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분기점 軍威 分岐點 Gunwi Junction | ||
상주 방면서군위IC ← 13.3 km | 상주영천선3 | 영천 방면 동군위IC 10.8 km → |
부산 방면가산IC ← 7.8 km | 중앙선17-1 | 춘천 방면 군위IC 4.4 km → |
주소 | ||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내리리,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오로리 | ||
관리기관 | ||
중앙선 | 한국도로공사 대구경북본부 군위지사 | |
상주영천선 | 상주영천고속도로㈜ | |
개통 | ||
2017년 6월 28일 |
[clearfix]
1. 개요
중앙고속도로 17-1번, 상주영천고속도로 3번.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내리리와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오로리에 걸쳐있는 중앙고속도로와 상주영천고속도로의 분기점. 명칭은 소재지인 군위군에서 따왔다.평택JC와 동일한 이중 트럼펫형 구조로 설계됐다. 중앙고속도로는 도로공사 구간, 영천상주고속도로는 민자 구간이라 통행료 정산을 위해 중간에 요금소를 설치해야 했고[1], 두 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은 영천상주선이 곧바로 불로터널로 진입해야 하는 등 지형상의 난점도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를 도입했다. 특이한 점이라면 연결도로가 2km를 넘을 정도로 길다는 것. 서해안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 사이의 둔대JC-팔곡JC 연결 구간보다 길고, 논산천안고속도로-서산영덕고속도로 사이의 북공주JC-공주IC 구간과 비교해도 비슷하거나 살짝 길다.
영천JC에서는 대구방면 진출 및 상주방면 진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따라서 대구방면으로 가기 위해선 반드시 이 JC를 거쳐야 한다.
2. 구조
더블트럼펫형으로 건설되었다.중앙고속도로와 상주영천고속도로가 중앙고속도로 위에서 분기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바로 상주영천고속도로의 불로터널 때문이다. 덕분에 진출입로가 길다.
2.1. 중앙고속도로
2.1.1. 춘천 방향(상행선)
2.1.2. 부산 방향(하행선)
2.2. 상주영천고속도로
2.2.1. 상주 방향(하행선)
2.2.2. 영천 방향(상행선)
3. 역사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삼락IC - 대저JC( 청도새마을SA - 청도IC - 수성IC - 동대구IC - 동대구JC( 동명SA - 다부IC - 가산IC - 군위JC( 풍기IC - 단양IC - 단양팔경SA - 북단양IC - 남제천IC - 제천JC( 신평JC( | ||
1: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낙동JC( 신녕IC - 화산JC( | ||
1. 서산영덕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