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15:41:31

동대구JC

동대구분기점에서 넘어옴
동대구 분기점
東大邱 分岐點
East Daegu Junction
파일:Expressway_kor_1.svg
도동JC
4.0 km →
파일:Expressway_kor_55.svg
파일:Expressway_kor_700.svg
종점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
관리기관
경부고속도로 한국도로공사 대구경북본부 대구지사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
개통
경부고속도로 1969년 12월 29일
중앙고속도로 2005년 7월 15일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2022년 3월 31일

1. 개요2. 구조
2.1. 경부고속도로
2.1.1. 서울 방향2.1.2. 부산 방향
2.2. 중앙고속도로
2.2.1. 춘천 방향2.2.2. 부산 방향
2.3. 상매 분기점 연결도로
2.3.1. 동대구 방향2.3.2. 상매 방향
3. 역사4. 여담5. 외부 링크6. 둘러보기 틀

[clearfix]

1. 개요

경부고속도로 13번. 중앙고속도로 11번.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에 있는 경부고속도로중앙고속도로분기점.

원래 이 위치에는 동대구 나들목이 운영 중이었으나, 나들목 부지에 분기점이 만들어지는[1] 중앙고속도로의 노선 계획 때문에 기존 경부고속도로 상에 동대구 나들목2005년 7월 15일 부로 중앙고속도로동대구 분기점 - 동대구 나들목 구간이 임시 개통과 함께 현 위치로 이설되어 중앙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변경되었고, 기존의 나들목은 이 분기점으로 변경되었다. 호남고속도로지선(당시 호남고속도로 본선)의 서대전 분기점 - 서대전 나들목과 사정이 똑같다.

파일:attachment/dongdaeguic.jpg

156번을 타고 신덕마을 못 가서 있는 종점에 내리면 이 분기점에서 부산 방향으로 내려가는 차량들을 볼 수 있다.

2. 구조

2.1. 경부고속도로

2.1.1. 서울 방향

2.1.2. 부산 방향

2.2. 중앙고속도로

2.2.1. 춘천 방향

2.2.2. 부산 방향

2.3. 상매 분기점 연결도로

2.3.1. 동대구 방향

2.3.2. 상매 방향

3. 역사

4. 여담

5. 외부 링크

6.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1.svg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안성SA부산방향
- -
안성SA서울방향
- - - - - - - - - - - - - - - - -
1: 중앙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2: 서산영덕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3: 당진청주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55.svg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삼락IC - 대저JC(파일:Expressway_kor_10.svg) - 초정IC - 대동IC/대동TG - 대감JC(파일:Expressway_kor_600.svg) - 대동JC(파일:Expressway_kor_551.svg) - 상동IC - 삼랑진IC - 남밀양IC - 밀양IC - 밀양JC(파일:Expressway_kor_14.svg) -
청도새마을SA - 청도IC - 수성IC - 동대구IC - 동대구JC(파일:Expressway_kor_1.svg·파일:Expressway_kor_700.svg)1 - 도동JC(파일:Expressway_kor_20.svg)1 - 북대구IC1 - 금호JC(파일:Expressway_kor_1.svg·파일:Expressway_kor_451.svg)1 - 칠곡IC - 동명동호IC(파일:Expressway_kor_700.svg) -
동명SA - 다부IC - 가산IC - 군위JC(파일:Expressway_kor_301.svg) - 군위IC - 군위SA - 의성IC - 안동JC(파일:Expressway_kor_30.svg) - 남안동IC - 안동SA - 서안동IC - 예천IC - 영주IC - 영주SA -
풍기IC - 단양IC - 단양팔경SA - 북단양IC - 남제천IC - 제천JC(파일:Expressway_kor_40.svg) - 제천SA - 제천IC - 신림IC - 치악SA - 남원주IC - 만종JC(파일:Expressway_kor_50.svg) -
신평JC(파일:Expressway_kor_52.svg) - 북원주IC - 원주SA - 횡성IC - 홍천IC - 홍천강SA - 춘천JC(파일:Expressway_kor_60.svg) - 춘천SA - 춘천TG - 춘천IC
1: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1] 호남고속도로지선 서대전분기점도 마찬가지로 서대전나들목 자리에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서대전분기점 접속관련으로 이전되었다.[2] 대구~부산 고속도로 착공 .. 건교부, 2006년 개통 목표 한국경제 010208[3] 개수-부산고속 일부구간 임시개통 세계일보 050713[4] Y자 변형꼴에서 꽤나 기이한 모양으로 바뀌었는데, 이는 중앙고속도로(대구 - 부산) 개통 당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의 개통을 고려하지 못했기에 동대구 분기점의 램프 추가 설치 가능성을 생각하지 못하고 구조를 설계했기 때문이다.[5] 참고로 p턴 램프로 설치될 예정인데 이 또한 동대구 분기점의 기형적 모양으로의 변신에 많은 부분 기여하고 있다.[6] 광장의 뜻은 도시 속의 개방된 장소로서 많은 사람들이 모일 수 있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넓은 공간인데... 고속도로 나들목이나 고속도로 분기점이 어떻게 광장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