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21:20:14

중구(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중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ae4d>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동구(대전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중구
파일:서구(대전광역시) CI.svg
[[대전광역시청|
시청
]] 서구
파일:유성구 CI.svg
유성구
파일:대덕구 CI.svg
대덕구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518e>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518e> 은행선화동 은행동 선화동
목동 목동
중촌동 중촌동
대흥동
구청
대흥동
문창동 문창동
석교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석교동 옥계동 호동 }}}
대사동 대사동
부사동 부사동
용두동 용두동
오류동 오류동
태평1, 2동 태평동
유천1, 2동 유천동
문화1, 2동 문화동
산성동 {{{#!wiki style="margin: -15.8px -11px" 산성동 사정동 안영동 구완동 무수동
침산동 목달동 정생동 어남동 금동 }}}
}}}}}}}}} ||
대전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중구
中區
Jung-gu
}}}
<colbgcolor=#00518e><colcolor=#fff> 구청 소재지 중앙로 100 (대흥동)
광역자치단체 대전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7[1]
면적 62.18㎢
인구 224,532명[2]
인구밀도 3,611.00명/㎢[3]
구청장
파일:zsdkl3gasdg.svg
김제선 (초선)
구의회
파일:zsdkl3gasdg.svg
5석[4]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석[5]

1석[6]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석[7]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박용갑 (초선)
상징 <colbgcolor=#00518e><colcolor=#fff> 구화 국화
구목 소나무
구조 비둘기
지역번호 042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지역 특징4. 인구5. 경제
5.1. 관공서 및 정부유관기관5.2. 민간기업 및 금융기관5.3. 언론기관5.4. 대형 상업시설
6. 교육7. 의료기관8. 정치9. 하위 행정구역10.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대전광역시의 중남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동구와 함께 대전의 역사를 함께한 두 자치구 중 하나로 성심당 본점이 있는 곳이다. 서쪽은 유등천을 경계로 서구에, 동쪽은 대전천을 경계로 대덕구동구에, 남쪽은 금산군에 접해 있다.

이름과는 달리, 지리적으로는 '남구(南區)'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남쪽에 치우쳐 있다. 원래 대전의 지리적 중심이자 행정적 중심이었으나, 대전 시역의 확장으로 교외 지역인 대덕군 지역이 차례로 편입되자, 대전의 중앙이었던 중구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남쪽으로 치우쳐진 꼴이 되었기 때문이다.[8]

또한 대전광역시청둔산으로, 충청남도청내포로 이전해 간 뒤에는 중심지 기능까지 서구와 홍성·예산으로 넘어가면서 완전히 변방 지역이 되어 버렸다. 그래도 다른 중구들과 비교했을 때 인구는 가장 많고 면적도 제법 큰 편이다. 그러다보니 다른 대도시의 중구와는 다르게 유일하게 다른 광역자치단체와 접해있다.[9][10][11]

2. 상징

파일:대전광역시 중구 효도령&효낭자.jpg 파일:대전중구_민선8기구정구호(2024-26).jpg
마스코트 효도령&효낭자 브랜드 슬로건
파일:대전중구청_2024.jpg
대전 중구청[12]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1989-2007).svg
1989년부터 2007년까지 사용한 옛 로고

3. 지역 특징

대전광역시청이 있었던 은행동, 선화동, 대흥동 일대는 지금도 번화가가 있지만, 대전의 무게중심이 둔산으로 이동한 후에는 상권은 조금씩 쇠락하고 있고, 은행동의 으능정이 정도만 남았다. 그래도 서대전네거리 근처는 큰 공원, 도시철도, 철도역, 대형마트, 영화관, 번화가, 큰 도로, 대학병원들(충남대학교병원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등등 소위 중심가가 갖출 수 있는 것은 모두 갖춘 곳이다.

