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3 19:38:33

경산시/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산시
파일:경산시 CI.svg 경산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1A71,#1f2023> 철도 경부선 경산역
대구선 하양역
대구권 전철 파일:Daegu1.svg · 파일:Daegu2.svg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svg 경부진량IC미개통, 경산IC12
파일:Expressway_kor_20.svg 새만금포항청통와촌IC22
일반도로 국도 4 · 25
지방도 69 · 909 · 919 · 925
버스 고속버스 동대구터미널/노선
시외버스 경산시외버스정류장 · 하양 · 영남대 · 대구대 · 자인 · 갈지리
시외버스 노선
시내버스 경산시 시내버스 · 타 지역 연계 시내버스 노선
}}}}}}}}} ||
경상북도의 교통


1. 개요2. 철도
2.1.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2.2. 대구권 전철
3. 버스
3.1. 시외버스3.2. 시내버스
4. 도로

1. 개요

경산의 교통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대구권에 위치하다 보니, 인구에 비해 일평균 대중교통 이용량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교통카드 빅데이터 시스템에 따르면, 경산시의 대중교통 이용률은 경북 최대 도시인 포항시보다도 월등히 높으며 심지어 거의 대부분의 날이 부산의 위성도시인 경상남도 김해시, 양산시보다 이용률이 높다.[1]

2. 철도

2.1.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EA%B2%BD%EC%82%B0%EC%97%AD_%EC%A0%84%EA%B2%BD3.jpg
경산역 전경
파일:하양역신축역사전경.jpg
하양역 전경

청도, 밀양과 같이 철도 초강세 지역이다. 경부선의 경우 경산역, 삼성역이 있으나 경산역에서만 여객을 취급한다. 경산역에서 1일 2회 구포 경유 KTX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시간대가 아닌 경우는 일반열차인 무궁화호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경산시 시내버스 등으로 동대구역까지 이동한 다음 KTX를 이용하며, 2024년 12월 14일 대경선이 개통하면서 동대구역이나 대구역으로 갈 수도 있다. 경산역의 경우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 주민들이 부산광역시 등지로 갈 때 동대구역 대신 이용한다. 특히 행신역에서 오후 4시 50분에 출발하는 구포 경유 부산행 KTX 열차는 경산역에서 부산역으로 내려가는 유일한 열차기도 하고 경산역에 도착할 때 즈음엔 이미 퇴근 시간대라 경산 시내 및 대구의 시지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한다.

대구선의 경우 하양역, 청천역이 있으나 청천역은 여객 취급을 하지 않는다. 하양역은 경산 북부 주민들이 경북 북부 지역(안동, 영주, 의성 등)이나 동해안 방면으로 갈 때 이용한다.

2.2. 대구권 전철


2012년 9월 19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2], 2024년 12월 14일 대경선[3], 2024년 12월 21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4]이 개통했다. 이로써 경산은 비수도권·비광역시에서 최초로 3개의 전철 노선이 다니는 유일한 기초자치단체이자 비수도권에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다음으로 3개의 전철 노선이 다니는 도시가 됐다.[5] 추가로 1호선 연장(금호하양선)이 예타를 통과하여 2030년 대구대역도 개통 예정이다.

3. 버스

3.1. 시외버스

시외버스의 무덤에 속한다. 고속버스는 아예 없고 시외버스만 있다. 다양한 지역으로 가고 싶으면 동대구터미널로 가야 한다.

경산시외버스정류장은 노선이 많이 없다. 인천국제공항[6], 동서울[7][8], 경주 경유 포항행, 울산행, 청도 경유 풍각/밀양행, 대천행(일부 운문사, 언양까지 운행) 등이다. 이 중 포항, 울산행 노선은 영남대정류소, 진량정류소 등에 중간 정차한 다음 경부고속도로 경산IC로 진입한다. 과거에는 대구 남부정류장 노선의 중간 승하차장으로 이용되고 있다가, 통합 동대구터미널의 개장 후 상당수 남부정류장 기점 노선들이 경산으로 단축되어 착발노선이 늘어났다.

하양시외버스터미널대구가톨릭대학교 정문 인근 하양우방타운3차아파트 건너편에 있는 버스 터미널이다. 운행 노선으로는 경주, 포항, 울산, 영천, 구미, 김천 등이 있으나, 편수가 많은 곳은 경주, 포항, 울산, 구미 정도다. 규모가 상당히 작은 터미널로, 경산시외버스정류장처럼 철도로 운행하기 곤란한 지역들의 편수가 많다. 예전에는 몇몇 경산 시내버스 노선이 시종점으로 사용했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노선들이 호산대학교로 종점을 이전하여 진량1번만 사용 중이다. 그리고 원래는 옆 건물에 대합실과 승하차장이 따로 있었지만 현재는 임대 후 도로변 정류장에서 승하차한다. 예전에는 11번과 311번 시내버스의 시종착점으로 쓰였으며, 311번은 시외완행 성격의 노선인지라 경산 관내에서도 구간요금 및 승차권을 받으며 운행했다. 그리고 311번은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없었다. 개편 후 311번은 803번, 하양-와촌1번(환상리지선[9] 포함), 진량2번 등으로 분리되어 일반적인 시내버스같이 카드를 찍고 타도 된다.

영남대학교 정문에 경산터미널발 울산, 포항, 경주 방면 노선이 중간 정차한다. 2호선 영남대역과 연계되고 울산, 포항, 경주 출신 영남대생들의 수요로 경산터미널보다 수요가 많다.

대구대학교 정문 쪽에도 시외버스정류장이 있다. 원래 노선망이 꽤 많았으나 코로나 여파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는 노선이 많아졌고 이 중 청도발 경산 경유 동서울행 시외버스는 2020년 2월 24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현재 운행되는 노선은 경주, 울산, 영천, 포항, 구미 정도이다. 여기는 현장발권만 가능하다.

