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19:00:20

키드급 구축함

기륭급에서 넘어옴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7408b> 잠수함 <colbgcolor=#27408b> SS 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2대 바라쿠다급R, 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SSG 그레이백급R
SSN 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SSN(X)}
SSGN 오하이오급*
SSBN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컬럼비아급}
고속정(PC)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호위함(FF) 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브룩급R, 녹스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컨스텔레이션급}
구축함 구축함(DD) 플레처급M/R, 알렌 M. 섬너급 FRAM-IIM/R, 기어링급 FRAM-I/II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방공구축함(DDG)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DDG(X)}
순양함 순양함(CL, CA) 클리블랜드급R, 볼티모어급R, 파고급R, 오리건시티급R, 우스터급R, 디모인급R
방공순양함(CG) 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 타이콘데로가급, CG(X)
핵추진 방공순양함(CGN)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타격 순양함
전함
(BB)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몬태나급
상륙정 LCU 1610, LCM, LCVP, LCAC
상륙함 LHA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LPH 이오지마급R
LHD 와스프급
LPD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LSD 캐사 그랜드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하퍼스 페리급, 위드비 아일랜드급
LST 뉴포트급R
LSV 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EPF 스피어헤드급
소해함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군수지원함 미 해군의 퇴역 군수지원함급 목록R,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지휘함 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원정이동기지선
(ESB)
루이스 B. 풀러급
항공모함 재래식(CV) 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유나이티드 스테이츠급, 포레스탈급R, 키티호크급R
핵추진(CVN)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잠수함모함
(AS)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구축함모함
(AD)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우스톤급R
무인함 USV 시 헌터, {LUSV}
UUV 오르카 XLUUV, {후긴 AUV}
대형호위함(범선) 컨스티튜션*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로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1px-USS_Kidd_%28DDG-993%29.jpg
DDG-993 키드[1]
파일:USS_Callaghan_(DDG-994).jpg
DDG-994 캘러헌[2]

1. 개요2. 제원3. 설명4. 중화민국 해군 지룽급
4.1. 제원4.2. 대만의 도입4.3. 상세
5. 동형함 목록6. 대중매체에서7. 관련 문서8. 외부 링크

1. 개요

키드급 구축함은 스프루언스급에 기반을 두고 설계된 구축함으로, 원래 이란팔레비 왕조의 주문에 따라 건조된 군함이지만 1979년 왕정이 무너지면서 수출이 취소되고, 미 해군에 배치되어 운용되었다. 함급명은 진주만 공습 때 전함 애리조나에서 전사한 아이작 C. 키드 제독에서 따왔다.[3]

2. 제원

키드급 구축함
Kidd-class Guided Missile Destroyer
<colbgcolor=#eeeeee,#252525> 함종 방공 구축함
이전급 스프루언스급
다음급 알레이버크급
구분 개수 이전 NTU 개수 이후
기준배수량 7,289톤
만재배수량 9,783톤
길이 172m
16.8m
흘수선 8.8m
동력 <colbgcolor=#eeeeee,#252525> 방식 COGAG
기관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 가스터빈 엔진 4기
(각 21,500마력)
추진 프로펠러 샤프트 2기
속도 33노트
항속거리 20노트 순항시 11,000km
승무원 364명 (사관 31명)
레이다 2차원 대공 레이시온 AN/SPS-49(v)5 L밴드 2차원 장거리 대공 탐지 레이다
3차원 대공 ITT 엑셀리스 AN/SPS-48C E/F밴드 3차원 대공 탐지 레이다
사격통제 AN/SPG-51D 미사일 사격통제 레이다 2기 (일루미네이터)
AN/SPG-60 미사일/함포 사격통제 레이다
항법 레이시온 AN/SPS-64(v)9 항법 레이다
X 마르코니 AN/SPS-59 단거리 항법 레이다
소나 AN/SPQ-53D 선저 소나
기만 장비 디코이 Mk.137 디코이 발사기 4기[4]
AN/SLQ-25 닉시 어뢰 기만체
ESM/ECM 불명 AN/SLQ-32(v)3 OUTBOARD II ECM
무장 함포 유나이티드 디펜스 Mk.45 Mod 1 127mm 54구경장 함포 2문
CIWS 레이시온 Mk.15 팰렁스 2문
미사일 (대공/대잠) Mk.26 2연장 미사일 발사기 2기
RIM-66B SM-1MR Block V 52발
RUR-5 ASROC 16발
RIM-66K-2 SM-2MR Block IIIA 68발
미사일 (대함) Mk.141 4연장 하푼 경사발사대 2기
RGM-84D 하푼 8발
어뢰 Mk.32 3연장 324mm 어뢰 발사관 2문
Mk.46 경어뢰 24 발
항공 시설 비행갑판
중형 헬리콥터용 격납고
탑재 항공기 SH-3 시킹 1기 또는 SH-2 시스프라이트 1~2기
Mk.46 경어뢰 2발 Mk.46 경어뢰 2발