4. 인구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대전광역시 중구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77년 9월 1일 중부출장소 + 서부출장소 → 대전시 중구 설치
1980년 378,980명
1983년 2월 15일 충청남도 대덕군 유성읍 전역, 구즉면·탄동면·기성면·진잠면 각 일부
중구 편입 및 유성출장소 설치
1984년 9월 1일 대전시 중구 유성출장소 → 대전시 유성출장소(시 직할)로 승격
1985년 485,810명
1988년 1월 1일 유등천 서쪽 및 유성출장소 → 서구로 승격 분리
1989년 1월 1일 충청남도 대전시 중구 → 대전직할시 중구 승격
1990년 293,823명
1995년 266,071명
2000년 253,990명
2005년 255,962명
2010년 265,846명
2015년 256,186명
2020년 235,550명
2024년 10월 224,53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산성동 26,035명
태평2동 24,630명
문화1동 20,784명
목동 16,776명
석교동 14,836명
은행선화동 14,025명
중촌동 13,784명
유천2동 13,304명
대흥동 13,120명
태평1동 12,857명
문화2동 11,805명
오류동 10,333명
용두동 9,144명
부사동 6,455명
유천1동 5,918명
대사동 5,397명
문창동 4,303명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

===# 행정동별 인구 #===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은행선화동 인구 추이[13]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은행동, 선화동(법정동) → 은행동, 선화동(행정동)
1966년 33,821명(은행동 8,230명 + 선화동 25,591명)
1968년 9월 1일 선화동 → 선화1동, 선화2동 분동
1970년 7월 1일 선화2동 → 선화2동, 선화3동 분동
1970년 37,536명(은행동 8,760명 + 선화1동 13,015명 + 선화2동 6,539명 + 선화3동 9,222명)
1975년 36,114명(은행동 7,046명 + 선화1동 13,042명 + 선화2동 6,905명 + 선화3동 9,121명)
1980년 35,080명(은행동 6,163명 + 선화1동 11,359명 + 선화2동 7,293명 + 선화3동 10,265명)
1985년 33,659명(은행동 5,864명 + 선화1동 10,642명 + 선화2동 6,943명 + 선화3동 10,210명)
1990년 25,161명(은행동 3,953명 + 선화1동 6,731명 + 선화2동 5,361명 + 선화3동 9,116명)
1995년 17,105명(은행동 2,241명 + 선화1동 4,798명 + 선화2동 3,387명 + 선화3동 6,679명)
1998년 1월 1일 선화1동 + 선화2동 + 선화3동 → 선화동 합동
1998년 11월 23일 은행동 + 선화동 → 은행선화동 합동
2000년 13,787명
2005년 14,534명
2010년 16,037명
2015년 17,593명
2020년 16,161명
2023년 9월 14,16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목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목동(법정동) → 목동(행정동)
1966년 10,275명
1970년 10,258명
1975년 12,199명
1980년 12,784명
1985년 12,088명
1990년 11,472명
1995년 8,896명
2000년 7,181명
2005년 14,025명
2010년 14,149명
2015년 16,210명
2020년 14,737명
2023년 9월 16,75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중촌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중촌동(법정동) → 중촌동(행정동)(?)
1966년 -명[W]
1970년 5,318명
1975년 7,364명
1980년 7,754명
1985년 8,055명
1990년 17,215명
1995년 18,208명
2000년 19,522명
2005년 17,980명
2010년 17,232명
2015년 15,232명
2020년 13,385명
2023년 9월 13,82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대흥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대흥동 → 대흥1동, 대흥2동, 대흥3동 분리
1966년 27,426명(대흥1동 4,959명 + 대흥2동 11,816명 + 대흥3동 10,651명)
1970년 29,765명(대흥1동 4,796명 + 대흥2동 12,538명 + 대흥3동 12,431명)
