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대표팀 | ||||
클럽 | ||||
5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DD0129> | 부산 아이파크 역대 주장 |
{{{#!wiki style="margin: 0 -10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
유태목 (1983~1984) | 조광래 (1985~1986) | 정해원 (1987~1988) | 변병주 (1989) | 이태호 (1990) |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정용환 (1991~1993) | 조덕제 (1994) | 김주성 (1994~1996) | 하석주 (1996) | 정재권 (1997) |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정광석 (1998) | 김현수 (1999) | 이장관 (2000~2001) | 윤희준 (2002~2003) | 노정윤 (2004) |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이장관 (2005) | 임관식 (2006) | 심재원 (2007) | 이정효 (2008) | 서동원 (2009) | |
21대 | 22대 | 23대 | 24대 | 25대 | |
박진섭 (2010) | 김근철 (2011) | 김창수 (2011~2012) | 박용호 (2013) | 이원영 (2014) | |
26대 | 27대 | 28대 | 29대 | 30대 | |
이경렬 (2015) | 이원영 (2016) | 박준태 (2017) | 이종민 (2018) | 한지호 (2019) | |
31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
강민수 (2020) | 강민수, 박종우 (2021) | 김진규 (2021) | 박종우 (2022) | 이한도 (2023~ ) | |
* 세한자동차 시절은 제외된 불완전한 역대 주장 명단이다.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 |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김현수 (2004) | 임중용 (2005~2008) | 노종건 (2008) | (2009) | 전재호 (2010) |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배효성 (2011) | 정인환 (2012) | 김남일 (2013) | 박태민 (2014) | 유현 (2015) |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김동석 (2015~2016) | 김도혁 (2017) | 최종환 (2017~2018) | 남준재 (2019) | 정산 (2019) |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이재성 (2020) | 김호남 (2020) | 김도혁 (2021) | 오반석 (2022~2023) | 이명주 (2024~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김봉길 (1995~1997) | 김기선 (1998) | 유동우 (1998) | 김태영 (1999) | 노상래 (2000) |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김정혁 (2000~2001) | 강철 (2001~2002) | 김도근 (2002~2003) | 유상수 (2004) | 김현수 (2005) |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김효일 (2005~2006) | (2007) | 곽태휘 (2008) | (2009~2010) | 이운재 (2011~2012) |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이승희 (2013) | 방대종 (2014~2015) | 최효진 (2016~2017) | 김영욱 (2018) | 최효진 (2019) | |
21대 | 22대 | 23대 | 24대 | 25대 | |
김주원 (2020) | 이종호 (2021) | 김현욱 (2022) | 이후권 (2023) | 고태원 (2024~)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88c1ea><tablebgcolor=#88c1ea> | 대구 FC 역대 주장 |
{{{#!wiki style="margin: 0 -10px;" {{{#0072B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오주포 (2003) | (2004) | 진순진 (2005) | 이상일 (2006) | 김현수 (2007) |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황선필 (2008) | (2009) | 방대종 (2010) | 백민철 (2011) | 유경렬 (2012~2013) |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안상현 (2014) | 허재원 (2015) | 박태홍 (2016~2017) | 한희훈 (2017~2019) | 홍정운 (2020) |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김진혁 (2021~2022) | 세징야 (2022~2023) | 홍철 (2024~) |
