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스트리아 황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8852c, #ffcc21 20%, #ffcc21 80%, #c8852c);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cc21> 프란츠 1세 | 페르디난트 1세 | 프란츠 요제프 1세 | 카를 1세 |
1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테레사 공주2 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아 루도비카3 바이에른의 카롤리네 아우구스테 공주 | 사보이아의 마리아 안나 공주 | 바이에른의 엘리자베트 여공작 | 부르봉파르마의 치타 공녀 |
}}}}}} ||
<colcolor=#000000> 신성 로마 제국 프란츠 2세의 황후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테레사 공주 Principessa Maria Teresa di Napoli e di Sicilia | ||
이름 | 이탈리아어 | 마리아 테레사 카롤리나 주세피나 디 보르보네 (Maria Teresa Carolina Giuseppina di Borbone) |
독일어 | 마리아 테레지아 카롤리네 요제피네 (Maria Theresia Caroline Josephine) | |
출생 | 1772년 6월 6일 나폴리 왕국 나폴리 왕궁 | |
사망 | 1807년 4월 13일 (향년 34세) 오스트리아 제국 빈 호프부르크 | |
배우자 | 프란츠 2세 (1790년 결혼) | |
자녀 | 마리 루이즈, 페르디난트 1세, 마리아 카롤리네, 카롤리네 루도비카, 마리아 레오폴디네, 클레멘티나, 요제프 프란츠, 마리아 카롤리네, 프란츠 카를, 마리아 안나, 요한 네포무크, 아말리 테레지아 | |
아버지 | 페르디난도 1세 | |
어머니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여대공 | |
형제 | 루이사 마리아, 카를로, 마리아 안나, 프란체스코 1세, 마리아 크리스티나, 젠나로, 주세페, 마리아 아말리아, 마리아 안토니아, 마리아 클로틸다, 마리아 엔리케타, 레오폴도, 알베르토, 마리아 이사벨라 | |
종교 | 가톨릭 |
1. 개요
신성 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후이자 오스트리아 제국의 초대 황후. 양시칠리아 왕국 초대 국왕 페르디난도 1세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여대공의 맏이이자 장녀다. 이후 신성 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제국의 초대 황제인 프란츠 2세와 결혼해 그의 정후(正后)[1]가 되었다.프란츠 2세와의 사이에서 4남 8녀를 낳았는데 이는 프란츠 2세의 아내들 중 가장 많은 자녀를 낳은 것이다. 프란츠 2세의 아내들 중 첫번째 아내인 뷔르템베르크의 엘리자베트는 외동딸 루도비카 엘리자베트를 출산하던 중 사망했고 루도비카 엘리자베트도 생후 1년 4개월 만에 병으로 죽었고, 세 번째 아내인 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아 루도비카와 네 번째 아내인 바이에른의 카롤리네 아우구스테 공주[2]은 자녀를 낳지 못했다. 반면 마리아 테레사는 12명의 자녀를 낳고 그 중 2남 5녀가 성인기까지 생존해서 후손들도 낳았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합스부르크 가문의 직계 혈통을 이어가고 있다.
