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8 21:59:42

TU 미디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투폴레프 사가 제작한 항공기 기종에 붙는 접두어 Tu에 대한 내용은 투폴레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리얼디엠비티유.pn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1]
1. 개요2. 채널 목록
2.1. 비디오 채널2.2. 오디오 채널2.3. ch.BLUE
3. 자체 제작 콘텐츠4. 관련 문서

1. 개요

SK텔레콤의 자회사로, 2005년 5월 1일부터 2012년 8월 31일까지 S-DMB를 이용한 방송을 제공했었다. 2006년 말에 ㈜한국멀티넷이 망하자[2] 한국과 일본이 동시 개발하여 발사한 한별위성을 이용해 MPEG-4 AVC(H.264) 코덱으로 송출했다.

지상파 DMB에 비해 높은 수신률과 (상대적으로) 풍부한 컨텐츠라는 장점이 있었으나, 광고 수입에 의존하는 대신 무료로 서비스된 지상파 DMB[3]와는 달리 유료 서비스인 특성상 가입자수가 적기 때문에 수익이 안 나오는 상황이었다. 게다가 위성방송의 특성상 도심에서 전파음영지역(수신불량지역)이 생기는 위성전파의 특성상 지상중계기(Gap Filler)를 대량으로 설치하다 보니 중계기 설치비용 등으로 인해 나가는 돈이 많았다.[4] 게다가 기술적인 한계로 스카이라이프 등의 다른 위성방송과 마찬가지로 악천후에 수신률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도 생기기 일쑤였다. 이에 따라 가입률 증가가 저조하여 수익성이 극도로 떨어졌다.

이러한 가입률 저조에 대한 타개책으로 SK텔레콤 가입자가 가입할 경우에는 TU팩이라는 무료 부가요금제에 가입하여 DMB 시청료(6,000원)와 약간의 음성통화료를 할인해주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었다. 정확히 말하자면 SK텔레콤이 자회사인 TU미디어의 적자를 메워주기 위해 실시하는 정책이다. 참고로 컴팩트 패키지가 6,000원이라서 SK텔레콤 고객은 컴팩트 패키지가 공짜였다.
TU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지상파 재전송 합의에 실패한 것으로 꼽힌다. 그 결과 지원하는 단말기는 한창 사업 중이던 2008년에 이미 고사상태였다. 가뜩이나 휴대전화 이외의 지원 단말이 없는 마당에 가장 최후의 스마트폰 기종인 T*옴니아도 망했다. 이후 후속기종인 옴니아 II는 위성 DMB를 버리고 지상파 DMB로 갈아타 버렸다. 피쳐폰 기종은 이후 발매된 LG 전자의 피처폰인 SB260(빅토리아 시크릿, 2G)이다.

2006년, WBC 모바일 중계권을 획득하고 2007년 1월 1일, 신년을 맞아 경제정보·교육·어학 콘텐츠 강화와 방송시간 변경, 영화채널 유료화 등 채널 개편을 단행, 동년 12월에는 MBC를 포섭하는 데 성공했으나 TU 미디어의 부진은 계속되었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2010년에는 프로야구 4경기 동시중계라는 최종병기로 야구 매니아들을 꼬셨는데, 2011년에는 지상파 DMB마저 4경기 동시중계(QBS, MBN, U1, U1 PLUS)를 하고 있는데다 SBS CNBC에서는 이승엽, 박찬호가 있는 오릭스 버팔로즈 경기까지 중계하는 중이라 완패.[6] 불어나는 적자를 견디지 못한 SK는 SK텔링크에게 흡수합병으로 해결했으나, 그걸로도 역부족이었는지 결국 사업 종료 계획서를 제출했고 2012년 9월 1일 0시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7] 여담으로 위성DMB 종료는 국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휴대전화 서비스와 달리 신고만으로 가능하다. 종료 보상은 공고시점부터 완전 종료시점까지 약 2개월간 시청료 면제 및 현금 1만원.

이후 서비스 종료로 남게 된 2.6GHz 주파수는 경매를 통해 LG U+LTE용으로 가져갔다.[8]

일부 노후화된 복합건물 지하주차장에 TU 천장 안테나가 달려있는 곳이 종종 있다.[9]

2. 채널 목록

2.1. 비디오 채널

2.2. 오디오 채널

2.3. ch.BLUE

위성DMB의 운영사 TU 미디어는 자체 채널 ch.BLUE를 운영하면서 프로그램을 많이 제작했다. 이때 제작한 영상을 CU미디어가 많이 사가서 우리가 알고 있는 코미디TV(현 iHQ)의 프로그램이 사실 여기서 제작한 것이 많다. DMB에 적합하도록 짧은 영상을 주로 제작했는데 지식채널e와 비슷한 '180도 상상력의 힘', 스펀지와 비슷한 '지식 파파라치', '나는 펫' 시리즈가 있고, 시키면 한다! 약간 위험한 방송도 유명했다.

3. 자체 제작 콘텐츠

4. 관련 문서



[1] 물론 현재는 사업철수로 인해 사이트 접속이 불가능했지만, 이 사이트도 지금은 도메인으로 팔려 광고로 넘어갔다.[2] 당시 정통부가 해당대역을 위성 DMB를 위해 SK텔레콤에게 멋대로 넘겨줘서 망했다는 소리가 있다(...). 이것 때문에 소송까지 갔지만 패소한 듯 2006년 말에 직권 폐업당했다.[3] 지상파 DMB와 동일한 포지션인 일본의 원세그는 NHK에서 한동안 원세그 수신료 징수 문제에 대해 두루뭉술한 입장을 견지하다 2010년대 들어 소송까지 불사해가며 적극 수신료 징수에 나서기 시작하면서 이용률을 깎아먹었다.[4] 실제로 위성 DMB의 지상중계기는 휴대폰 기지국에 스카이라이프와 비슷한 접시 안테나가 설치돼 있었다.[5] 현재의 어린이 채널과는 이름만 같다.[6] 다만, 지상파 DMB의 경우 일부지역에서는 야구 및 스포츠 등을 볼 수 없다. 지상파 DMB는 지상파 TV와 똑같이 지역마다 채널이 다른 점이 특징이자 단점으로 꼽힌다.[7] 「SK텔레콤, 위성 DMB 방송 8월 종료」, 2012-07-04, SBSCNBC[8] WBC 모바일 중계권은 2013년 한 해만 YTN DMB가 가져갔으며, 2017년에는 JTBC가, 2023년에는 지상파 3사가 중계권을 획득했다.[9] 파일:TU미디어 천장안테나2.jpg