}}}}}}}}}}}}}}} ||
}}} ||
김현수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개인 수상 | ||||
베스트팀 | ||||
| 2000 · 2001 · 2002 · 2003 |
김현수의 기타 정보 |
대한민국의 축구 감독 | ||||
<colbgcolor=#eeeeee,#191919><colcolor=#000000,#e5e5e5> 이름 | 김현수 金鉉洙 | Kim Hyun-Soo | |||
출생 | 1973년 3월 13일 ([age(1973-03-13)]세) | |||
대구광역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직업 | 축구 선수 (센터백 / 은퇴) 축구 감독 | |||
소속 | <colbgcolor=#eeeeee,#191919><colcolor=#000000,#e5e5e5> 선수 | 부산 대우 로얄즈 (1994~1999) 성남 일화 천마 (2000~2003) 인천 유나이티드 FC (2004) 전남 드래곤즈 (2005) 대구 FC (2006~2007) | ||
감독 | 현풍고등학교 (2008~2012) 대구 FC (2013 / 코치) 경남 FC (2014 / 코치) 천안시청 축구단 (2015 / 코치) 상주 상무 (2016 / 수석코치) 서울 이랜드 FC (2017 / 코치) 서울 이랜드 FC (2019) 개성고등학교 (2021~2023) | |||
기타 | 서울 이랜드 FC (2017~2018 / 수석 스카우트) | |||
국가대표 | 3경기 (대한민국 / 1997~2003) | |||
{{{#08162e,#ffffff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ffffff | 학력 | 대구반야월초등학교 (졸업) 협성중학교 (졸업) 대구공업고등학교 (졸업)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공학 91 / 학사)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체육학 / 석사)[1]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출신 감독. 현역 시절 센터백으로 활약했다.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아주대학교 축구부 출신의 선수로, 4학년에 1994년 드래프트에서 연고대학 지명 순번인 4순위에 지명되어 모교 아주대를 후원해준 프로팀 대우 로얄즈에 입단하였다. 아직 대학 졸업을 하지도 않은 선수를 미리 지명할 정도로 대우에서 그에게 거는 기대가 엄청났음을 알 수 있다.아주대 시절 감독이던 김희태 감독 아래 신인시절부터 주전으로 나섰고 셰쿨라라츠, 이차만 등 감독이 자주 바뀌는 환경에서도 꾸준히 주전으로 나섰다. 특히 당대 최고의 스타이자 부산의 리더였던 김주성과 함께 중앙수비라인을 구축하면서 부산은 K리그 최고의 수비를 자랑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1997 프로 축구 전관왕에 기여했다. 부산에서 5시즌 동안 103경기에 출장하며 1999시즌에는 주장으로 활약하며 팀의 마지막 황금기를 이끌었다.
2000시즌을 앞두고 대우 그룹의 부도에 따른 팀의 재정 악화로 성남 일화 천마로 우성문과 함께 이적한다. [2] 성남에서 차경복 감독 아래 리그 최고의 활약을 보여주었다. 특히 2000년부터 2003년까지 4시즌 연속으로 K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었다는 점만 봐도 알 수 있듯 김현수는 당시 엄청난 수비수로 이름을 날렸다. 이는 마시엘에 이어 K리그 수비수로는 역대 두 번째 기록이다. 이 때 그의 수비 파트너가 바로 이영진, 김영철 그리고 이들을 보조하는 수비형 미드필더는 무려 김상식이었다. 애초에 당시의 성남은 3년 연속 우승을 거머쥘 정도로 압도적이었던 팀이었고, 그 가운데 김현수가 성남 수비의 핵심 역할을 톡톡히 하며 좋은 모습을 보였다. 성남에서 4시즌 동안 117경기에 출장했다.
2003년 말 코엘류호에 선발되기도 했다.
2004년, 신생 구단인 인천 유나이티드가 적극적으로 구애하며 당시 K리그에서 이름을 날리던 김현수를 영입하는 데 성공한다. 인천은 안종복을 중심으로 대우 로얄즈 시절 멤버들을 모았고, 대우의 레전드인 김현수는 그 주축이 됐다. 그래서 김현수는 인천의 창단 멤버였고, 또 인천의 창단 첫 주장이기도 하였다. 이 시즌 김현수는 인천 내 모든 선수 중 가장 많은 플레이 타임을 가져간 선수였으며, 이상헌과 임중용을 이끌면서 수비의 핵으로 평가받았다. 한편, 이 기간 동안 프로 통산 300경기의 업적도 달성했다. K리그 통산 10번째 기록이다.
인천에서 이렇게 좋은 모습을 보인 김현수지만, 2005 시즌 시작을 앞두고 김우재와 함께 전남의 장경진,
2005년 전남에서 입단 직후 주장에 선임되며 허정무 감독의 신임을 얻으며 시즌 초반 주전으로 활약했다. 하지만 컨디션 난조로 인해 5경기 출장에 그치며 6개월 만에 팀을 떠났다. 여름에 크로아티아 디나모 자그레브 입단도 타진했으나 결국에는 무산되는 등 6개월 동안 무적 신분으로 힘든 시절을 보냈고 은퇴설이 돌았다.
2006 시즌을 앞두고 고향 팀인 대구 FC로 이적하였다. 대구에서 2시즌 동안 53경기에 출장하며 2골 3어시스트를 기록했으며 주장으로서 팀을 잘 이끌어 나갔다. 2007년 10월 14일 서울과의 홈경기에서 많은 대구팬들을 뒤로하고 더 큰 꿈을 펼치기 위해 애정 넘쳤던 고향에서의 선수생활을 마쳤다.