3. 설명

스프루언스급에 버지니아급의 전투 체계를 단 개조형이다.[5] 원래 팔레비 왕조가 주문한 발주 수량은 6척이었으나 4척으로 축소되었다. 잉걸스 조선소[6]에서 1978년에서 1980년에 걸쳐 건조했지만 인도 직전인 1979년 이란에서 일어난 이슬람 혁명으로 발주했던 팔레비 왕조가 무너지면서 상황이 완전히 바뀌었다. 호메이니에 의해 반미 이슬람 원리주의 공화정이 수립되면서 판매가 전면 취소되자 HII社가 손실을 모두 떠맡게 될 상황이 되었다. 이를 지켜만 볼 수 없었던 미 하원에서 압력을 넣어 이란이 주문했던 4척의 군함은 미 해군으로 이관되어 키드급으로 명명되었다.

키드급은 이란의 요구사항에 따라 무더운 기후에서 활동하기 좋도록 강력한 냉방/필터 장치가 달려 있었고, 키드급을 인도받은 미 해군에서는 이 점을 살려 중동 지역의 작전에 주로 투입했다. 1988년~1990년까지 근대화 개량(New Threat Upgrade, NTU)를 실시하여 사격통제용 레이더와 미사일 관제 시스템의 개량 및 SM-2MR 함대공 미사일 운용능력을 부여하여 전체적인 성능을 대폭 향상시켜 운용하였다. 키드급은 NTU 업그레이드를 받으면서 AN/SYS-1(v)2 IADTS[7]를 탑재하여 2차원 레이다와 3차원 레이다의 자료를 조합하여 약 1초당 1회의 갱신률로 500km 이내에서 256개의 목표를 탐색할 수 있고, 동시에 6~10개의 목표를 공격할 수 있는 이지스함에 준하는 수준으로 끌어 올렸다. 그러나 센서의 성능 향상과는 동떨어지게 여전히 2기의 2연장 Mk.26 발사기를 사용하기에, VLS과 같은 수준의 대규모의 미사일 공격에 대한 신속한 대응 및 다중 방공은 무리라고 보는 견해가 주류였다.

결국 키드급은 이지스라는 강력한 통합 전투시스템을 탑재한 신개념 구축함인 알레이 버크급이 취역하면서 19년간의 짧은 운용을 마치고 1998년까지 모두 퇴역하여 장기보존상태에 들어갔다.

강력한 방공능력등 준수한 성능을 지녔기에 여러 국가들이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1980년대 호주 해군올리버 해저드 페리급와 같이 하이급 군함으로 도입하려 했으나, 정권이 교체되면서 페리급만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리스 역시 관심을 가져 인도 직전까지 계약이 진행되었지만 발칸반도 해군력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우려한 미 의회와 그리스의 앙숙인 튀르키예의 반대로 무산되었다.[8] 대공능력으로는 충무공 이순신급을 훨씬 능가하는 함정이니 만큼 당시 밀리터리 매니아들 사이에서 한국 해군이 이 배를 구매해야 한다는 주장이 많았다.[9]

결국 해외수출이 수포로 돌아가고 계속 장기보존상태에 있을 상황이었다.

