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의 성(性) 특성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bebeb,#3B3E45>생물학적 성 (Sex) | <colbgcolor=#f5f5f5,#2d2f34>분류 | 남성 · 여성 · 간성 |
| 같이 보기 | 성 지정 · 지정 성별 · 성결정계 · 생식 · 생식 기관 | ||
| 성 정체성 (Gender identity) | 분류 | 시스젠더 · 트랜스젠더(트랜스여성 · 트랜스남성) · 논바이너리/젠더퀴어(안드로진 · 바이젠더 · 트라이젠더 · 뉴트로이스 · 에이젠더 · 젠더리스 · 데미젠더 · 팬젠더 · 젠더플루이드 · 젠더플럭스) · 제3의 성 · 중성 | |
| 같이 보기 | 성별 · 무성별 · 젠더 · 젠더 시스템(젠더 이분법) · 성전환증 | ||
| 성적 지향 (Sexual orientation) | 분류 | 이성애 · 동성애(레즈비언 · 게이) · 여성애 · 남성애 · 양성애 · 무성애 · 유성애 · 다성애 · 전성애 · 범성애 | |
| 같이 보기 | 성적 끌림 · 성소수자 · 비성소수자 · 성적 정체성 | ||
| 로맨틱 지향 (Romantic orientation) | 분류 | 유로맨틱 · 이성로맨틱 · 동성로맨틱 · 여성로맨틱 · 남성로맨틱 · 양성로맨틱 · 다성로맨틱 · 전성로맨틱 · 범성로맨틱 · 무로맨틱 · 무로맨틱 스펙트럼 | |
| 같이 보기 | 로맨틱 끌림 · 연애(이성연애 · 동성연애 · 양성연애 · 비연애) · 로맨틱 정체성 | ||
| 성적 특성 질문 (Question) | 분류 | 퀘스처닝 | |
| 같이 보기 | 성 정체성 · 성적 정체성 · 로맨틱 정체성 · 젠더 표현 · 성별 비순응 |
1. 개요
영어: Trans woman지정성별이 남성으로 태어났으나 스스로를 여성으로 정체화하는 경우를 뜻하며 MTF(Male to Female) 트랜스젠더라고도 한다.
주로 정신의학과에서 성 불일치(GI)와 그로 인한 성별 불쾌감(GD) 판정을 받는다.
2. 성적 지향
남성을 좋아하는 이성애자, 즉 남성애자인 경우가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모든 트랜스여성을 남성애자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지만, 여성으로서 여성을 좋아하는 동성애자인 트랜스레즈비언도 존재하고[1] 양성애, 다성애, 전성애, 범성애, 무성애 등도 나타난다. 실제 트랜스여성 중의 인구 비율을 봤을 때에도 이성애자보다 레즈비언, 양성애 등 이성애규범성을 벗어나는 성적 지향의 보유자의 비율이 더 많은 편이다.3. 병역 문제
징병제를 실시하는 대한민국에서는 호르몬 대체 요법(HRT) 진행 6개월 이상인 경우 신체검사를 거쳐 전시근로역 판정을 받을 수 있다. 다만 병역판정검사 없이 전시근로역으로 편입되는 트랜스남성과는 달리 병역판정검사를 받아야한다. 다만 성전환수술을 이미 완료해서 성별정정을 마친경우는 예외다.하지만 병역판정검사를 받는 20대 초반 남자가 성전환수술을 끝내는 경우는 트랜스젠더 중에서도 흔치 않다.
