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4 12:37:15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

파일:dnf_logo.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010101><colcolor=#ffffff> 기본정보
캐릭터
설정
전문직업
아이템
기타
}}}}}}}}} ||


1. 개요2. 장비
2.1. 세트 옵션2.2. 흑아 세트 장비2.3. 일반 장비2.4. 고유 장비2.5. 유일 장비2.6. 버퍼 고유 장비
3. 무기
3.1. 일반 무기3.2. 레거시 무기3.3. 새겨진 기억의 해방
4. 융합석

1. 개요

던전앤파이터의 115레벨 장비 아이템에 대해 서술한 문서.

2025년 1월 9일 중천 시즌으로 인해 장비 시스템 자체가 크게 개편되었다. 시즌 8~9 동안은 사실상 노랑 마봉 급으로 수급이 쉬운 에픽 장비를 중심으로 에픽 장비 세팅이 중심이 되었으나[1] 중천 시즌은 레어부터 차근차근 올라가는 구조가 되었다.

115레벨 달성 시 레어 세트가 지급된다.

2. 장비

115제 방어구(상의, 하의, 머리어깨, 벨트, 신발), 악세서리(목걸이, 반지, 팔찌), 특수장비(보조장비, 마법석, 귀걸이)는 총 12종의 세트 옵션을 가진다. 그리고 그에 따른 세트 포인트도 가지고 있다. 장비들을 장착하다 보면, 세트 포인트가 쑥쑥 올라가며 이에 따라 세트 옵션의 레어리티도 올라가고, 이 경우 세트 옵션이 강화된다.

장비를 해체하면 무기고에 들어가게 되며, 무기고에서는 보유 중인 장비의 세트 포인트와 옵션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착용중인 장비를 무기고 내의 장비로 일괄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마부, 증폭, 융합석들도 모조리 이관된다.

하위 단계 장비는 조율 과정을 통해 세트 포인트가 증가하고, 3단계 조율 시 다음 레어리티로 승급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에픽 장비까지 차근차근 올라가는 것이 시즌 10의 파밍 방향. 다만 태초 장비로는 승급하지 못하는데, 향후 시스템과 콘텐츠에 맞춰 승급할 수 있도록 준비할 예정이다. 그 전까지는 종말의 숭배자를 위시로 하는 지옥파티 파밍을 돌릴 수밖에 없다.

조율의 경우 레어~에픽 등급까지의 장비에 최대 3번까지 할 수 있다. 매 시도시마다 해당 레어리티와 동급의 소울, 그리고 골드or잔흔을 일정량 요구하며, 아이템 등급이 높아질수록 요구하는 골드량도 많아진다. '조율 취소'를 통해 조율을 해제할 수 있으며, 이때는 조율에 소모한 소울은 그대로 반환되지만 골드는 반환되지 않는다.
방어구 조율의 경우 기본적으로 1회당 세트 포인트 10pt를 획득하며, 3번 조율 후 승급을 시도할 수 있다. 승급시 일정량의 다음 단계 레어리티의 소울과 골드or잔흔, 그리고 보이드 소울을 소모하며, 조율 취소와 달리 승급시 3회 조율에 사용한 소울은 반환되지 않는다. 이때문에 승급은 매우매우 효율이 극악한 것으로 유명해 차라리 초월을 하는 걸 권장할 정도. 방어구 조율 자체도 세트포인트 획득 외에는 아무런 부가 효과도 없기 때문에 조율 자체만으로는 캐릭터의 스펙에 어떠한 영향도 없으며, 조율을 통해 얻은 세트포인트로 세트포인트 단계를 올리는 것이 주 목적이다. 소모되는 소울의 양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2] 조율을 위주로 세트포인트 단계를 올리는 것은 힘들기도 하거니와, 세트포인트만 얻고 장비의 레어리티가 올라가면서 생기는 기본 최종뎀 증가가 빠지기 때문에 조율 없이 상위 레어리티 장비로 셋포 단계를 맞춘 것에 비해 확연히 약해 조율 위주로 셋포를 올리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가장 추천되는 것은 다음 단계까지 20pt이하로 소량의 포인트만 남았을 때 저레어도 장비에 깔짝 조율을 해주는 정도.

