 우승 횟수가 적다기 보다는 양키스의 우승 횟수가 많은거다.(27회로, 당연히 1위다.) 보스턴의 우승 횟수 9번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함께 공동 3위의 기록으로, 메이저 리그 전체로 치면 많은 편에 속한다. 심지어 이 분야 2위인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도 11회로 양키스의 우승 횟수에 비하면 절반 넘게 모자르다.[4] 실제로 1946년, 1967년, 1975년, 1986년에 월드 시리즈에 올랐으나 4번 모두 7차전 접전 끝에 안타깝게도 드라마틱하게 패배하여 밤비노의 저주라는 소리를 들어야 했다. 참고로 밤비노는 루스의 별명으로, 아기라는 뜻의 이탈리아어.[5] 세이버메트릭스의 대부 빌 제임스를 자문역에 임명한 인물이다. 애초에 빌리 빈을 영입하려는 시도도 했고, 젊은 테오 엡스타인이 단장이 될 수 있었다는 것부터가 존 헨리식 변혁의 시작이었다.[6] 2004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양키스를 상대로 7전 4선승제 매치 역사상 최초의 3패 후 4연승으로 리버스 스윕을 달성했고, 월드 시리즈에서는 휴스턴 애스트로스와 피 터지는 격전 끝에 꺾고 올라온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를 스윕하면서 우승을 했다. 2004년 월드 시리즈 후 스폰서 나이키가 낸 광고는 그야말로 눈물난다. http://www.youtube.com/watch?v=I2JbRYrmf74 특히 ALCS에서 레드 삭스의 에이스였던 커트 실링은 부상당한 발목에서 피가 배어나옴에도 불구하고 분투하여 핏빛 투혼이라는 별명과 함께 팀 우승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세간에선 실링의 피 혹은 블러드삭스로 밤비노의 저주를 풀었다고 할 정도. 다만 이는 실링의 성격으로 보아 이목을 끌기 위한 쇼였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그러나 월드 시리즈 이후로 한동안 목발을 짚고 다녔고, NFL의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의 홈경기에 초대받아서 월드 시리즈 우승 트로피를 들고 나타났을 때도 두꺼운 드레싱에 목발을 짚었던 것으로 보아 발목 부상 자체는 명백한 사실이라고 볼 수 있다.[7] 그러나 칼튼 피스크가 선수로서 은퇴한 후 한동안 레드삭스 구단 프런트로 일했던 것을 레드삭스에서의 은퇴로 인정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8] 페드로의 영구결번 선포 이후 레드삭스 홈페이지에 있던 영구결번 조건이 삭제되었다.[9] 사실 말년에 화이트삭스 구단주 측과 굉장히 사이가 틀어져서 그런 것도 있다.[10] 물론 오티즈 문서에 있듯이 현지에서 이 검사는 부정확하다는 여론이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