3.2. 시내버스


시외버스와 달리 시내버스 교통은 비교적 편리하다. 경산시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많은데 대구 시내버스의 노선 번호에 8번(대구광역시 동구 안심, 하양읍, 진량읍, 와촌면, 영천시 금호읍)이나 9번(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 경산시(하양읍, 진량읍, 와촌면 제외))이 붙을 경우 그 버스는 경산시까지 운행하는 버스인 경우가 많다. 단, 349(대구종합유통단지~황금네거리~시지지구), 618(대곡지구~동구청~동호지구), 805(반야월역~반월당역~장기동), 836(반야월역~복현오거리~대천동공영차고지), 849(-1)(동호지구~담티역~동호지구), 937(시지지구~복현오거리~관음동)번은 아니다. 왜냐하면 노선번호 체계에서 8번은 북경산 외에도 대구 동구 안심지구, 9번은 남경산 외에도 대구 수성구 시지지구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 808번은 대구대학교영천시 금호읍까지 가는 분리노선이 각각 있지만 둘 다 하양읍을 거친다. 그리고 경산시 시내버스영천시 신녕면까지 운행되고 반대로 영천시 시내버스 55, 555번하양을 통과해서 영천과의 교통도 편리하다.

대구와 경산, 영천의 시내버스에는 시계외요금이 없다.[10] 요금체계와 환승 체계 또한 동일해서 왕복이 용이하다. 경산이 사실상 대구와 동일한 생활권에 속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만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전에는 경산 역시 대구 시경계에서 4km 이상인 구간은 시계외요금 징수 대상이었으며, 영남대 기종점 노선들이 정평동으로 직진하지 않고 경산시장으로 우회하는 것이 이 시절의 유산이다.[11]

다만 노선 개편 관련해서 대구시와 경산시 간 협의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대구 도시철도 2호선영남대역까지 연장 개통된지 10년이 넘었음에도 영남대 방면 대구 시내버스 노선들이 개편되지 않고 유지되며 일부 노선을 제외하고 만촌네거리부터 영남대까지 수많은 버스 노선이 도시철도 및 타 노선과의 중복으로 공기수송을 하고 있다. 반면 경산으로 향하는 길목인 수성구 등을 제외한 대구의 많은 지역에서는 버스편 부족으로 불편에 시달리고 있고, 경산의 신개발 지역도 대구행 노선이 부족하여 불편을 겪고 있다.

특이점은 버스정류장 안내판에 '앞'과 '건너'를 표기해 두어 방향을 헷갈릴 일이 없다. 이는 대구와 영천도 마찬가지이다. 영상

4. 도로

4.1. 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경산IC, 진량IC[12]), 새만금포항고속도로(청통와촌IC)[13]가 있고, 대구부산고속도로는 경산을 지나가지만 관내에 IC가 없다.[14]

울산시와 경산시가 계획 중인 고속도로는 세부 노선에 차이가 있지만 자동차 부품 산업이 집적된 경산과 완성차 공장이 있는 울산과의 이동 거리 단축으로 경산 내 부품 기업의 물류비를 절감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경부·중앙 고속도로 사이 관통하는 울산~대구경북 직선 고속도로건설에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4.2. 국도

4번 국도25번 국도가 있다.

4.3. 지방도

919번 지방도 : 경산 시내 - 압량읍 - 진량읍 - 하양읍을 이어주고 경산IC와도 연결되기 때문에 위의 두 국도만큼 교통량이 많다.

그외에 69번 지방도, 909번 지방도, 925번 지방도가 있다.
[1] 물론 2025년 1월 기준, 대구로 향하는 버스 노선과 전철 노선의 수 자체가 각각 25개, 3개로 넘사벽이다.[2] 영남대역까지 연장 개통. 경산 관내 정평역, 임당역, 영남대역 3개 역이 있다.[3] 경산역이 1차 구간 시종점이며, 지역 사회에서는 청도역을 거쳐 밀양역까지의 연장을 촉구하고 있다.[4] 하양 연장(안심-하양 복선전철)이 2014년에 확정되어 2019년 5월 17일에 착공했다.[5] 비수도권에서 전철이 들어오는 도 산하 기초자치단체는 6곳밖에 없다. 바로 충남 천안시, 아산시(수도권 전철 1호선), 강원 춘천(수도권 전철 경춘선), 경북 경산시(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대경선) 경남 양산(부산 도시철도 2호선), 경남 김해(부산김해경전철). 이마저도 천안, 아산, 춘천은 수도권 전철이 연장된 것이라 완전한 의미에서의 도시철도가 들어오는 비수도권 기초자치단체는 경산을 포함하여 3곳 뿐이다.[6] 코로나19로 인해 1일4회 운행중[7] 청도공용버스터미널 착발이며 대구광역시 시지정류소(KFC 앞)에서 중간 승하차한다.[8] 코로나19로 인해 현재 운휴중[9] 진량1번에 등록됐지만 실제로는 하양-와촌1번이 환상리지선을 운행했으며, 현재는 809번에 이관됐다.[10] 사실 대구와 경산, 영천 모두 시계외요금 자체가 없다. 즉 대구에서 대구 시내를 왕래하든, 경산이나 영천까지 가든, 동명까지 가든 요금은 똑같다는 것.[11] 정평동 직진 시 시경계에서 영남대까지 4km가 되지 않아 시계외요금을 징수할 수 없었다.[12] 하이패스 전용으로 2020년 확정, 2026년 12월 완공 목표[13] 나들목과 요금소는 영천시 청통면이지만 진출입은 와촌면에서 가능하다.[14] 다만 수성IC로 접근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