1975년 29,120명(대흥1동 5,373명 + 대흥2동 12,607명 + 대흥3동 11,140명)
1980년 27,548명(대흥1동 4,615명 + 대흥2동 12,352명 + 대흥3동 10,581명)
1985년 26,798명(대흥1동 4,172명 + 대흥2동 12,548명 + 대흥3동 10,078명)
1990년 20,706명(대흥1동 1,931명 + 대흥2동 9,561명 + 대흥3동 9,214명)
1995년 14,434명(대흥1동 1,068명 + 대흥2동 5,603명 + 대흥3동 7,763명)
1998년 1월 1일 대흥1동 + 대흥2동 + 대흥3동 → 대흥동 합동
2000년 11,582명
2005년 10,941명
2010년 11,324명
2015년 14,035명
2020년 14,132명
2023년 9월 13,21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문창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문창동(법정동) → 문창동(행정동)
1966년 15,325명
1970년 7월 1일 문창동 → 문창1동, 문창2동 분동
1970년 18,663명(문창1동 9,249명 + 문창2동 9,414명)
1975년 18,351명(문창1동 9,798명 + 문창2동 8,553명)
1980년 17,606명(문창1동 8,826명 + 문창2동 8,780명)
1985년 15,976명(문창1동 7,848명 + 문창2동 8,128명)
1990년 13,878명(문창1동 6,616명 + 문창2동 7,262명)
1995년 9,971명(문창1동 4,751명 + 문창2동 5,220명)
1998년 1월 1일 문창1동 + 문창2동 → 문창동 합동
2000년 7,943명
2005년 6,375명
2010년 5,876명
2015년 5,208명
2020년 4,766명
2023년 9월 4,35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석교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석교동 + 호동 + 옥계동 → 석교동 신설
1966년 4,427명
1970년 6,816명
1975년 12,612명
1980년 20,625명
1985년 25,888명
1990년 28,313명
1995년 26,594명
2000년 24,168명
2005년 21,308명
2010년 19,962명
2015년 17,765명
2020년 15,910명
2023년 9월 14,94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대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대사동(법정동) → 대사동(행정동)
1966년 9,797명
1970년 13,081명
1975년 15,216명
1980년 15,700명
1985년 15,375명
1990년 13,148명
1995년 9,758명
2000년 7,941명
2005년 7,437명
2010년 7,208명
2015년 6,287명
2020년 5,470명
2023년 9월 5,43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부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부사동(법정동) → 부사동(행정동)
1966년 7,363명
1970년 10,253명
1975년 14,129명
1980년 17,401명
1985년 18,319명
1990년 15,586명
1995년 11,721명
2000년 9,948명
2005년 8,238명
2010년 7,862명
2015년 7,464명
2020년 6,780명
2023년 9월 6,48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용두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용두동(법정동) → 용두동(행정동)
1966년 14,148명
1970년 7월 1일 용두동 → 용두1동, 용두2동 분동
1970년 17,811명(용두1동 9,591명 + 용두2동 8,220명)
1975년 21,790명(용두1동 11,045명 + 용두2동 10,745명)
1980년 22,690명(용두1동 10,838명 + 용두2동 11,852명)
1985년 22,374명(용두1동 10,894명 + 용두2동 11,480명)
1990년 19,277명(용두1동 8,652명 + 용두2동 10,625명)
1995년 13,636명(용두1동 5,344명 + 용두2동 8,292명)
1998년 11월 23일 용두1동 + 용두2동 → 용두동 합동
2000년 11,520명
2005년 10,176명
2010년 11,404명
2015년 10,527명
2020년 9,679명
2023년 9월 9,18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오류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오류동(법정동) → 오류동(행정동)
1966년 10,282명