2. 작위
-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테레사 공주 전하 Her Royal Highness Princess Maria Theresa of Naples and Sicily (1872년 6월 6일 ~ 1790년 9월 15일)
-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대공비 전하 Her Imperial Highness Archduchess Francis of Austria (1790년 9월 15일 ~ 1792년 3월 1일)
- 신성로마제국 황후, 독일 왕비, 헝가리와 보헤미아 왕비 폐하 Her Imperial Majesty The Holy Roman Empress, German Queen, Queen of Hungary and Bohemia (1792년 3월 1일 ~ 1804년 8월 11일)
- 신성로마제국 황후, 오스트리아의 황후, 독일 왕비, 헝가리와 보헤미아 왕비 폐하 Her Imperial an Royal Apostolic Majesty The Holy Roman Empress, Empress of Austria, German Queen, Queen o Hungary and Bohemia (1804년 8월 11일 ~ 1806년 8월 6일)
- 오스트리아의 황후,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왕비 폐하 Her Imperial and Royal Apostolic Majesty The Empress of Austria, Queen of Hungary and Bohemia (1806년 8월 6일 ~ 1807년 4월 13일)
3. 생애
3.1. 어린 시절
양시칠리아 왕국의 페르디난도 1세와 마리아 카롤리나의 7남 11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이름은 외할머니인 마리아 테레지아의 이름을 이탈리아어 식으로 따서 지어졌다. 그녀는 결혼할 때까지 어머니 마리아 카롤리나가 좋아했던 딸이었다고 한다.1790년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대공은 첫번째 아내 뷔르템베르크의 엘리자베트가 아이를 낳던 중 사망하자 나폴리의 공주와 결혼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신붓감으로는 마리아 테레사와 그녀의 여동생 루이사가 모두 거론되었으나 최종적으로 마리아 테레사가 낙점되었다. 마리아 테레사에게 프란츠 2세는 외사촌 겸 고종사촌이었다.[3] 루이사 공주는 프란츠 2세의 남동생이자 토스카나 대공인 페르디난도 3세와 결혼하였다.[4]
3.2. 신성 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후
1790년 9월 15일 마리아 테레사는 외사촌이자 고종사촌인 프란츠 2세와 결혼하였다. 결혼 후 이름을 이탈리아식에서 독일식인 마리아 테레지아로 더 불리게 되었다. 프란츠 2세는 선황 레오폴트 2세 사후 1792년에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선출되었고, 1804년에는 오스트리아 제국의 황제로 즉위하였다.비록 두 사람은 성격은 많이 달랐지만 서로를 존중하는 행복한 결혼 생활을 했다. 프란츠 2세는 황제라는 자리에 걸맞는 남에게도 스스로에게도 엄격하고 조용하며 진중한 성격이었지만 마리아 테레사는 왕비에 머무르지 않고 양시칠리아 왕국의 공동 통치자로서 실권도 행사했던 어머니 마리아 카롤리나를 닮아 여장부 같이 명랑하고 활달한 성격의 소유자였다. 그녀는 외가이자 시가인 오스트리아의 빈에서도 빠르게 적응했고, 사교 활동을 좋아하여 임신 중에도 모든 무도회와 카니발에 참석하여 춤을 췄다고 한다.
마리아 테레사는 정치 활동에도 관심이 많아 남편의 훌륭한 정치적 동반자이자 조언자이기도 했는데 나폴레옹 1세를 매우 싫어하였다.[5] 덤으로 러시아 황제 파벨 1세의 장녀인 알렉산드라 파블로브나 여대공이 오스트리아의 대공비로 시집오자[6] 러시아의 황녀인 알렉산드라가 자신의 지위에 위협이 될 것을 우려해 동서인 그녀를 수시로 견제했다고 한다.
1807년 4월 13일, 막내이자 8녀인 아말리 테레지아를 조산하고 합병증으로 34세라는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안타깝게도 아말리 역시 생후 3일 만에 어머니를 따라 요절했다.
