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 분기점 古西 分岐點 Goseo Junction | ||
광주 방면 동광주TG ← 2.3 km | 광주대구선12 | 대구 방면 담양JC 3.4 km → |
순천 방면 창평IC ← 4.2 km | 호남선9 | 논산 방면 동광주TG 2.3 km → |
주소 | ||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 ||
관리기관 | ||
광주대구선 | 한국도로공사 광주전남본부 담양지사 | |
호남선 | 한국도로공사 광주전남본부 광주지사 | |
개통 | ||
1973년 11월 14일 |
1. 개요
광주대구고속도로 12번. 호남고속도로 9번.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에 있는 88올림픽고속도로(現 광주대구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의 분기점이자 광주대구고속도로의 기점이 문흥 분기점으로 이전하기 전에 원래 시점이었다. 명칭은 소재지인 고서면에서 유래했다.2. 구조
2.1. 광주대구고속도로
2.1.1. 대구 방향
- 진입 가능: 호남고속도로 양방향
2.1.2. 광주 방향
- 진출 가능: 호남고속도로 양방향
2.2. 호남고속도로
2.2.1. 논산 방향(상행선)
2.2.2. 순천 방향(하행선)
3. 역사
- 담양평면IC 시절[1973.11.14~1984.06.26]
- 고서JC[1984.06.27~현재]
- 1996.09.24.(화)10:00 호남고속도로 북부산[서순천] 방향(고서JC ~ 남해고속도로 순천IC)이 4차로로 임시확장되었다.[6]
- 1996.10.01.(화)12:00 임시확장 기간이 종료되어 2차로로 환원되었다.
- 1996.11.08.(금)오후 호남고속도로 북부산 방면(고서JC ~ 남해고속도로 순천IC)이 4차로로 정식확장되었다.
- 2006.12.07.(목)21:00 광주대구고속도로 고서JC ~ 장장리 구간이 6차로로 확장되었다.[7]
- 2009.12.17.(목)15:00 호남고속도로 대전·서울[논산] 방향(동광주TG ~ 고서JC)이 6차로로 확장되어 지금 형태의 고서JC가 되었다.[9]
4. 특징
- 청주 분기점, 산월 나들목, 서대전 분기점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졌다. 또한 순천에서 오는 경우 이 분기점에서 표지판이 동광주 나들목이 아닌 전주로 표시된다. 천안 방향으로는 광주의 기준점이 동광주 나들목이다. 또한 문흥 분기점 개통전에는 다음 나들목이었기 때문.
- 2km부터 호남선으로 갈리지기 전까지 표지판에는 순천/창평, 전주/광주(문흥) 이라고 적혀 있다. 이 분기점에서 순천으로 가는거는 시간적으로 손해이다.[10] 이 분기점에서 순천 방향으로 가는 차량들은 수도권, 천안, 대전에서 고창담양고속도로를 이용해서 창평 나들목으로 진출하는 차량들이다.
- 2015년 12월 21일까지 이 분기점이 시점이었으나 다음날 문흥 분기점이 시점이 되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분기점이 시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광주대구선 시점 비석이 이 분기점 입구에 세워져 있다. 88올림픽고속도로 시절에는 전주/동광주라고 표시했지만 현재는 광주(문흥)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호남고속도로 천안 방향으로는 여전히 전주/동광주라고 표시한다.
- 문흥 분기점부터 이어오던 광주대구선 중첩구간이 여기서 분리된다. 전통적으로 "영/호남의 갈림길"로 불렸던 담양삼거리의 고속도로 버전이라 할 수 있다.
5.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width=500><tablebgcolor=#3f3f7f> | 고속국도 제12호선 구간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무안광주고속도로 | 무안공항IC - 북무안IC - 무안공항TG - 함평JC( 동함평IC - 문평IC - 나주IC - 서광산IC - 동광산TG - 운수IC | |
광주대구고속도로 | 문흥JC( 순창IC - 남원JC( 서함양IC - 함양IC - 함양JC( 거창韓SA - 해인사IC - 고령IC - 동고령IC - 고령JC( | ||
1. 제25호선과 중첩되는 구간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width=500><tablebgcolor=#3f3f7f> | 고속국도 제25호선 구간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호남고속도로 | 서순천IC( 동광주TG1 - 문흥JC( 백양사SA - 백양사IC - 내장산IC - 정읍IC - 정읍녹두장군SA - 태인IC - 금산사IC - 김제IC - 이서SA - 서전주IC - 전주IC - 삼례IC - 익산JC( 익산IC - 여산SA - 논산JC( | |
논산천안고속도로 | 논산JC( 남풍세IC - 남천안IC - 천안JC( | ||
1. 제12호선과 중첩되는 구간 | }}}}}}}}} |
[1973.11.14~1984.06.26] 당시에는 광주대구고속도로가 담양으로 가는 지선이었다.[2] 김제시, 정읍시, 장성군, 광주광역시 및 광산구, 북구, 곡성군, 순천시, 광양시, 하동군, 사천시, 진주시, 함안군, 창원시 및 마산회원구, 의창구, 김해시, 부산광역시 강서구, 북구 등도 최초.[3] 단 IC 시절 개통된 것.[1984.06.27~현재] 광주대구고속도로 전구간 개통과 동시에 JC로 변경되었다.[서순천] 서순천IC에서 직진하여 남해고속도로를 통해 부산까지 갈 수 있다.[6] 호남고속도 확장구간 추석연휴 임시개통 연합뉴스 960917[7] 호남고속도 장성-담양 구간 내일 개통 뉴시스 061206[논산] 논산JC에서 직진하여 호남고속도로지선을 통해 대전으로, 진출하여 논산천안고속도로와 경부고속도로를 통해 서울로 갈 수 있다.[9] 광주제2순환도로~호남고속도로 연결 17일 개통 데일리안 091214. 동시에 동광주TG ~ 고서JC는 8차로로 확장됐고 고서JC 신설.[10] 수도권에서 순천으로 갈 때 익산 분기점을 이용하며, 대구에서는 남원 분기점을 이용한다. 심지어 담양에서도 담양 분기점을 이용하지 이 분기점을 이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