1970년 4,564명
1975년 6,721명
1980년 8,718명
1985년 8,387명
1990년 15,923명
1995년 13,098명
2000년 11,927명
2005년 10,888명
2010년 10,814명
2015년 10,308명
2020년 10,431명
2023년 9월 10,39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태평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태평동(법정동) → 태평동(행정동)
1966년 -명[W]
1970년 9,213명
1975년 13,702명
1980년 20,313명
1983년 10월 1일 태평동 → 태평1동, 태평2동 분동
1985년 17,877명
1990년 14,920명
1995년 10,644명
2000년 15,993명
2005년 13,908명
2010년 16,114명
2015년 14,968명
2020년 13,607명
2023년 9월 12,86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태평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10월 1일 태평동 → 태평1동, 태평2동 분동
1985년 15,233명
1990년 18,679명
1995년 17,039명
2000년 19,665명
2005년 32,054명
2010년 31,269명
2015년 29,076명
2020년 26,297명
2023년 9월 24,66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유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유천동(법정동) → 유천동(행정동)
1966년 4,626명
1970년 6,990명
1975년 10,743명
1980년 30,132명
1982년 9월 1일 유천동 → 유천1동, 유천2동 분동
1985년 16,076명
1990년 13,940명
1995년 10,417명
2000년 8,271명
2005년 7,536명
2010년 8,070명
2015년 6,820명
2020년 6,673명
2023년 9월 5,96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유천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10월 1일 유천동 → 유천1동, 유천2동 분동
1985년 16,144명
1990년 14,719명
1995년 19,191명
2000년 18,161명
2005년 16,969명
2010년 16,036명
2015년 14,726명
2020년 13,898명
2023년 9월 13,3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문화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문화동(법정동) → 문화동(행정동)
1966년 7,007명
1970년 12,635명
1975년 19,015명
1980년 26,483명
1985년 29,751명
1985년 11월 1일 문화동 → 문화1동, 문화2동 분동
1990년 15,345명
1995년 14,817명
2000년 16,464명
2005년 16,064명
2010년 24,435명
2015년 24,606명
2020년 22,851명
2023년 9월 20,85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문화2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5년 11월 1일 문화동 → 문화1동, 문화2동 분동
1990년 11,009명
1995년 19,730명
2000년 19,193명
2005년 17,843명
2010년 16,676명
2015년 14,666명
2020년 12,906명
2023년 9월 11,88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산성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산성동 + 사정동 + 안영동 + 복수동 → 산성동 신설
1966년 5,355명
1970년 7,723명
1975년 13,203명
1980년 20,352명
1985년 24,032명
1985년 11월 1일 산성동산성동, 복수동 분동
1988년 1월 1일 대전시 서구 신설
복수동 일부[16]산성동 환원
1989년 1월 1일 대덕군 산내면 → 대전직할시 편입 및 폐지
산내면 → 산서동, 산내동 분리
1990년 24,532명(산성동 22,829명 + 산서동 1,703명)
1995년 30,812명(산성동 29,524명 + 산서동 1,288명)
1998년 11월 23일 산성동 + 산서동 → 산성동 합동
2000년 30,724명
2005년 29,686명
2010년 31,378명
2015년 30,426명
2020년 27,867명
2023년 9월 26,11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5. 경제