반면 무기 조율의 경우 조율에 소모되는 골드와 소울의 양이 동일 레어도 방어구 대비 50% 추가로 들어가는 대신, 명성치 상승은 물론 최종데미지/버프력이 상승하기 때문에 상당히 유의미한 스펙업 수단이 된다. 3조율 레전더리 레거시 무기는 전시즌 종결 무기였던 최종 업그레이드 안개신 무기를 상회하며, 2조율 에픽 레거시 무기는 태초의 별 무기와 비교해도 큰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 따라서 스펙업이 급하다면 무기 조율은 진지하게 고려해볼만 하며, 태초무기를 반드시 노리는 게 아니라면 에픽 레거시 무기 3조율을 종결로 치는 유저도 많다.

2.1. 세트 옵션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dnf_logo.png
던전앤파이터의 115레벨 세트 옵션

||<nopad>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고대 전장의 발키리|
파일:고대 전장의 발키리.png
고대 전장의 발키리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그림자에 숨은 죽음|
파일:그림자에 숨은 죽음.png
그림자에 숨은 죽음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마력의 영역|
파일:마력의 영역.png
마력의 영역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무리 사냥의 길잡이|
파일:무리 사냥의 길잡이.png
무리 사냥의 길잡이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세렌디피티|
파일:세렌디피티.png
세렌디피티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소울 페어리|
파일:소울 페어리.png
소울 페어리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압도적인 자연|
파일:압도적인 자연.png
압도적인 자연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에테리얼 오브 아츠|
파일:에테리얼 오브 아츠.png
에테리얼 오브 아츠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영원히 이어지는 황금향|
파일:영원히 이어지는 황금향.png
영원히 이어지는 황금향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용투장의 난|
파일:용투장의 난.png
용투장의 난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칠흑의 정화|
파일:칠흑의 정화.png
칠흑의 정화
]]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세트 옵션#한계를 넘어선 에너지|
파일:한계를 넘어선 에너지.png
한계를 넘어선 에너지
]]
||

2.2. 흑아 세트 장비

흑아 장비는 에픽 이상의 세트 장비 악세사리에 흑아 변환서를 발라서 만들 수 있다. 에픽 등급과 태초 등급에 사용하는 변환서와 재료는 다르므로 유의. 사용 시 기존 세트 장비보다 세트 포인트가 50 낮아지는 대신 명성이 100, 최종 데미지가 3%p 더 높아진다[3]. 조율이나 같은 세트 내 상위 레어리티 장비 일부 착용 등으로 세트 포인트가 현재 등급 기준으론 남아돌고 다음 등급으로 넘어가기는 애매하거나 태초 등급이라 세트 포인트를 더 올려도 의미가 없는 상태에서 잉여 세트 포인트를 대신할 스펙업으로 쓸 수 있다. 태초 등급 이전까지는 세트 포인트 50의 가치가 최종 데미지 3%p를 상회하고 변환 비용도 상당히 비싸서 보통 태초 등급을 달성한 후에나 고려하게 된다.

미의 여신 베누스 출시 이후에는 흑아를 포기하는 대신 세트 융합석보다 단일 효과가 강력한 고유 융합석을 사용하는 선택지도 생겼다. 물론 세트 포인트가 널널하다면 병행하는 것도 일부나마 가능하고, 고유 융합석은 정가[4]가 불가능한 순수 운빨로만 획득할 수 있으므로 획득 상태에 따라 사용 여부를 결정하면 된다.

2.3. 일반 장비

115레벨을 달성하면 주어지는 장비. 세트 포인트를 광범위하게 제공하는 레어 장비로, 조율과 승급을 통해 원하는 세트 장비로 승급할 수 있다.

2.4. 고유 장비

고유 장비는 세트 장비에 비해 최종 데미지가 약 2.9% 낮은 대신 레어 장비처럼 공통 세트 포인트를 제공하는 장비이며, 레어리티에 따른 세트 포인트 또한 일반 세트 장비와 동일한 (115 - 유니크/165 - 레전더리/215 - 에픽)이다.[5] 즉, 어떤 세트 장비와 같이 껴도 해당 세트의 세트 포인트를 올려준다. 대신 장비 변환이 불가능하고 조율과 승급을 하지 못하므로 기본적으로는 목표 세트 부위를 전부 마련하지 못했을 때 땜빵으로 쓰는 장비다.

