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20:45:30

대동TG

대동 요금소
大東 料金所
Daedong Tollgate
파일:Expressway_kor_55.svg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대동로 756-118 (괴정리)
관리기관
중앙선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양산지사
개통
1996년 6월 28일

1. 개요2. 구조
2.1. 춘천 방향2.2. 부산 방향
3. 역사4. 일평균 통행량5. 둘러보기

1. 개요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괴정리에 있는 중앙고속도로 본선 상에 있는 폐쇄식 요금소. 명칭은 소재지인 대동면에서 유래했다. 나들목이 요금소 북쪽과 남쪽으로 위치해 있다.

서부산, 북부산 주민들이 경부고속도로 연선지역을 가기 위해 꼭 지나가야 하는 장소.

부산권의 5개 요금소인 부산, 북부산, 서부산, 해운대(송정), 대동 중 가장 통행량이 높은 요금소다.[1] 밀양, 양산의 단거리 수요와 서부산권 주민들이 경부선권으로 나가기 위한 주 통로이며, 부산외곽순환선 개통 이후 해안순환도로가 돈은 돈대로 더 나가는데 완벽개통이 되지않아 이동시간은 안줄어들고 결국 광안대교에서 막히는 건 같아 동서고가도로의 우회도로 역할을 톡톡히 하고있기 때문에 통행량이 더더욱 높아졌다.

초정 나들목부터 이 곳까지의 구간은 갓길 가변차로제가 시행 중인데, 사실상 상습정체구간이라 가변차로는 긴급 차량 통행이 필요할 때가 아닌 이상 항상 통과가 가능하다.

특히 부산신항을 출/도착으로 하는 대부분의 화물차가 초정IC를 지나 대동TG를 이용하는 문제로, 중앙고속도로지선을 김해JC에서 부산신항까지 연장하는 속칭 김해고속도로, 김해~부산(신항)고속도로가 예비타당성 면제대상으로 선정되었으나 아직 착공이 되지 않은 상태이다.

2. 구조

2.1. 춘천 방향

2.2. 부산 방향

3. 역사

4. 일평균 통행량

2015년 2016년 2017년
37,918대 39,777대 40,578대
출처: 한국도로공사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55.svg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삼락IC - 대저JC(파일:Expressway_kor_10.svg) - 초정IC - 대동IC/대동TG - 대감JC(파일:Expressway_kor_600.svg) - 대동JC(파일:Expressway_kor_551.svg) - 상동IC - 삼랑진IC - 남밀양IC - 밀양IC - 밀양JC(파일:Expressway_kor_14.svg) -
청도새마을SA - 청도IC - 수성IC - 동대구IC - 동대구JC(파일:Expressway_kor_1.svg·파일:Expressway_kor_700.svg)1 - 도동JC(파일:Expressway_kor_20.svg)1 - 북대구IC1 - 금호JC(파일:Expressway_kor_1.svg·파일:Expressway_kor_451.svg)1 - 칠곡IC - 동명동호IC(파일:Expressway_kor_700.svg) -
동명SA - 다부IC - 가산IC - 군위JC(파일:Expressway_kor_301.svg) - 군위IC - 군위SA - 의성IC - 안동JC(파일:Expressway_kor_30.svg) - 남안동IC - 안동SA - 서안동IC - 예천IC - 영주IC - 영주SA -
풍기IC - 단양IC - 단양팔경SA - 북단양IC - 남제천IC - 제천JC(파일:Expressway_kor_40.svg) - 제천SA - 제천IC - 신림IC - 치악SA - 남원주IC - 만종JC(파일:Expressway_kor_50.svg) -
신평JC(파일:Expressway_kor_52.svg) - 북원주IC - 원주SA - 횡성IC - 홍천IC - 홍천강SA - 춘천JC(파일:Expressway_kor_60.svg) - 춘천SA - 춘천TG - 춘천IC
1: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1] 양산이북에서 동래, 동부산을 제외하면 경부선보다 본도로를 이용하는게 빠르기 때문.[2] 양산~西부산 고속道 부분 개통, 1996-05-01, 동아일보 서울에서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를 통해 오면 서울TG, 김해부산TG, 대동TG 세개를 거쳐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