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방송 방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아날로그 | CCIR 비디오 포맷 | |||||
컬러 인코딩 방식 | |||||||
NTSC | PAL | SECAM | |||||
디지털 | ATSC | DMB | DTMB | DVB | ISDB | 원세그 | |
HDR | ITU-R BT.2100 표준 | ||||||
PQ | HLG | ||||||
HDR10 · HDR10+ · Dolby Vision | |||||||
1. 개요
|
국가별 디지털 지상파 방송 표준 |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ISDB는 일본에서 개발된 디지털 텔레비전 및 디지털 오디오 방송 표준으로 하이비전을 대체하기 위해 나왔다. 본디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중반 일본 당국과 방송사에서는 하이비전을 차세대 방송기술의 대표주자로 밀어주었지만 1990년대 중반에 DVB와 ATSC가 개발되자, 아날로그 기술을 사용한 하이비전은 시대에 뒤떨어진 기술이 되었고, 결국 ISDB라는 규격을 만들어 놓은것이다.[1]
지상파 표준인 ISDB-T와 위성 표준 ISDB-S, 케이블 표준 ISDB-C와 이동 수신용 표준 원세그로 나뉜다. 지상파 라디오 표준인 ISDB-TSB와 별도의 이동 수신용 표준 ISDB-Tmm[2]도 있으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변조 방식은 QAM과 QPSK를, 전송 방식은 OFDM을 개량한 BST-OFDM을 차용했다.
일본이 독자적으로 개발해 채용했지만 2007년 브라질이 채용하면서 대부분의 남미 국가와 아시아,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도 채용되었다. 브라질이 채택한 ISDB-T 표준은 일부 개량[3]이 이루어지면서 ISDB-T International[4]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브라질 명칭은 SBTVD[5]). 그러나 이 개량 때문에 일본식과 브라질식은 서로 TV 호환이 안된다.
일본은 B-CAS 카드가 있어야만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데, 이는 일본의 방송 신호에는 암호화가 되어 있어서 그러한 것이다. 이 신호 변환 과정에서 수초간 시간 지연이 일어나는데, NHK가 아날로그 시절 내내 전통으로 유지했던 시보 방송을 디지털화 직후 없앤 것도 이 때문이다. 현재는 NHK 교육 텔레비전[6]의 'E테레 0655', 'E테레 2355'가 NHK 시보 방송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참고로 지상파 규격인 ISDB-T외에도 케이블 규격인 ISDB-C, 위성방송 규격인 ISDB-S도 있지만 이 둘은 해외로 수출(?)된적이 없어 수입한 국가들 전부가 DVB-C/C2[7]나 OpenCable[8], DVB-S/S2를 사용하고 있다.[9]
2. 원세그
ISDB의 이동 수신용 표준.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3. 사용 지역
3.1. 중남미
3.2. 아시아·태평양
국가 | 채택 | 개시 |
몰디브 | 2011년 10월 19일 | |
스리랑카 | 2014년 5월 20일 | |
일본 | 개발 | 2003년 12월 1일 11:00[11] |
필리핀 | 2010년 6월 11일 | 2015년 2월 11일 |
3.3. 아프리카
국가 | 채택 | 개시 |
모잠비크 | 평가중 | |
보츠와나 | 2013년 2월 26일 | 2013년 7월 29일 |
앙골라 | 평가중 |
[1] DVB의 본고장인 유럽이라고 다를 건 없어 처음에는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혼합된 HD-MAC을 차세대 방송기술로 밀었지만 대역폭 문제와 낮은 보급률을 겪고 완전한 디지털로 나아가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 1993년 HD-MAC을 폐기하고 디지털 방송 규격인 DVB를 발표했다.[2] 위성DMB의 일본 지상파 버전이자 일본의 tu 미디어 포지션이었으며 통신사가 참여했다는 것도 같았고 최후도 같았다. 다만, 기존 모바일 방송의 단점인 낮은 화질을 보완하고자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HD DMB와도 유사성이 있다.[3] 동영상 코덱이 MPEG-2에서 H.264/MPEG-4 AVC로 업그레이드되고, 원세그의 프레임이 초당 15프레임에서 30프레임으로 바뀌었다.[4] ISDB-Tb라고 부르기도 한다.[5] Sistema Brasileiro de Televisão Digital : 브라질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6] 해당 지상파 채널은 NHK 종합 텔레비전, 다른 일본 지상파 채널과는 달리 암호화가 안 걸려 있다. 해당 지상파 채널에 시보 방송이 가능한 이유도 암호화를 하지 않아 복호화 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원천적으로 지연이 생길 일이 없기 때문이다.[7] 유럽 주도의 케이블TV 전송 규격.[8] 미국 주도의 케이블TV 전송 규격.[9] 사실 일본도 디지털 방송의 여명기인 1996-1997년에는 DVB-S를 사용했었다. 불만족스러워서 자체 규격 ISDB-S로 선회했을 뿐. ISDB-C는 채널 대역폭과 롤오프 계수를 제외하면 DVB-C와 사양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그다지 수출할 필요성을 못 느꼈을 것이다.[10] ISDB의 개량형(SBTVD)을 최초로 채택한 해외 국가[11] 그날은 옆나라의 대전방송의 디지털 방송 개시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