2.2. 국가대표 경력
U-23 대표팀에서도 활약한 바 있으며, 성인 국가대표팀 선수로는 1997년 처음 선발되어 통산 3경기에 출전하였다.그러나, 그와 플레이 스타일이 상당히 비슷한 선수가 국내 축구 역사상 손가락 안에 들정도의 선수였기 때문에, 대표팀 운은 없었다.
2003년 12월 2003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선발돼 대회 초대 우승에 기여했다.
3. 플레이 스타일
당시 희귀했던, 흔히 말하는 커맨더형 센터백으로, 포지션이 센터백임에도 퇴장을 한 차례도 당하지 않을 만큼 파울을 거의 범하지 않는 깔끔한 수비수였다. 또한, 위치선정과 예측이 우수했으며 듬직한 체구를 이용한 몸싸움과 대인마크에도 능했다. 천부적 킥력 덕분에 유사시에는 페널티킥, 프리킥 전담 키커 역할까지 훌륭히 수행했고, 특히 페널티킥은 단 한 차례도 실축하지 않았다.4. 지도자 경력
4.1. 코치
대구에서 은퇴 직후 2008년 대구 FC U-18 팀인 현풍고등학교 감독이 되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2013년 대구 FC 1군 코치로 승격했으나 팀의 강등을 막지 못했다. 강등 직후 대구의 차기 감독 물망에도 오르기도 했지만 결국 8년 만에 대구를 떠났다.2014년 부산 대우 시절 감독이던 이차만 감독의 부름을 받고 경남 FC에 합류했다. 시즌 중반 최악의 부진으로 꼴찌에 머물며 이차만 감독이 사퇴하고 브란코 바비치 대행 체제에서 잔류했지만 팀의 승격을 이끌지 못했고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났다.
2015년 대구 시절 코치와 감독으로 연이 있던 당성증 감독이 있는 내셔널리그 소속 천안시청 축구단 코치로 부임해 1년 간 몸담았다.
2016년 성남 시절 한솥밥을 먹던 조진호 감독의 부름을 받고 상주 상무의 수석 코치로 선임됐다. 상주의 구단 최초의 상위 스플릿 행에 기여했다.
2017년 서울 이랜드의 코치 겸 수석 스카우트로 부임하였다.#
4.2. 서울 이랜드 FC 감독
2019 시즌을 앞두고 인창수의 후임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프로팀 감독으로 데뷔하게 되었다.하지만 프로팀 감독으로서의 검증이 전혀 안된 경력 없는 감독이라는 점과 더불어, 이번에도 지난해의 인창수와 마찬가지로 내부인사로 돌려막기하는 꼴의 대책 없는 감독 선임이라며 팬들의 시선은 그다지 좋지 못하다.
김현수 감독은 시즌 전 인터뷰를 통해 후방 빌드업을 추구할 것임을 밝혔다.
3월 3일 광주 FC전을 통해 감독 데뷔전을 치렀으나 이날 경기는 2:0으로 패했으며, 개막 후 5경기 연속 무승으로 K리그2 내에서 유일하게 승리를 거두지 못하며 리그 최하위로 떨어졌다.
4월 14일 FC 안양전에서 4:1로 승리하며 감독 데뷔승을 거두었지만 4월 22일 전남전 무승부 이후 연이어 3연패를 당하며 다시 리그 최하위로 떨어졌고, 5월 15일 FA컵 16강에서는 실업팀 대전 코레일에 패하게 되었다.[3]
5월 20일 광주 FC전에서 패하며 7경기 연속 무승을 기록했고, 이날 경기 후 인터뷰에서 눈시울을 붉히면서 "감독인 제게 문제가 있다. 구단과 상의를 해봐야 할 것 같다"고 언급하며 사퇴를 암시했다. 감독 역량의 문제보다는 투자에 인색한 프런트의 문제가 더 크기 때문에 많은 축구 팬들의 안타까움을 샀다. #
결국 5월 22일 사의를 표명하면서 6개월만에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감독 대행은 우성용 코치가 맡는다.
4.3. 개성고등학교 감독
이후 1년 간 공백기 이후 2021년, 자신이 프로 데뷔를 했던 부산의 U-18인 개성고등학교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2022년 부산MBC 전국 고등학교 축구대회 우승하며 대회 최우수 지도자상을 수상했다.
2023년까지 개성고를 지휘하고 팀을 떠났다.
5. 여담
- 2019년 서울 이랜드의 대표이사와 동명이인이라 감독 선임 오피셜이 나오고 나서 일부 팬들은 대표이사가 사장 겸 감독을 하는 줄 아는 사람도 일부 있었다고 한다.
- 딸 김고은이 2022 미스코리아에서 미로 당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