과거에는 중구가 원도심이었고 대전시청과 충남도청이 위치해 잘 나갔지만, 둔산신도시, 노은지구 개발 등 서구와 유성구 위주로 점차 대전이 확장하기 시작했고 둔산신도시대전광역시청이 이전하는 등 비롯한 주요 중구 소재 주요 관공서들이 둔산 등 신도심으로 이전했고 이외에도 대덕연구단지 조성으로 기업체, 공공기관들이 이동하며 쇠락하기 시작하였다. 마지막까지 자리를 지키던 충청남도청이 홍성군에 위치한 내포신도시로 이전하며 예전보다 영광이 덜한 편이다.

그래도 시청에서 손만 놓고 보는 것이 아닌지 대전도시공사, 대전신용보증재단, 대전테크노파크 등 굵직한 시청 산하 기관들과 지방병무청이나 출입국관리소, 준법지원센터 같은 일부 관공서가 원도심에 아직까지 자리잡고 있지만 경제적인 격차는 계속 벌어지고 있는게 현실이다.

격차 이유로는 서구와 유성구는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대전청사, 대전광역시청, 각종 대학교 캠퍼스 등으로 대기업은 물론 중소 기업들과 백화점이 많아 기업 및 상권이 활발하지만 중구는 은행동 으능정이이나 중앙로 지하상가를 보듯 소상공인 위주 사업에다가 코스트코와 같이 소비업이 많은 구조이다. 오죽하면 중구 경제는 성심당과 코스트코 대전점,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와 충무체육관이 책임지고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시측에서도 대전 원도심을 살리기 위해 0시축제를 기획하는 등 어떻게든 살리려고는 노력은 하고 있지만 여전히 예전 영광을 찾지 못하고 있다.

5.1. 관공서 및 정부유관기관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518e>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_White.svg
대전광역시 중구
소재 관공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중구청 |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중구의회 | 파일:보건소 CI.svg 중구보건소
파일:정부상징.svg 대전충남지방병무청 파일:정부상징.svg 대전세무서 파일:정부상징.svg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파일:정부상징.svg 대전출입국·외국인사무소
파일:정부상징.svg 대전준법지원센터 파일:정부상징.svg 위치추적대전관제센터 파일:정부상징.svg 대전보호관찰심사위원회 파일:정부상징.svg 국립환경과학원 중부권대기오염연구소
파일:우정사업본부 상징.svg 서대전우체국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대전중부경찰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중부사업소 파일:대전광역시교육청 심볼.svg 대전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파일:대전광역시교육청 심볼.svg 대전교육연수원 분원 파일:중앙선거관리위원회 CI.svg 중구선거관리위원회
}}}}}}}}} ||

5.2. 민간기업 및 금융기관

대전 중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서대전우체국 (10)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2)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5)
시중은행
신한은행 (1) 우리은행 (2)
SC제일은행 (1) 하나은행 (7)
국민은행 (2)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서대전농협 (10) 동대전농협 (3) 대전원예농협 (4) 대전축산농협 (1)
대전충남우유농협 (1)
새마을금고
서대전새마을금고 (2) 태평새마을금고 (2) 대전중부새마을금고 (3) 대전남부새마을금고 (2)
남대전새마을금고 (3) 대홍새마을금고 (2) 원대전새마을금고 (4) 대전건축사회새마을금고 (1)
충무새마을금고 (2) 대전개인택시새마을금고 (2)
신용협동조합
유천신용협동조합 (3) 충절로신용협동조합 (1) 목동신용협동조합 (3) 중도신용협동조합 (2)
문창신용협동조합 (1) 남대전신용협동조합 (1) 대사신용협동조합 (1) 선화신용협동조합 (1)
대전교작원신용협동조합 (1) KT대전충남신용협동조합 (2)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OK저축은행 (1)