다만 각 고유 장비에는 추가 유틸리티가 붙어 있어 몇몇 부위는 데미지 감소를 감안하고 채용할 가치가 있고, 또한 귀걸이를 제외하면 버프력은 전혀 손해보지 않으므로 버퍼의 경우에도 유틸을 보고 취사 선택하면 된다.

고유 장비는 상급 던전에서 일정 확률로 결과 카드에서 등장하는 '중천 상급 던전 고유 장비 항아리'에서만 획득할 수 있으며, 악세사리 부위의 고유 장비는 태초 등급의 장비가 존재하지 않는다.

기존 세트 장비에서 변경되는 유틸리티 옵션은 다음과 같다.
부위 옵션 아이템 등급
유니크 레전더리 에픽
머리어깨 공격속도/캐스팅속도 상승 +0%
공격 시 n px 내의 적을 모아주는 안개 구슬 생성
(쿨타임 10초)
100px 200px 400px
상의 HP/MP MAX +0%
물리/마법 피해 감소
+10% +15% +20%
하의 물리/마법 피해 감소 +0%
1초 동안 대시 유지시 n초 동안 무적시간 부여
0.3초 0.5초 1초
벨트 모든 상태이상 내성 +0%
백스탭 강화 쿨타임
-3초 -5초 -10초
신발 이동속도[6] +24% +29%
모든 속도 +20% +30% +50%
팔찌 모든 속성 강화 +50
특수 오브젝트 데미지
+3% +6% +10%
목걸이 모든 속성 강화 +40
Hp Max 수치의 n% 보호막 부여
+10% +20% +30%
Hp 회복 시 해당 수치의 n%만큼 보호막 회복 +10% +30% +50%
반지 모든 속성 강화 +40
퀵 스탠딩 앉아있을 때 최대 무적 시간
+0.3초 +0.5초 +1초
보조장비 물리/마법 크리티컬 히트 +20% +25% +30%
마법석 동급 세트 장비 대비 최종 대미지 감소율 7.3%
스킬 쿨타임 감소 25%
귀걸이 추가 모든 스탯 +0 [7]
스킬 범위
+10% +20% +30%

눈여겨 볼 부위는 신발과 마법석이다.

2.5. 유일 장비

우아한 기품의 향수

유일 장비
최상급(100%)
0.3kg


태초

레벨제한 115
교환불가(밀봉)
마법석
30,976 골드
파일:모험가명성.png모험가 명성 2770
힘 179
지능 179
체력 179
정신력 179
<베누스의 은총>
장착 중인 가장 높은 세트 포인트 2100점 이상에서만 능력을 발휘합니다.
세트 포인트 2550이상 달성 시 더 강한 효과가 발동됩니다.
최종 데미지
48.7%
증가
정밀도
최종 데미지 13.1% 증가
공격력 증가 +4106.0%
스킬 쿨타임 15% 감소 (각성기 제외)
[지진파]
정밀도 25% 달성 시 [지진파]옵션 추가
공격 시 적에게 [지진파]를 발생시켜 주변 모두를 공격합니다. (쿨타임 30초)
- 피해량 45,900%
- 정밀도 25% 마다 피해량 45,900% 증가, 범위 50%증가(최대 75%)

[경배하라]
정밀도 100% 달성 시 마을에서 일반 채팅으로 '경배하라' 입력 시 경배하라 이펙트가 출력됩니다.(쿨타임 600초)
아직도 나를 아름답다 칭송하는 어리석은 아이야.
영롱한 날씨의 큐브

유일 장비
최상급(100%)
0.3kg


태초

레벨제한 115
교환불가(밀봉)
귀걸이
31,232 골드
파일:모험가명성.png모험가 명성 2770
힘 279
지능 279
체력 279
정신력 279
<나벨의 기억>
장착 중인 가장 높은 세트 포인트 2100점 이상에서만 능력을 발휘합니다.
세트 포인트 2550이상 달성 시 더 강한 효과가 발동됩니다.
최종 데미지
49.4%
증가
정밀도
최종 데미지 10% 증가
공격력 증가 +4646.0%
스킬 쿨타임 4% 감소 (각성기 제외)
정밀도 25% 마다 스킬 쿨타임이 4% 감소 (최대 4중첩, 각성기 제외)