4. 가족관계
4.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테레사 (Maria Theresa of Naples and Sicily) | <colbgcolor=#fff3e4,#331c00> 페르디난도 1세 (Ferdinand I) | <colbgcolor=#ffffe4,#323300> 카를로스 3세 (Charles III) | |
펠리페 5세 (Philip V) | |||
엘리사베타 파르네세 (Elisabeth Farnese) | |||
작센의 마리아 아말리아 (Maria Amalia of Saxony) | |||
아우구스트 3세 (Augustus III) |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요제파 (Maria Josepha of Austria) |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여대공 (Maria Carolina of Austria) | |||
프란츠 1세 (Francis I) | |||
로렌 공작 레오폴드 (Leopold, Duke of Lorraine) | |||
오를레앙의 엘리자베트 샤를로트 (Élisabeth Charlotte of Orléans) | |||
마리아 테레지아 (Maria Theresa) | |||
카를 6세 (Charles VI) | |||
브라운슈바이크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Elisabeth Christine of Brunswick) |
4.2.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1녀 | 프랑스인의 황후 마리 루이즈 (Marie Louise, Empress of the French) | 1791년 12월 12일 | 1847년 12월 17일 | 나폴레옹 1세 슬하 1남[7] |
아담 알베르트 폰 나이페르크 슬하 1남 2녀 | ||||
샤를르네 드 봉벨 | ||||
1남 | 페르디난트 1세 (Ferdinand I) | 1793년 4월 19일 | 1875년 6월 29일 | 사보이아의 마리아 안나 공주[8] |
2녀 | 마리 카롤리네 여대공 (Archduchess Marie Caroline) | 1794년 6월 8일 | 1795년 3월 16일 | |
3녀 | 카롤리네 루도비카 여대공 (Archduchess Caroline Ludovika) | 1795년 12월 22일 | 1797년 6월 30일 | |
4녀 | 브라질의 황후이자 포르투갈의 왕비 마리아 레오폴디네 (Maria Leopoldina, Empress of Brazil and Queen of Portugal) | 1797년 1월 22일 | 1826년 12월 11일 | 페드루 4세 슬하 3남 4녀[9] |
5녀 | 살레르노 공비 클레멘타인 (Clementina, Princess of Salerno) | 1798년 3월 1일 | 1881년 9월 3일 | 살레르노 공 레오폴도[10] 슬하 1녀 |
2남 | 요제프 프란츠 대공 (Archduke Joseph Franz) | 1799년 4월 9일 | 1807년 6월 30일 | |
6녀 | 작센의 왕세자비 마리아 카롤리나 (Marie Caroline, Crown Princess of Saxony) | 1801년 4월 8일 | 1832년 5월 22일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2세 |
3남 | 프란츠 카를 대공 (Archduke Franz Karl) | 1802년 12월 17일 | 1878년 3월 8일 | 바이에른의 조피 공주 슬하 4남 1녀[11] |
7녀 | 마리아 안나 여대공 (Archduchess Marie Anne) | 1804년 6월 8일 | 1858년 12월 28일 | [12] |
4남 | 요한 네포무크 대공 (Archduke Johann Nepomuk) | 1805년 8월 30일 | 1809년 2월 19일 | |
8녀 | 아말리 테레지아 여대공 (Archduchess Amalie Theresa) | 1807년 4월 6일 | 1807년 4월 9일 |
[1] 프란츠 2세의 첫번째 아내인 뷔르템베르크의 엘리자베트는 남편이 황제가 되기 전에 먼저 죽었기 때문에 마리아 테레사는 두 번째 부인임에도 프란츠 2세의 정후가 될 수 있었다.[2] 하지만 카롤리네도 아이를 못 낳았을 뿐이지 직접 나서서 병원 설립을 주도하는 등 오스트리아 국민 사이에서 인기가 많은 황후였다. 이복 동생이자 의붓 며느리였던 바이에른의 조피 공주와 조카 겸 의붓손자며느리였던 엘리자베트 여공작에게도 상냥하고 친절했다.[3] 외삼촌 레오폴트 2세와 고모 스페인의 마리아 루이사의 장남.[4] 즉, 사촌끼리 결혼한데다 겹사돈까지 맺은 셈.[5] 어머니 마리아 카롤리나 역시 나폴레옹을 싫어했는데 프랑스 혁명에 희생된 마리 앙투아네트의 가장 친했던 언니였기 때문. 아이러니하게도 마리아 테레사의 장녀 마리 루이즈는 훗날 외할머니와 어머니가 그토록 증오했던 나폴레옹과 결혼하여 프랑스의 황후가 되었다.[6] 남편 프란츠 2세의 남동생 요제프 대공과 결혼했다.[7] 나폴레옹 2세[8]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의 3녀이다.[9] 마리아 2세, 페드루 2세 등[10] 페르디난도 1세의 5남이자 어머니 마리아 테레사의 남동생으로 외삼촌이다.[11] 프란츠 요제프 1세, 막시밀리아노 1세, 카를 루트비히 대공 등[12] 지적장애가 있어, 혼인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