4. 중화민국 해군 지룽급

파일:대만 국기.svg 현대의 대만 해군 함선 파일:대만 해군 깃발.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잠수함
(SS)
<colbgcolor=#fefefe,#191919>하이신급, 하이룽급, 하이쿤급
구잠함 추장급R, 춰장급R, 칭장급R, 추지안급R
고속정
(PC)
PCA급, PCL급
미사일 고속정
(PG)
하이우급R, 룽장급, 광화 6호급
초계함
(FF)
정안급M/R, 가오안급M/R, 린안급M/R, 핑준급R, 진장급, 퉈장급
호위구축함
(DE)
중정급R 타이호급R, 타이캉급R, 타이위안급R
호위함
(FF)
신양급R, 후이양급R, 지양급M, 밍추안/펑지아M, 쳉쿵급, 캉딩급, {경호위함}
구축함 구축함
(DD)
프로젝트 T.306.5 설계안R, 린푸R, 단양급R, 뤄양급R, 펀양급R, 안양급R, 샹양급R, 차오양급R
방공 구축함
(DDG)
지룽급
상륙정 허샨급R, 허펑급R, LCI, LCVP, LCM-6
상륙함 LPD 위산급
LSD 둥하이급R, 전하이급R 중정(애쉬랜드)급R, 쑤하이급
LST 중정급R, 충호급, 충하이급
LSM 메이전급R
LSSL 리안지급R
소해함 융진급, 융양급, 융촨급
수송함 윈펑급
군수지원함 우이급, 판시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ROCN_Kee_Lung_SM-2.jpg

4.1. 제원

지룽급 미사일 구축함
[ruby(基隆級飛彈驅逐艦, ruby=Jīlóng Jí Fēidàn Qūzhújiàn)] [10]
함종 방공 미사일 구축함
이전급 없음
다음급 미정
기준배수량 7,289톤
만재배수량 9,783톤
길이 172m
16.8m
흘수선 8.8m
동력 방식 COGAG
기관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 가스터빈 엔진 4기
(각 21,500마력)
추진 프로펠러 샤프트 2기
속도 33노트
항속거리 20노트 순항시 11,000km
승무원 364명 (사관 31명)
레이다 2차원 대공 레이시온 AN/SPS-49(v)5 L밴드 2차원 장거리 대공 탐지 레이다
3차원 대공 ITT 엑셀리스 AN/SPS-48E E/F밴드 3차원 대공 탐지 레이다
사격통제 AN/SPQ-9A I밴드 함포 사격통제 레이다
AN/SPG-51D 미사일 사격통제 레이다 2기 (일루미네이터)
AN/SPG-60 미사일/함포 사격통제 레이다
항법 레이시온 AN/SPS-64(v)9 항법 레이다
마르코니 AN/SPS-59 단거리 항법 레이다
소나 AN/SPQ-53D 선저 소나
기만 장비 디코이 Mk.137 디코이 발사기 4기
AN/SLQ-25 닉시 어뢰 기만체
ESM/ECM AN/SLQ-32(v)3 OUTBOARD II ECM
무장 함포 유나이티드 디펜스 Mk.45 Mod 1 127mm 54구경장 함포 2문
CIWS 레이시온 Mk.15 Block (0/1A/1B) 팰렁스 2문[11]
미사일 (대공) Mk.26 2연장 미사일 발사기 2기
RIM-66K-2 SM-2MR Block IIIA 68발
미사일 (대잠) Mk.112 매치박스 8연장 대잠 로켓 발사기 1기
RUR-5 ASROC 24발
미사일 (대함) Mk.141 4연장 하푼 경사발사대 2기
RGM-84L 하푼 Block II 8발
4연장 대함미사일 경사발사대 2기 (쑤아오함)
HF-II 슝펑 3 8발
어뢰 Mk.32 3연장 324mm 어뢰 발사관 2문
Mk.46 경어뢰 24 발
항공 시설 비행갑판
중형 헬리콥터용 격납고
탑재 항공기 헬기 S-70C(M)-2 썬더호크 1기 (지룽함)
탑재 항공기 무장 Mk.46 경어뢰 2발