[불확실성]
신의 권능을 발현하여 1~11초 사이의 시간 간격마다 1% 확률로 모든 스킬 쿨타임 초기화
  • 스킬 쿨타임 적용중인 스킬이 2개 이상일 때 적용
  • 파티 플레이 시 버퍼 캐릭터의 각성기는 초기화되지 않습니다.
[날씨 재구성]
정밀도 100% 달성 시 마을에서 일반 채팅으로 '날씨 재구성' 입력 시 나벨의 힘에 의해 날씨가 재구성됩니다.(쿨타임 600초)
모리가 나벨을 감시하기 위해 만든 귀걸이.
유일 장비는 중천의 최종 장비로써, 세트 포인트가 없지만 그것을 커버할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베누스 레기온의 "우아한 기품의 향수"가 최초의 유일 장비로, 레이드 등의 보상으로서 제공된다. 가능한 세트 옵션을 전부 마련한 사람들이 사용하게 될 것이다. 제작이 매우 어려우며[9] 그에 걸맞게 제작 시 전용 시네마틱 연출이 등장한다.


시즌 8~9의 불가침의 영역 포지션의 장비로써 불가침과 마찬가지로 거래가 가능한 최종 장비이지만 약간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유일 장비는 얻었다고 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비가 아니다. 세트 옵션이 에픽 이상이어야 비로소 옵션이 해금되어 동일 등급의 장비 수준이 되며 레전 이하의 옵션일 경우 아무런 기능도 없는 그저 장식용 장비이다. 또한 유일 장비는 융합석이 아니라 세트 포인트 제공이 없는 장착이 가능한 장비이므로 유일 장비를 제외한 장비들로 최소 에픽 세트 옵션을 챙겨야 하고 세트포인트가 없기에 거의 풀에가까운 조율,에픽융합석이 필요하기에[10] 세팅 난이도가 굉장히 높다.
레어 I ~ 레전더리 V 에픽 I ~ V 태초
최종 데미지 0% 증가
버프력 0
최종 데미지 37.8% 증가
버프력 11220
최종 데미지 48.7% 증가
버프력 12180

장비의 성능과 별개로 유일 장비마다 붙어있는, 마을에서 쓸수 있는 일종의 자랑용 옵션(...)이 있다. 향수의 경우 마을에서 '경배하라'는 채팅 입력 시 해당 맵에있는 유저 전원의 화면이 어두워지면서 베누스가 정면에서 걸어 나와 황금빛 광채를 흩뿌리고, 향수 사용자의 캐릭터만 어두워지지 않은 채로 베누스 패턴 특유의 금색 원으로 감싸여 있는 이펙트가 출력되며, 큐브의 경우 마을에서 '날씨 재구성' 채팅 입력 시 나벨이 나타나 힘을 방출하는 이펙트와 함께 마을의 날씨가 바뀐다. 원래 선계 마을에만 존재하는 날씨 시스템이지만 큐브를 쓰면 선계 외 지역에도 비가 내리게 할 수 있다.

유일장비와는 별개로 거지향수, 짭향수라 불리는 일종의 꼼수가 있는데, 자신의 세트포인트가 높으면서 악세 부위에 자태초악세는 없고 타장비 태초 악세가 있다면 세트 단계가 떨어지더라도 그 태초악세에 흑아를 바른다음 착용하여 딜을 올리는 방법이다.이게 가능한 이유는 셋트포인트로 올라가는 최종뎀보다 태초악세가 제공하는 최종뎀이 높기 때문. 다만 세트 등급이 올라가면서 주어지는 최종뎀은 태초악세보다 높기때문에 이런 방법을 쓰다가 에픽 밑으로 떨어져버리면 오히려 안하느니만 못하므로 보통은 '타 태초악세를 끼면서도 에픽 혹은 태초 등급을 유지할 수 있을때' 쓰는 방법이다. 유일 장비처럼 셋포가 넘쳐날때 쓰는 방법이라 이런 별명이 붙었다.