5.3. 언론기관

5.4. 대형 상업시설

6. 교육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_White.svg 대전광역시 중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대전글꽃초등학교 대전대문초등학교 대전대신초등학교
대전대흥초등학교 대전동문초등학교 대전목동초등학교
대전목양초등학교 대전문성초등학교 대전문창초등학교
대전문화초등학교 대전버드내초등학교 대전보성초등학교
대전보운초등학교 대전산성초등학교 대전석교초등학교
대전선화초등학교 대전성모초등학교 대전신평초등학교
대전오류초등학교 대전옥계초등학교 대전원평초등학교
대전유평초등학교 대전중앙초등학교 대전중촌초등학교
대전태평초등학교 산서초등학교 서대전초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_White.svg 대전광역시 중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대전글꽃중학교 대전대문중학교 대전대성중학교 대전동산중학교 대전문화여자중학교
대전신일중학교 대전여자중학교 대전중앙중학교 대전중학교 <colbgcolor=#fff,#1c1d1f> 대전태평중학교
동명중학교 청란여자중학교 충남여자중학교 호수돈여자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_White.svg 대전광역시 중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남대전고등학교 대전고등학교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 대전대성고등학교 대전동산고등학교
<colbgcolor=#ffcbcb,#340000> 대전성모여자고등학교 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 <colbgcolor=#ffcbcb,#340000>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중앙고등학교 <colbgcolor=#fff,#1c1d1f> 대전한빛고등학교
청란여자고등학교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충남여자고등학교 호수돈여자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구도심이다보니 학교 수 대비 학생 수가 부족하며, 특히 서대전네거리쪽이 아닌 부사동 쪽은 상황이 심각하다. 10~20대 학생/청년층의 인구가 갈수록 줄어드는 상황. 당장 학교만 봐도 청란여자중학교는 1~3학년을 모두 합쳐도 147명에 불과한 관계로 폐교대상에 들어가는 학교이며 전체 학생수가 170명에 불과한 중구 신일여자중학교도 똑같이 학생부족으로 폐교 대상 학교에 들어간다.[24] 심지어 사립 동명중학교[25]는 학년당 인원이 아닌 1~3학년 전교생을 모두 합친 숫자가 118명이다. 만약 이 학교들이 공립이라면 여중인 청란여중/신일여중과 남중인 동명중을 폐교하고 남녀공학 중학교를 하나 개교하면 인원 문제는 깔끔하게 해결되겠지만 문제는 세 중학교가 모두 사립이다. 게다가 2017년 기준으로 부사동과 인근 동네는 앞으로도 학생이 줄어들면 줄어들지 늘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반짝 인원이 늘어날 가능성은 있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초, 중학교는 학교를 유지하기가 어려울 가능성도 있다. 결국 신일여중은 2023년에 남녀공학으로 전환했다.

심지어 고등학교인 청란여고-남대전고도안신도시로 이전하려고 했었다. 학생이 적어도 너무 적어서 정원을 채우기 힘들다는 이유였는데 공립도 아닌 사립재단에 땅도 안 팔리는 등 돈이 없어서 포기하였다고 한다.

그 외 문화동에 있는 대문중학교도 상황이 자못 심각한데 대문중학교는 부사동 일대보다는 그나마 상황이 낫다는 문화동에 소재해 있고 주위에 주택가 및 빌라, 아파트 단지[26]와 상가들이 제법 들어서 있기는 하지만 문화동, 산성동 일대에 거주하는 초등학생과 학부모들이 대문중학교를 기피하고[27] 동산중학교/문화여자중학교를 지망하는 경향이 큰 데다가 신계중학교[28], 글꽃중학교[29]가 2006년, 2007년에 나란히 개교하여 이쪽으로도 학생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2000년대 중반만 해도 1,000명이 넘었던 학생 수가 급격히 줄어 현재는 전체 학생수 100명대에 학년당 2학급 정도의 소규모 학교로 쇠락하여 폐교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30] 막장재단이 막장으로 운영하는 사립도 아닌 제대로 돌아가는 공립학교임에도 왜 이렇게까지 수준이 떨어졌는지 의문. 대전광역시 교육계에서 대표적인 실패사례 및 연구사례로 유명하다.

참고로 문화여자중학교 역시 대문중학교보다는 좋은지 몰라도 상당히 수준 떨어지는 학교로 문제가 많다. 문화여중 역시 상당한 문제를 가진 학교로 악명높지만 울며 겨자 먹기로 많은 학생들이 다니고 있다.

7. 의료기관

대전/세종/충남권 최대의 종합병원이자 상급종합병원충남대학교병원(1,303병상)의 입지가 확고하다. 충남대학교 의과대학도 붙어 있으며, 재활센터의 규모가 전국에서 손꼽힌다. 뒤를 이어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658병상)과 영훈의료재단 대전선병원(395병상)이 있어 의료서비스 면에서는 지역 내에서 압도적으로 편리하다.