4.2. 대만의 도입

파일:external/www.globalsecurity.org/ddg-994-DNSC8710713.jpg

1990년대 초반의 중화민국 해군은 국산 함대방공함 개발계획인 ACS 사업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서 함대 수준의 원거리 방공능력이 취약한 상태였다.

설상가상으로 중국소브레멘니급항저우급을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052B형 구축함의 건조와 같이 해군력을 급속히 증강시키고 있었다. 중화민국은 이런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2001년에 알레이버크급 이지스 구축함의 판매를 요청하였으나, 중국의 강력한 반발과 함께 대만이 중국에 점령되면 이지스함도 노획당할 위험이 있다는 우려로 인해 판매를 거부했다. 그대신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항저우급 정도는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키드급을 제시하자 고민 끝에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도입 결정은 대만 내부에서도 퇴역한 노후 구축함을 비싼 가격에 떠넘긴다는 대만 정치계와 여론의 반발에 부딪쳐 중화민국 입법원에서도 상당한 기간동안 구매안이 통과되지 못하기도 했다. 우여곡절 끝에 2003년 5월에 입법원에서 도입안이 통과되었고, 11월에 미 의회에서도 판매가 승인되어 키드급 4척과 여기에 탑재될 SM-2 Block IIIA 미사일 148발과 하푼 Block II 미사일을 포함하여 미화 6억 9,234만달러에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2005년 2척, 2006년에 2척이 대만에 인도되었다.

4.3. 상세

高雄市紅毛港文化園區-基隆級(原稱紀德級 Kidd class)驅逐艦1803左營號出港

대만으로 인도된 지룽급은 강력한 대공능력에 비해 대잠능력은 떨어지는 편으로, NTU 프로그램을 포함한 역대 성능향상 작업에서 큰 개량이 없어서 예인 소나가 설치 되어 있지 않고, ASROC은 현재 미군의 주력 ASROC인 RUM-139 VL-ASROC이 VLS 전용이기에 키드급의 Mk.26 발사기에서 발사가 불가능하여 따로 Mk.112 대잠 로켓 발사기를 설치해야 했다.

또한 AN/SQQ-89 대잠 전투체계가 탑재되어 있지 않아 대만의 주력 대잠헬기인 S-70C(M)과 연계된 대잠작전이 불가능하고 1번함인 지룽함만이 대만에게 인도되기 전 비행갑판과 대잠헬기 운용시설 개조를 했기에, 지룽함만이 S-70 탑재가 가능하다. 원래 키드급은 카만社의 SH-2 시스프라이트 LAMPS 헬기를 운용했기에 나머지 3척은 S-70 운용이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대잠전 임무는 쳉쿵급 호위함이나 치양급 대잠 호위함이 담당하는 듯 하다.

한편 지룽급은 앞서 설명한 NTU 업그레이드를 거친 함정이라 대공 탐지 능력이 우수하며, 배수량이 구축함 중에서 매우 큰 축에 속하기에 미사일 발사관만 VLS 방식으로 바꿔주면 현역 이지스함에 준하는 성능을 보여줄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Mk.41 VLS는 중국의 반발 때문에 수입이 불가능하고, 자국 내에서 개발하려니 국방예산의 한계 및 기술력 부족 때문에 VLS 탑재 개량은 2010년대 초반까지는 전혀 언급이 없었다. 그러다 2016년 이후 톈궁 3을 기반으로 한 하이궁 3 함대공 미사일의 개발에 성공하면서 SM-2 미사일의 대체가 가능해지고, 하이궁 3을 위한 대만제 VLS도 개발중이기에 VLS 탑재 가능성이 생기게 되었다. 하지만 한편으로 지룽급 자체의 부품 수급 문제 등 구시대의 함선이라는 한계점도 드러나는 중이고 이미 대체 함선 개발계획도 있어서, 후속함 개발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면 그냥 이대로 운용되다 퇴역할 가능성도 있다.[12]

2005년 4월 실시한 모의 전투 시뮬레이션에서는 중국 공군 Su-30MKK2 40대의 공격을 지룽급 2척이 Su-30 16대를 격추시키고 그 대신 지룽급 1척이 격침당하는 결과가 나왔는데, 중화민국 해군에선 만족했다고 한다.