2.6. 버퍼 고유 장비

미의 여신 베누스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된 장비. 베누스 레기온에서 던전 보상으로 계정귀속 타입의 선택 상자 형식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오로지 버퍼 캐릭터만 장착할 수 있다. 기존 유니크 세트 장비와 비교해서 최종 데미지와 버프력이 동일하며 모험가 명성은 50 더 높다. 장비 세트 포인트는 존재하지 않고 조율/승급이 불가능하며 대신 11부위 전부 장착 시 전용 세트 옵션이 존재하는데, 세트 옵션이 상당히 강력해 유니크 V 세트와 버프력이 동일하며 솔로 플레이 성능도 유니크 V 세트와 레전더리 I 세트 사이다.[11] 부위별 레어리티에 따른 성능 차이로 인해 실질적으로는 유니크 V 세트 장비가 조금 더 강하다.

기획 의도는 중천에 막 입성한, 아직 세트 파밍이 완성되지 않은 버퍼 캐릭터에게 넘겨주기 위한 장비다. 업데이트 코멘트에서도 고점 자체는 세트 장비를 넘어설 수는 없게 설계되어 있으나 계정 내 버퍼 캐릭터의 육성에 도움을 주기 위한 취지로 추가된 장비라고 언급했다.

주된 입수 방법은 베누스 2단 이상 보상으로, 일정 확률로 부위를 선택해서 받을 수 있는 상자를 계정 귀속으로 지급하기 때문에 11개를 모아서 아무것도 없는 캐릭터에 주면 유니크V급 세팅으로 점핑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니크 고유 장비는 만들어진 신 나벨 레이드에서 레이드 재료로 구매하거나 일정 확률로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버퍼 고유 장비 업그레이드 키트를 통해 레전더리 등급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백해 시즌의 기억 세트와 기록/흔적 세트처럼 유니크 고유 장비와 혼용이 가능하고 레전더리 등급 장비의 갯수에 따라 세트 효과가 강화되며,[12] 9부위를 레전더리 등급으로 업그레이드 시 세트 효과로 레전더리 III 세트 수준의 버프력에 레전더리 V 세트와 에픽 I 세트 사이의 최종 데미지를 얻는다. 또한 11부위 전부를 레전더리 등급으로 업그레이드 시 세트 효과 '오파츠 : 시대 역행'의 효과로 나벨 레이드 한정으로 명성 +5,500, 버프력 +10,800이 추가 적용되어서 에픽 II 세트 수준의 명성 및 버프력을 얻게 되어 나벨 일반 모드까지는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니크 장비의 모티브는 자조하는 세레이나와 자신이 넘치는 루디스, 레전더리 장비의 모티브는 연구소장 엘디르.

3. 무기

무기에는 세트 효과와 세트 포인트가 없다. 물론 조율과 승급 기능은 이용할 수 있고, 조율 시 명성, 최종 데미지(버프력)가 직접적으로 증가한다. 이쪽도 조율과 승급 기능을 통해 에픽 무기까지 승급하는 것이 파밍의 기초 방향성. 전 시즌의 최종 무기인 안개신 무기를 태초 및 115레벨 업그레이드까지 하면 중천 무기의 레전더리 2~3조율 무기와 동일한 성능을 지닌다.

105레벨 시즌 개시를 통해 근원을 삼킨 무기와 결전의 무기가 추가되었듯, 이쪽은 일반 무기와 레거시 무기가 추가되었다. 다만, 말이 근원과 결전의 관계이지, 극소수의 경우[13]를 제외하면 레거시 무기가 일반 무기의 절대적인 상위 호환이다. 일반적으로 레거시가 일반 무기에 비해 대략 3~6%정도 강하다고 보면 된다.

아래 예시는 모두 대검이다.