4. 트랜스남성과의 비율 차이
과거에는 (적어도 트랜스젠더 가시화가 진전되기 시작한 1970년대부터) 통계적으로 트랜스남성이 트랜스여성에 비해 10%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잘 알려진 트랜스젠더 유명인사들은 대부분 트랜스여성이다.[2]2010년대 중후반부터 통계에 잡히는 트랜스여성과 트랜스남성의 수가 비슷해지고 있는 추세다. 당장 대한민국에서도 법적 성별 정정이 된 통계를 보면 숫자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5. 트랜스여성의 비참한 현실
어느 트랜스젠더가 그렇듯 사회에서 차별을 받지만 트랜스여성은 더욱 심하다. 트랜스젠더 숙명여자대학교 합격자 입학 반대 논란과 같이 트랜스여성의 경우 취업과 대학교 입학이 어려운 편이며 실제로 미국의 성전환한 트랜스여성들은 일반 여성들의 3분의 1 수준의 급여를 받지만 성전환을 한 트랜스남성들은 오히려 봉급이 인상되는 경우가 많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트랜스여성의 경우 일반 여성보다 폭행 및 살해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심지어 트랜스남성의 경우 말년은 안정적인 삶을 사는 경우가 많지만 트랜스여성의 말년의 경우 경제적 고립과 사회의 단절로 불안한 삶을 사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트랜스여성혐오까지 겹쳐 트랜스여성들은 트랜스남성보다 자살율이 높다고 한다. 그러한 이유는 남자가 여장을 하면 안된다는 고정관념이 있기도 하지만 더 큰 이유는 트랜스여성은 트랜스남성보다 더욱 눈에 띄기 때문이다. 아무리 트랜스남성이 패싱이 어렵다고는 하지만 트랜스여성은 태어날때부터 남자라 골격이 아예 달라 여장해도 티가 나기 때문이다.또한 트랜스여성의 경우 차별을 트랜스여성보다 차별이 더욱 심한데, 아예 트랜스여성혐오 문서까지 만들어질 정도로 차별이 심하다. 물론 편견을 깨고 풍자나 하리수같이 성공한 케이스도 있지만 대부분은 인터넷 방송인나 화류계로 일하면서 쥐꼬리수준의 월급을 받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엘리엇 페이지같이 연예계나 스포츠계에서 성공하여 돈을 많이버는 트랜스남성과 대비될 수준이다. 또한 말년도 좋지 않은데, 트랜스남성과 달리 노년기에 고용시장에 배제되는것은 물론이고, 폭행 및 살해에 노출될 위험성이 크다. 대한민국 최초의 트랜스여성인 김유복 조차 말년엔 가난해진탓에 다시 디트랜지션 수술할 돈도 없어 쪽방촌에서 생활했다.
심지어 디트랜지션을 택하는 비율이 트랜스남성보다 더욱 높은데, 무려 트랜스여성의 디트랜지션 비율이 11%이며 트랜스남성의 경우 4% 정도로 낮았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이유는 차별과 사회에서에 더 많은 제한, 트랜스여성혐오 때문에 디트를 택하는 것이 많으며 데이비드 라이머의 예시가 있다.
5.1. 트랜스여성혐오
트랜스젠더는 동성애자와 함께 성소수자의 대표명사로 여겨져 왔으면서도 더 많은 핍박과 기피를 당해 왔다. 더해 어느 문화권에서나 트랜스여성이 트랜스남성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주목을 받게 되는데, 남성이 여성의 치장을 하는 것은 여성이 남성의 치장을 하는 것보다 훨씬 우스꽝스럽고 불쾌한 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트랜스여성은 남성에게도 여성에게도 비난과 조롱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나마 그로 인해 성소수자 중에선 빠르게 가시화가 되고 덕분에 권리 신장이 조금이나마 이루어졌다는 점이 나름의 좋은 일이라고 해야 할까.
트랜스여성은 눈에 띈다는 특성으로 인해 남성 집단으로부터도 여성 집단으로부터도 더 많은 뭇매를 맞아 왔다. 남성에게 있어서 트랜스여성은 "벗겨놓고 봤더니 고추가 있더라" 식의 도시괴담에나 나오는 존재로 여겨지면서 비하와 조롱의 대상이 되고는 한다.
메이저한 여초 커뮤니티에서는 이들을 여성으로 인정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트랜스포비아를 페미니즘으로 포장하는 경우 이게 심한 편이며 이 중에서도 트랜스레즈비언은 거의 준 성범죄자 취급하는데 네이트판 같이 오픈된 대형 커뮤니티에서도 명백한 혐오의 대상이 되곤 한다.
일부 견해에 따르면 2010년대 중반까지는 여초 커뮤니티가 트랜스젠더를 받아들이는 태도가 일반 사회와 큰 차이가 없거나 어쩌면 오히려 일반 사회보다 더 관대한 편이었는데 TERF계가 힘을 키우면서[3] 트랜스젠더, 특히 트랜스여성을 혐오하는 경향이 높아졌다고 보기도 한다.
이로인해 디트랜지션을 택하는 사람이 트랜스남성 보다 높으며 트랜스남성보다 낮은 지원과 트랜스여성혐오로 트랜스남성보다 자살률이 높다고 한다.
6. 실존 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트랜스여성/실존 인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트랜스여성/실존 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가상인물
- 앙상블 스타즈!! - 나루카미 아라시
- 휴먼버그대학교 - 타카사고 아키오
- 레인보우 식스 시즈 - 오사
- 오징어 게임 시즌 2, 시즌 3 - 조현주
- 길티기어 시리즈 - 브리짓
- 흑집사 - 그렐 서트클리프
- Vast Error - 알비온 슈크라, 엘시 라이네스[4], 하미피 헥릭스, 세실리 이오파라, 루치아 쿨렉스
- 죠죠의 기묘한 모험 - 드라고나 죠스타
- 에빌리오스 시리즈 - 미카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