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16:09:52

다크넷(트릭컬 리바이브)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트릭컬 리바이브/설정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트릭컬 리바이브 로고.p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3E3F3E><colcolor=#fff> 다크넷
DARKNET
파일:트릭컬_다크넷.png파일:트릭컬_다크넷.png
유형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
소셜 미디어[1]
운영자 다크불릿 (=시온 더 다크불릿)
회원가입 선택

1. 개요2. 여담3. 이용자 목록

1. 개요

트릭컬 리바이브에 등장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로, 시온이 만들었다.

모나티엄의 엘프들이 지구인트라넷을 모방하여 만든 엘프넷 상에 존재하고 있으며, 현실의 커뮤니티 사이트와 같은 역할을 한다. 여타 커뮤니티 사이트처럼 소설 작성, 채용 공고, 질문 답변 등을 위한 여러 카테고리가 있고, 댓글 작성도 가능하다.

엘리아스 주민들이 인터넷을 사적으로 이용할 때는 엘프들의 인트라넷이 아니라 다크넷을 주로 사용한다고 언급된다. 엘프들의 인트라넷은 모나티엄이 노골적으로 감시하고 있으며 사실상 엘프들의 업무용 네트워크이기에 익명성이 보장되고 자유로운 사용이 가능한 시온의 사설 다크넷을 자연스레 이용하게 된 것이다. 이런 까닭에 이름만 다크넷일뿐, 이용자가 더 많고 인지도도 높다. 물론 주민들은 서버의 운영자가 누구인지 모른다. 작중 인터넷 묘사.

2. 여담


#!if  명단="가비아 골디 교주 그윈 나이아 냉장고 네티 델리아 디아나 라이카 란 레비 레이지 레테 루드 리온 리츠 리코타 림 마고 마리 마요 모모 뮤트 밍스 바나 바롱 버터 베니 베루 벨라 벨리타 벨벳 비비 사리 샤샤 슈로 시온 시저 실라 아네트 아르코 아멜리아 아야 앨리스 에피카 엘레나 영춘 오팔 우로스 우이 이드 이프리트 제이드 카렌 칸나 캐시 코미 큐이 크레페 클로에 타이다 파트라 페스타 포셔 헤일리 힐데", 링크= 0>명단.indexOf(명) ? 명 : 명+"(트릭컬 리바이브)"
##
## 🔶🔶 회색조 표현식 → Grayscale = (R, 0.299) + (G, 0.587) + (B, 0.114)
## 🔶🔶 0 < grey < 255000 / 글자색은 grey가 중간값(127500) 보다 밝으면 000, 어두우면 fff
#!if rgb=색, r=parseInt(색.substr(0,2), 16), g=parseInt(색.substr(2,2), 16), b=parseInt(색.substr(4,2), 16), grey=r*299+g*587+b*114, 글자색=(grey > 127500) ? "000" : "fff"
##
[[링크|
교주
]]

제발… 그만둬…! 그 어두운 길은 안 돼…!
(도대체 다크넷에 왜 이렇게 다들 꼬이는 거야?)
(뭐, 한번 빠져들면 재미있긴 한데… 너무 핫플레이스 아니냐고!)
(이젠 '다크넷'이 아니라 '라이트넷'이라고 불러야 되는 거 아니야?)

메인스토리 시즌 2 챕터 5 풀어헤친 매듭 에피소드 3 - <스며든 존재의 밤> 中


#!if  명단="가비아 골디 교주 그윈 나이아 냉장고 네티 델리아 디아나 라이카 란 레비 레이지 레테 루드 리온 리츠 리코타 림 마고 마리 마요 모모 뮤트 밍스 바나 바롱 버터 베니 베루 벨라 벨리타 벨벳 비비 사리 샤샤 슈로 시온 시저 실라 아네트 아르코 아멜리아 아야 앨리스 에피카 엘레나 영춘 오팔 우로스 우이 이드 이프리트 제이드 카렌 칸나 캐시 코미 큐이 크레페 클로에 타이다 파트라 페스타 포셔 헤일리 힐데", 링크= 0>명단.indexOf(명) ? 명 : 명+"(트릭컬 리바이브)"
##
## 🔶🔶 회색조 표현식 → Grayscale = (R, 0.299) + (G, 0.587) + (B, 0.114)
## 🔶🔶 0 < grey < 255000 / 글자색은 grey가 중간값(127500) 보다 밝으면 000, 어두우면 fff
#!if rgb=색, r=parseInt(색.substr(0,2), 16), g=parseInt(색.substr(2,2), 16), b=parseInt(색.substr(4,2), 16), grey=r*299+g*587+b*114, 글자색=(grey > 127500) ? "000" : "fff"
##
[[링크|
뮤트
]]

다크넷… 인트라넷… 엘튜브, 엘스타그램, 아이스북, 멜론-엑스…
테마극장 확률 측정: 선악의 퍼센테이지!

3. 이용자 목록

(닉네임) (ID): (사도 이름) / 닉네임의 가나다 순으로 정렬

닉네임이 알려진 이용자

닉네임이 알려지지 않은 이용자
다크넷 이용이 묘사된 인물들이나 닉네임이 알려지지 않았다. 디시같이 유동닉ㅇㅇ으로 이용하는 것일 수도 있고, 그냥 눈팅만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용자 불명 닉네임

[1] 아르코의 테마극장 댄스 쇼다운! 꿈꾸는 포도!에서 유튜브나 인스타, 트위터 같은 SNS 역할도 있음을 보여줬다.[2] 일본 인터넷의 "ㅋㅋ"와 대응되는 표현으로 일본어로 웃음을 뜻하는 笑い(わらい, warai) 의 앞부분에서 따온 것이다.[3] 엘레나도 포기했는지 본인도 다크넷을 사용하고 아예 임상실험 광고까지 띄운다.[4] 정황상 진짜 닉네임이 있었으나, 시온과 리스티가 다크넷에서 키보드 배틀하다가 시온이 패배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리스티의 닉네임을 강제로 변경한 것이다. 15T는 리스티의 영문 이름 중 자음인 l, s, t 을 적절히 변형한 것.[5] 정확히는 유죄! 히어로 저지먼트 데이에서 시온이 리온한테 다크넷에서 차단당했을때 사용하였다. 부계정이라고 대놓고 썼지만, 리온이 다크불릿 부계정인지는 모른다.[6] 운영자 명칭은 ‘검고 검은 마스터 게시판 관리장’. 줄여서 껌맛게장, 게장 등으로 불린다.[7] 확률 측정: 선악의 퍼센테이지!때 영구차단당했다.[8] 거꾸로 읽으면 마스터스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