2013년 5월에는 필리핀과 배타적 경제수역 분쟁이 벌여지는 곳에서 자국의 어민이 필리핀 해경의 총격에 의해 사망하자, 즉각 해당 함급인 마궁함과 캉딩급 호위함 청더가 대만 공군과 함께 필리핀 상대로 무력시위에 나선 적이 있었다. 필리핀군에는 이러한 함정에 대응할 무기가 전혀 없었고 결국 필리핀은 대만이 요구하는 모든 조건을 승낙하고 사과를 표명하면서 사실상 굴복했다.[13]

'基隆'의 표기법이 Kee Lung 이기 때문에, 예전에는 영어 표기를 그대로 발음해서 '키룽급'이라고 많이 알려졌었으나, 실제로는 대만의 항구도시인 지룽을 따온 함급이므로 지룽이라 하는게 맞다.[14]

5. 동형함 목록

이란 해군에서 명명한 함명들은 모두 페르시아의 왕에서 유래한 관계로 (Shah)급이라는 별명이 있었다. 이후 미 해군에 배치된 키드급의 함명들은 태평양 전쟁 당시 전사한 제독들의 이름으로 명명되었기에 죽은 제독들(Dead Admirals)의 함이라는 별칭이 있으며, 원래 이란에서 쓸 함정이었던 이유로 호메이니를 빗댄 아야톨라(Ayatollah) 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는 키드급이 당시 이지스함의 출현으로 포지션이 애매한 함급인데다, 미 해군에서 억지로 떠맡게 된 천덕꾸러기였기 때문이다. 계획에도 없던 승조원 훈련과 NTU 업그레이드 등 추가적인 지출이 들었으니 곱게 여길 수 없었을 것이다.
이란 왕립해군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모항 상태 비고
1 - IIS[15] 키루스 (کوروش بزرگ) - - - - 수출 금지 = USS 키드
2 - IIS 다리우스 (داریوش) - - - - = USS 캘러헌
3 - IIS 나디르 (نادرشاه افشار) - - - - = USS 스콧
4 - IIS 아누쉬르반 (انوشیروان) - - - - = USS 챈들러
미합중국 해군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모항 상태 비고
1 DDG-993 USS 키드 (Kidd)[16] 1978.6.26 1979.8.11 1981.6.27 불명 대만에 매각 現 ROCS 쒀잉
2 DDG-994 USS 캘러헌 (Callaghan)[17] 1978.10.23 1979.12.1 1981.8.29 불명 現 ROCS 쑤아오
3 DDG-995 USS 스콧 (Scott)[18] 1979.2.12 1980.3.1 1981.10.24 불명 現 ROCS 지룽
4 DDG-996 USS 챈들러 (Chandler)[19] 1979.5.7 1980.5.24 1982.3.13 불명 現 ROCS 마콩
중화민국 해군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모항 상태 비고
1 DDG-1801 ROCS 지룽 (基隆 [기륭]) - - 2005.12.17 가오슝 현역 前 USS 스콧
2 DDG-1802 ROCS 쑤아오 (蘇澳 [소우]) - - 2005.12.17 가오슝 前 USS 캘러헌
3 DDG-1803 ROCS 쭤잉 (左營 [좌영]) - - 2006.11.2 가오슝 前 USS 키드
4 DDG-1805 ROCS 마궁 (馬公 [마공]) - - 2006.11.2 가오슝 前 USS 챈들러