8.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구(대전광역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하위 행정구역

파일:대전 중구 행정구역.png

10.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중구(대전)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26개 법정동, 17개 행정동[2] 2024년 10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2024년 10월 기준.[4] 중구 가선거구 (은행선화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대사동, 부사동): 유은희, 육상래
중구 나선거구 (목동, 중촌동, 용두동, 오류동, 태평1동, 태평2동): 류수열
중구 다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오은규
중구 비례대표: 김선옥
[5] 중구 가선거구 (은행선화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대사동, 부사동): 김석환
중구 나선거구 (목동, 중촌동, 용두동, 오류동, 태평1동, 태평2동): 김옥향, 이정수
중구 다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안형진
중구 비례대표: 오한숙
[6] 중구 다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윤양수[7] 중구 제1선거구 (은행선화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대사동, 부사동): 박주화 (초선)
중구 제2선거구 (목동, 중촌동, 용두동, 오류동, 태평1동, 태평2동): 김선광 (초선)
중구 제3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민경배 (초선)
[8] 이렇다보니 현재 대전의 중심부는 서구에 있다. 대전광역시청이 있는 둔산신도시가 현재 대전의 정중앙이다.[9] 이렇게 된 이유는 대전 원도심 지역의 남쪽이 해발 500m 가량의 산들이 솟아있어서 그런 것이다. 면적이 좁은 분지에서 도시가 성장했기 때문에 도시가 남쪽으로 성장하지 못 하고, 서쪽과 북쪽 위주로 개발이 되어서 타 지자체와 접할 수밖에 없었던 사정이 있었다.[10] 만약 금산군이 대전광역시로 편입된다면 해당 타이틀은 깨지게 된다.[11] 인천광역시 역시 인천직할시 당시인 1989년에 영종도를 중구에 편입시키면서, 1994년까지 이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다. 1994년까지 옹진군은 경기도에 속해있었다.[12] 참고로 현 청사는 1999년 11월까지 대전광역시청사로 사용된 건물이다. 1959년에 완공되었으며, 대전 중구청이 2002년에 현 청사로 이전했다.[13] 1966년 통계에 선화1동/선화2동으로 나뉘어져 있으나, 대전광역시 행정구역 변천사 및 은행선화동 행정복지센터의 소개에 따르면 1968년 9월 1일 분동이 맞는 것으로 보여, 통계상 오류인 듯 보임.[W] 자료 누락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1970년부터 시작됨.(기존의 동구 대동-자양동의 관계와 달리, 분동에 관한 자료가 미비하고, 통계청 인구총조사에도 등장하지 않았음.)[W] [16] 사정동, 안영동[17]대신증권 대전지점 사옥[18]한화생명 대전사옥[19]삼성생명 대전선화빌딩[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한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한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3]충청은행 본사[24] 이대로는 학교운영도 어려울 정도라 2017년 들어서 예술계열 특성화중학교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25] 참고로 배우 권상우와 성악가 박상돈의 모교이기도 하다.[26] 문화주공 1,2,3단지와 삼성푸른아파트.[27] 이렇게 된 원인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긴 하나 같은 통학권에 속하는 동산중, 글꽃중, 신계중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을 자랑했다는 것이 중론이다.[28] 단 신계중학교는 서구 복수동 소재여서 문화동보다는 대부분 복수동, 산성동, 사정동 일대에서 많이 가는 편이다. 특히 복수동 살면 대부분 신계초/신계중으로 간다고 봐도 좋다.[29] 특히 여기는 문화동 학생들에게 인기가 매우 높다. 사실상 이 학교의 개교로 인해 대문중학교의 학생 수가 급감하게 되었다고 봐도 된다.[30] 더 충격적인 것은 2017년 기준 1학년 학급이 고작 1반밖에 운영을 못하는 초유의 사태까지 이르렀을 정도로 신입생 수가 처참해졌다. 그래도 2018년 입학생부터는 다시 2학급으로 간신히 운영되기는 했으나, 2021년 입학생 수가 30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또 1학급 운영을 면치 못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