3.1. 일반 무기

파일:전설 속의 전승 - 대검(던파).png
전설 속의 전승 - 대검
최상급(100%)
4kg


내구도 48/48
레전더리
레벨제한 115
교환불가
대검
25,920 골드
모험가 명성 5500
물리 공격력 1609
마법 공격력 1208
독립 공격력 853
힘 88
최종 데미지 209.0% 증가
물리퍼센트스킬 MP+20% 쿨타임+5%
마법퍼센트스킬 MP-10%
공격력 증가 +8636.0%
공격속도 -8%
파일:서사시의 영웅담 - 대검(던파).png
서사시의 영웅담 - 대검
최상급(100%)
4kg


내구도 48/48
에픽
레벨제한 115
교환불가
대검
38,720 골드
모험가 명성 8500
물리 공격력 1683
마법 공격력 1262
독립 공격력 909
힘 92
최종 데미지 281.0% 증가
물리퍼센트스킬 MP+20% 쿨타임+5%
마법퍼센트스킬 MP-10%
공격력 증가 +14667.0%
공격속도 -8%
파일:태초의 별 - 대검(던파).png
태초의 별 - 대검
최상급(100%)
4kg


내구도 48/48
태초

레벨제한 115
교환불가
대검
43,920 골드
모험가 명성 11500
물리 공격력 1757
마법 공격력 1318
독립 공격력 970
힘 96
최종 데미지 350.0% 증가
물리퍼센트스킬 MP+20% 쿨타임+5%
마법퍼센트스킬 MP-10%
공격력 증가 +21891.0%
공격속도 -8%

최종 데미지와 버프력만을 부여하는 무기. 시즌 8의 기본 무기였던 근원을 삼킨 무기를 잇는 무기인데, 스킬 레벨이라도 올려줬던 근원보다도 더 간단한 옵션을 가지고 있다. 대신 주는 최종 데미지량 자체는 추가 효과가 붙은 레거시 무기보다 높다.

일반 무기들의 경우, 무기의 종류와 관계없이 공격력 증가 수치와 최종 데미지 증가 수치가 모두 동일하다. 다만 무기 종류별 앞뎀 차이와 부가 효과는 그대로 유지되기에, 같은 태별 간에는 무기군별 성능차가 여전히 존재한다.

레어도별 공격력 증가와 최종 데미지 수치는 아래와 같다.
레거시 무기는 무기에 종류와 관계 없이 앞뎀이 각 무기군 내 최고 수치로 고정되어 있고, 무기 종류별 부가 효과가 없다.[14] 레거시는 선택 수단이 아예 없기 때문에[15], 대신 레거시가 뜨기만 하면 종류 상관없이 쓸 수 있도록 해놓은 요소. 또한 모든 레거시 무기에 버프력이 붙어 있지만, 일반 무기는 십자가, 빗자루, 선현궁만이 버프력 수치를 가진다. 또한 버프력 수치도 레거시 무기보다 낮다. 수치는 다음과 같다. 레전더리 4.2%~ 태초 3.4% 차이 정도.

시즌 10의 파밍 구조가 그렇듯 이쪽도 계단식으로 성장해나간다. 작명 방식은 각 아이템 등급의 이름에서 따온 듯.

3.2. 레거시 무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레거시 무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레거시 무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레거시 무기#|]][[던전앤파이터/아이템/115레벨/레거시 무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새겨진 기억의 해방

전 시즌 안개신 무기과 유사하게 무기를 강화할 수 있는 시스템.