6. 대중매체에서

파일:MW_USS_Kidd.jpg

7. 관련 문서

8. 외부 링크



[1] 대만 해군의 DDG-1803 쭤잉(Tso Ying, 左營)으로 재취역했다.[2] 대만 해군의 DDG-1802 쑤아오(Su Ao, 蘇澳)로 재취역했다.[3] 이후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50번 함(DDG-100)이 본 키드함의 이름을 이어 받았다.[4] BAE社의 Mk.36 Mod 1 SRBOC(Super Rapid Bloom Offboard Countermeasures Chaff and Decoy Launching System)의 미국 형식명.[5] 다만 스프루언스급의 개량형이긴 하나 VLS는 없다. 사실 스프루언스급에 설치된 VLS는 대공미사일 발사용이 아닌,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 및 ASROC 대잠미사일 발사용이고, 대공을 담당하는 RIM-7 시스패로우용 8연장 발사기나 RIM-116 RAM이 따로 있었다.[6]노스롭 그루먼 산하의 헌팅턴 잉걸스 산업, HII 조선소.[7] Integrated Automatic Detection and Tracking System, 자동 통합 탐지 및 추적 시스템.[8] 그러자 미국에서 대공레이더를 구형 AN/SPS-48C로 교체하여 동시다목표 대응능력도 제거하고, SM-2 운용도 못하게 바꾸는 등의 다운그레이드를 하여 판다는 제안도 나왔었지만, 그리스에서 비싼 값에 비해 성능이 낮다고 반발하여 도입을 거부했다.[9] 그러나 실제로 도입했다면 지금 대만과 마찬가지로 전투체계 부품 수급 문제를 겪었을 것이다.[10] 한국식 독음으로는 기륭급 비탄 구축함. 비탄(飛彈)은 미사일이라는 뜻이다. 발음하자면 지룽 지 뻬이단 취주 찌엔 정도된다.[11] 지룽함/쑤아오함- Block 0 2문
쭤잉함 Block 0 1문, Block 1B 1문
마콩함 Block 1A 2문
[12] 지룽급의 미국제 레이더 및 전투 시스템과 대만제 함대공 미사일 통합 문제도 만만치 않다. 대한민국 해군이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레이더 개량에 난색을 표하는 이유에는 미국제 SM-2 미사일과 한국 독자 SPS-550K 레이더 간 통합 문제도 있다. 또한 기술적 어려움을 뚫고 비용을 들여 개량했는 데 몇년 쓰지도 못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2000년대 초에 건조된 충무공 이순신급이 이런데, 70년대 말 ~ 80년대 초에 건조된 지룽급이라면 더 말할 필요가 없다.[13] 영문 위키백과에 나온 해당 총격사건[14] 참고로 이름의 모티브가 된 지룽 시 또한 해양과 이러저러한 연관이 있는데, 원래 지룽 시 자체가 대만의 수도 타이베이의 외항 위성도시다. 더해서 대만 섬 전체가 일본의 통치를 받던 시절에 이 지역이 일본 제국 해군의 군항으로 사용되었는데, 일본의 지배가 끝난 오늘날에도 중화민국 해군의 주요 모항으로 쓰이고 있다. 다만 현재 지룽에 주둔하는 제131전대(함대)는 금강급 초계함을 주력함으로 쓰고 있다.지룽에 없는 지룽급 지룽급을 쓰는 제 261전대는 다른 곳을 모항으로 쓰고 있다.[15] Imperial Iranian Ship[16] 진주만 공습에서 전사한 아이작 키드 소장.[17] 과달카날 해전에서 전사한 대니얼 J. 캘러헌 소장.[18] 과달카날 해전에서 전사한 노먼 스콧 소장.[19] 마닐라 만 해전에서 전사한 시어도어 E. 챈들러 소장.[20] 게임 플레이상 대공 미사일을 직접 발사하는건 항공기를 직접 요격하는 경우에만 사용되고 함대함 미사일은 명중 굴림을 깎는 식으로만 간략화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