4. 융합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던전앤파이터/아이템/융합석/115레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던전앤파이터/아이템/융합석/115레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던전앤파이터/아이템/융합석/115레벨#|]][[던전앤파이터/아이템/융합석/115레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시즌6 할렘에서 에픽 정가가 도입되었고 시즌7에서는 다시 헬 메타로 회귀하기는 했어도 에픽 장비에 대한 접근성 자체는 시즌5까지와 다르게 매우 낮아졌지만 시즌 8~9는 앞선 시즌들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에픽 아이템의 희소성이 낮아지다못해 없어졌고, 이 때문에 시즌8~9는 아이템 티어를 나누는 데에도 엄청난 불편을 겪었다. 실패한 시스템으로 인정한 장비 성장 시스템뿐 아니라 커스텀 에픽, 각종 융합 시스템과 선 장비 업그레이드(105→110) 시스템, 보조 특성 등 장비 관련 시스템이 지나치게 난잡해 던파를 초창기부터 즐겨온 유저들조차 헤메는 경우가 많았으며 박종민 디렉터의 발언에 따르면 실제로 해당 시즌에 유저들의 대거 이탈이 있었다고 한다.[2] 레어 50/유니크 35/레전더리 20/에픽 10[3] 기본 최종데미지가 50%가까이 되기 때문에 실 데미지 증가량은 2% 정도 된다.[4] 던파에서 뜻하는 정가란, 획득과 관련한 일련의 과정에서 확률요소가 일절 개입하지 않아 시간이나 비용과 관련없이 확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루트가 있는 경우만을 의미한다. 확률요소는 그것이 얼마가 되든 인정해주지 않으며, 일례로 과거 시로코 레이드 출시 이후 2/3의 확률로 사용자가 원하는 세팅으로 끝낼 수 있게 파밍기간을 단축하는 장치를 추가하였으나 유저들의 반응은 굉장히 부정적이었을 정도이다.[5] 이전 레어리티와 비교해서 최종 데미지는 살짝 낮지만, 피해증가는 동일 레어리티 장비와 같아, 결과적으로 이전 레어리티 장비와 비슷한 딜 상승량을 가진다. 이전 등급의 5조율 장비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6] 동급 세트 장비(39%/44%/44%) 대비 -15%[7] 동급 세트 장비(0/50/100) 대비 -(0/50/100)[8] 안개신 무기 최대 업그레이드 기준으로 화 무기 최종 데미지 약 2%와 금 무기의 모든 속도 55%를 선택할 때와 비슷한데, 고유 신발은 딜 손해가 좀 더 높은 대신 세트 포인트에 합산되는 공용 세트 포인트를 주는 것을 감안하면 충분히 납득할만한 수치다. 그리고 중천 시즌의 베누스와 나벨 레이드의 융합석 추가로 압도적인 유틸을 줬던 110제 융합석이 빠지다보니 속도가 많이 깎여나가서 모든 속도 50%의 밸류는 백해 시즌보다 더 가치가 높다.[9] 컨텐츠 재료와 태초 소울, 잔흔 등등도 무지막지하게 소모되지만 이거야 그렇다 쳐도, 히스토리아 쿼츠를 초대량으로 요구하는데 쿼츠의 소모량에 비해 수급량이 극악이라 골드를 박아도 물량을 맞추기가 힘들다. 서버 단위로도 등장량이 많지 않은 물건에 소모처가 유일 장비 제작 외에는 없다보니 시세도 제대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한번 유일장비 제작을 위해 쓸어담기 시작하면 원래 형성되어 있던 가격대의 3~5배로 구매하게 되는게 일상이며, 그렇게 구매해도 물량이 부족할 수도 있다. 심지어 제작을 끝내도 정밀도를 올리는 데 또 쿼츠가 필요하다.[10] 세트 포인트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과 일반 에픽 세트 단계에서는 정밀도 옵션을 제외하면 에픽 마법석과 옵션이 동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에픽 등급은 말 그대로 이걸 써먹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고, 실질적으로 태초 등급은 맞출 수 있어야 쓰는 이유가 생긴다.[11] 유니크 10부위에 레어 1부위 장착 시 세트 포인트가 1,215로 유니크 I 세트 효과를 받고, 유니크 V 세트 효과를 받으려면 세트 포인트 1,540이 필요해 유니크 I에 비해 총 7단계 높은 등급의 장비(예: 레전더리 6부위+유니크 5부위)가 필요하다.[12] 유니크 고유 장비 11부위 대비 레전더리 3부위 착용 시 명성 1250, 버프력 4800 증가, 레전더리 6부위 착용 시 명성 2250, 버프력 7200 증가, 레전더리 9부위 착용 시 명성 3250, 버프력 9600 증가. 전 부위 레전더리 착용 시에도 기본 세트 효과는 변동 없음.[13] 일반이던 레거시던 무조건 광검이 타무기를 압살하는 검신, 레거시 스태프만은 피해야하는 소환사, 그냥 밸류 자체가 박살난 자동권총, 토템 등[14] 가령 귀검사 무기군의 모든 무기는 물공이 대검, 마공이 소검 수치로 통일되어 있으며, 도의 쿨감 이득 같은 부가효과도 대검이 가진 페널티도 모두 사라졌다.[15] 태초의 별의 경우 천장이라고는 도저히 부를 수 없는 요소지만 태별 선택 상자라도 있기는 하다. 에픽 이하 일반 무기의 경우 재료가 창렬할 뿐 하위 단계에서부터 에픽까지 정가 승급이 가능하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